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005-0461(Print)
ISSN : 2287-7975(Online)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ol.48 No.3 pp.146-156
DOI : https://doi.org/10.11627/jksie.2025.48.3.146

Determinants of Cross-Departmental Collaboration in the Semiconductor Equipment Sector: An Empirical Study Based on the TOE Framework

So-Hyun Park*, Yong-Il Choi**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Konkuk University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Heller Industries Korea
Corresponding Author : choi7901@naver.com
16/08/2025 03/09/2025 03/09/2025

Abstract


The semiconductor equipment industry is characterized by high technological intensity and a strong demand for customized functionality from client firms. This necessitates the collection and implementation of diverse client requirements, which in turn demands close cross-departmental collaboration and leads to highly complex project structures. To manage this complexity, many semiconductor-related companies operate global matrix organizations based on multiple reporting lines by region, function, and product. These structures entail intricate communication process and pose significant collaboration challenges.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key factors influencing collaboration and project performance within global matrix organizations in the high-tech semiconductor equipment industry, applying the Technology-Organization-Environment (TOE) framework. The analysis identified significant effects of all examined factors on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performance: three technological sub-factors (usability of communication tools, process standardization, and change management systems), two organizational sub-factors (clarity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and robustness of information-sharing systems), and three environmental sub-factors (alignment of requirements, cultural understanding, and responsiveness to industry standards and regulations).



Furthermore, the level of agile implementation was tested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OE factors and collaboration performance.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f agility in specific areas: the usability of communication tools and systematic change management (technological factors); information-sharing structure (organizational factor); and requirement alignment (environmental facto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gile approaches do not operate as a single-factor solution but interact dynamically with various organizational conditions.



By focusing on the underexplored dynamics of global matrix organizations in collaboration performance, this study provides a structured empirical analysis of their operational characteristics. Its theoretical contribution lies in offering an integrative perspective on technological,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drivers of collaboration and project success, extending current research in high-tech projec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반도체 장비 산업에서의 협업 영향 요인 연구: TOE프레임워크 기반 분석

박소현*, 최용일**
*건국대학교 경영대학
**Heller Korea 부설연구소

초록


    1. 서 론

    반도체 산업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국가 전략산업 으로서 글로벌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특히 반 도체 장비 산업은 기술 집중도가 높고, 고객사 맞춤형 기 능 구현을 강하게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여러 고객사의 요구 사항을 수집하고 구현하는 과정에서 여러 부서 간 긴밀한 협업이 필요하며, 이는 매우 복잡한 프로젝트 구 조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많은 반도체 관련 기업들은 지 역별, 기능별, 제품별 복수 보고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글 로벌 매트릭스 조직을 운영하고 있고, 복잡한 커뮤니케 이션 구조와 협업상의 과제를 동반하게 된다. 반도체 산 업은 장비를 '활용'하는 산업이라기보다는, 장비와 함께 조율하고 최적화하며 공동으로 발전하는 산업이다. 이를 위해 고객사는 정보화 기술을 활용하여 장비의 상태와 데이터를 자사의 제품 개발과 품질 확보에 실시간 활용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장비 제조사와의 긴밀한 협업 없이는 개발 품질 확보가 어렵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개발팀 내부에서도 제어, 광학, 알고리즘, 스마트 팩토리 기능 구현 등으로 역할이 세분화되어 있으며, 각 기능이 고립되지 않고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야 프로젝트가 성공 적으로 완료될 수 있다.

    반도체 분야를 대상으로 한 기존의 사회과학 분야 연 구는 주로 산업정책, 공급망 회복력, 지속가능성 등을 분 석하거나 제조 경제성, 정부-산업 네트워크 관계, 혹은 글로벌 관계 등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었다[19,5,26,27,14]. 특히나 반도체 관련 조직의 협업 성과를 기술적, 조 직적, 환경적 차원으로 종합적인 관점에서 실증 분석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고도 기술 산업군인 반 도체 장비 산업을 대상으로, 글로벌 매트릭스 조직 내에 서 협업 성과와 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 인을 TOE 프레임워크 차원을 적용해 그 영향 관계를 실 증 분석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매트릭스 조직과 애자일

    매트릭스 조직은 복수의 보고체계를 기반으로 기능과 지역 간 협업구조를 형성하며, 기능별 전문성과 프로젝트 중심 운영을 동시에 구현하려는 조직 형태로 정의된다. 이 러한 조직 형태는 기능 관리자와 프로젝트 관리자 간 권한 분배에 따라 약형, 균형형, 강형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경우 에 따라 협업 방식과 관리 통제가 다르게 작동한다[22].

    다국적 기업의 글로벌 매트릭스 조직은 국가, 지역, 사 업부, 기능 단위 간의 보고 체계를 함께 운영하며 복잡성 이 가중된다. 반도체 장비 산업처럼 복수의 이해관계자 와 기술 협업이 절대적인 산업군에서는 이러한 구조가 자원 활용의 효율성과 협업 촉진, 유연성과 전문성 확보 에 유리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복수의 보고라인, 지리적 분산, 문화적 차이로 인해 명확한 의사결정 구조 설정과 역할 분담의 어려움, 책임과 권한의 혼선, 의사결 정 지연, 정보 공유 병목 현상, 리소스 충돌 등이 발생할 수 있다[13,7,22].

    애자일은 반복적이고 점진적인 개발, 고객 중심의 피드 백 수용, 팀의 자율성과 협업을 중시하는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개발 접근법이다. 대표적인 프레임워크로는 스크럼 (Scrum), XP(eXtreme Programming), 칸반(Kanban) 등이 있 으며, 유연한 일정 운영과 요구사항의 수시 반영이 가능하 다는 점에서 전통적 폭포수 모델과 구분된다. 애자일 방법 론은 특히 반도체 장비 산업과 같이 고객 맞춤형 개발이 빈번하고, 기술 및 요구사항 변화 주기가 짧은 산업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고객 피드백을 기반으로 한 반복 개발(iterative development)은 실시간 사양 대응을 가 능하게 하고, 다기능 팀 간 자율적 협업은 조직 간 장벽을 허물어 개발 일정을 단축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 연구들도 애자일 성숙도가 개발 효율성과 품질 수준 향상에 기여를 하거나, 애자일 기반 개발 프로젝트에 서 피드백 주기 단축과 의사소통 원활로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11,16]. 특히 글로벌 매트릭스 조직 의 환경에서 애자일 방식의 유연성과 자율성이 협업 효율성 과 일정 준수율,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데 실질적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애자일 접근법은 본 연구의 실증모형 에서 중요한 기반을 제공한다

    2.2 The Technology-Organization-Environment (TOE) Framework

    TOE 프레임워크는 Tornatzky와 Fleischer(1990)에 의해 제안된 이론적 틀로, 기술(Technology), 조직(Organization), 환경(Environment)이라는 세 가지 요인이 조직의 기술 수용,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델이다[24]. 이 프레임워크는 특히 정보시스템, 전자상거래, 디지털 전환, 스마트 팩토리, ERP 시스템 도입 등 다양한 IT 및 제조 관련 연구에서 폭넓게 적용되어 왔다 [29,2,1,12].

    TOE의 각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첫째, 기술적 요인은 조직 내부 또는 외부에서 활용 가능 한 기술적 자원이나 시스템을 의미하며, 조직의 기술 도 입 및 활용 역량과 직결된다. 둘째, 조직적 요인은 조직 의 규모, 구조, 자원, 내부 프로세스, 관리 지원체계 등과 관련된 요소로, 조직 내 제도적 기반을 의미한다. 셋째, 환경적 요인은 산업 특성, 경쟁 상황, 정부 규제, 파트너 및 고객 요구 등 조직이 직면한 외부 환경을 포함한다.

    TOE 프레임워크의 장점은 개인이 아닌 조직 차원에 서 복합적 요인을 구조화된 형태로 분류하여, 기술 수용 이나 혁신성과를 설명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단일 기 술이나 단일 요인 중심이 아닌 통합적 접근을 가능케 함 으로써, 실증 분석에서 다양한 변수의 상호작용을 검토 할 수 있다. 다른 기술수용모델과 달리 조직 문화, 개인 태도와 같은 심리적 요인을 다루지 않는 점, 그리고 산업 별 특수성을 충분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맞춤형 재구성이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 융합과 협업 복잡성이 높은 반도 체 장비 산업에 TOE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기술, 조직, 환경 3개 차원별 요인들이 조직 간 협업 성과와 프로젝 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실무 현장에서 유용 한 전략적 인사이트를 도출하고자 한다.

    2.3 협업 성과와 프로젝트 성과

    협업 성과는 다기능 부서 간, 혹은 본사와 해외 지사 간의 공동 작업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의 미한다. 협업 성과는 단순한 작업 분담의 효율성만이 아 니라, 상호 신뢰, 정보 공유, 의사소통의 명확성, 공동 목 표에 대한 인식, 문제 해결 역량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된다[7,9,25,20].

    특히 글로벌 매트릭스 조직에서는 물리적 거리, 문화 차이, 시간대 차이 등 복합적인 요소가 협업의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협업의 질은 프로젝트 성과 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협업 성과는 또한 협업 도구 의 사용 여부, 공유 시스템의 활성화 정도, 직무 간 의존 성에 따른 상호 지원 체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 연구에서는 온라인 협업도구 사용 의 빈도와 정교함이 조직 내부의 커뮤니케이션 만족도 및 협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10], 협업 신뢰와 의사소통 의 질이 협업 성과와 조직몰입에 중요한 매개 변수로 작 용함을 실증한 연구[25] 등이 진행되었다. Jeong[8]은 협 업 동기와 환경이 협업 활동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하며, 협업 성과는 독립적 성과라기보다 다양한 맥 락과 요소의 상호작용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았다. 프로 젝트 성과는 개발 일정의 준수, 예산 내 완료, 요구사항 만족도, 품질 기준 충족, 고객 만족도 등으로 측정될 수 있는 결과이다. 반도체 장비 프로젝트와 같이 복잡하고 고도로 맞춤화된 산업 프로젝트의 경우, 프로젝트 성과 는 단순한 납품 여부를 넘어 장비 성능, 기능 통합성, 고 객의 현장 적용 가능성까지 포괄한다.

    관련한 선행 연구에서는 협업 신뢰성, 협업도구 활용 성, 의사소통 품질 등과 일정, 품질 등의 프로젝트 성과 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들로 진행되었다[10,25,8,21]. 이러한 연구들은 프로젝트 성과가 협업 수준, 정보 공유의 질, 의사결정의 효율성 등과 복합적으로 연결되 어 있으며, 개발 프로세스와 조직 내 상호작용의 품질이 성과를 좌우한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프 로젝트 성과를 종속 변수로 설정하고, 글로벌 매트릭스 조직 내 협업 구조 및 제반 요인들과의 영향 관계를 파 악하고자 한다.

    3. 연구방법

    3.1 연구모형과 변수

    기술적, 조직적, 환경적 요인은 조직 간 협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으로 확인되고 있다. 선행 연구 들에서 기술 인프라, 인사제도, 조직관리 요인이 조직협 력 수준과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23], 다문화 환 경에서 문화적 이해 수준이 협업 효율성과 만족도에 기 여하며[7], 협업 신뢰와 의사소통의 질이 프로젝트 성과 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결과들을 보였다[25]. 또한 애자일 방식은 반복적 개발, 고객 피드백 수용, 자율적 협업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조직 간 유연성과 응답속도 를 높이며, 이러한 특성은 변수 간 관계를 조절할 수 있 는 실질적 기반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였다[11,16,3]. 본 연구의 모형은 <Figure1>과 같다.

    독립변수로 기술적, 조직적, 환경적 요인을 TOE 프레 임워크로부터 차용하고 그 하위 변수는 선행연구들을 바 탕으로 설정하였다. 중간변수로 협업 성과, 종속 변수로 프로젝트 성과를 설정하였으며 애자일 적용 수준을 독립 변수와 중간변수 사이의 조절변수로 설정하였다. 각 변 수별 조작적 정의와 대표 선행연구는 <Table 1>과 같다.

    3.2 연구 가설

    본 연구는 TOE 프레임워크와 협업 성과 간의 기술, 조직, 환경 요인들과 프로젝트 성과와 관련한 선행 연구 들을 바탕으로 변수 설정을 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의 애자일 방식 적용 수준을 조절 변수로 두고 그 영향 여 부를 측정하는 것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선행 연 구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TOE 요인들과 협 업 성과, 프로젝트 성과와의 관계를 회귀 분석을 통해 실 증하고자 한다. 즉, 기술적, 조직적, 환경적 요인에 따라 협업 성과가 영향을 받을 것이고[23,7], 이러한 영향은 애자일 적용 수준에 따라 다를 것이다[11,16]. 협업 성 과 또한 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줄 것[25]으로 예상되 며 이를 위한 세부 가설을 설정하면 아래와 같다.

    • H1: 기술적 요인은 협업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1: 커뮤니케이션 도구 활용성은 협업 성과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2: 프로세스 표준성은 협업 성과에 정(+)의 영향 을 미칠 것이다.

      • H1-3: 변경 관리 체계성는 협업 성과에 정(+)의 영향 을 미칠 것이다.

    • H2: 조직적 요인은 협업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1: R&R(역할과 책임) 명확성는 협업 성과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2: 정보공유 체계성은 협업 성과에 정(+)의 영향 을 미칠 것이다.

    • H3: 환경적 요인은 협업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1: 요구사항 연계성은 협업 성과에 정(+)의 영향 을 미칠 것이다.

      • H3-2: 문화적 이해성은 협업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3: 산업 표준 및 법규 대응성은 협업 성과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애자일 적용 수준은 기술적, 조직적, 환경적 요인 들과 협업 성과 간의 관계에 조절효과를 미칠 것 이다.

      • H4-1: 기술적 요인이 협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애 자일 적용 수준에 따라 다를 것이다.

      • H4-2: 조직적 요인이 협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애 자일 적용 수준에 따라 다를 것이다.

      • H4-3: 환경적 요인이 협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애 자일 적용 수준에 따라 다를 것이다.

    • H5: 협업 성과는 프로젝트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 칠 것이다.

    4. 실증 분석

    본 연구는 글로벌 매트릭스 조직의 형태를 지닌 반도 체 장비 산업에서 협업과 프로젝트 성과의 영향 요인과 그 관계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실증 분석 을 위한 자료 수집은 반도체 장비 산업의 근로자로 한정 하고 온라인 접촉이 가능한 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 하였다. 조사는 2025년 5월 한 달 동안 온라인 방식의 설문을 통해 이루어 졌으며 유선을 통한 설문 독려가 이 루어졌다. 데이터 클렌징을 거쳐 최종 267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패키지를 이 용한 통계분석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성 개념의 타당성을 측정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성 측정에는 크론바하 알파를 사용하였다. 연구주제의 본 분석에는 다중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연구모형에서 설정된 가설 검증을 실시하였다.

    4.1 표본의 특성

    본 연구의 실증 분석에 사용된 표본의 기술통계적 특 성을 정리해 보면 <Table 2>와 같다. 표본 특성은 소속 회사 규모, 직무 분야 등의 정보를 보여주고 있다. 직원 수 기준으로 50명 이상 1000명 이하인 회사 규모가 대부 분이었으며, 50명 미만과 1000명 초과 기업도 같은 비율 로 포함되어 있었다. 대부분 해외지사를 가지고 있었으 며 응답자 업력은 5년 미만부터 16년 이상까지 골고루 분포하였다. 직무 분야는 기획/전략, 생산, 기술지원, 고 객지원, 소프트웨어 개발, 하드웨어 개발, 물류, 영업 등 반도체 장비 산업의 전 기능 단위를 포괄하며 비교적 고 른 분포를 보였다.

    4.2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연구모형의 독립변수인 기술적, 조직적, 환경적 요인 항목에 대해 직각회전방식(varimax)을 이용한 탐색적 요 인분석을 실시하여 구성개념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고유 값(eigen value) 1 이상과 요인적재량 0.6을 기준으로 하 여 요인 수를 확보하였다. 신뢰성 검증을 위한 크론바하 알파 계수값은 모두 0.80 이상으로 나왔으며, 이들 결과 는 <Table 3>에 제시되었다.

    4.3 연구가설의 검증

    4.3.1 가설 1의 검증

    가설 H1 기술적 요인의 협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가설 H1-1, H1-2, H1-3은 기술적 요인의 하위 요인인 커뮤니케이션 도구 활용성, 프로세스 표준성, 변경 관리 체계성이 협업 성과 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인데 분석 결과 모두 유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 가설의 수정된 R²값은 0.285로 기술적 요인이 조직간 협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약28.5%를 설명 가능하다. 가설 H1 기술적 요인은 조직 간 협업 성과에 있어 정(+)의 영향을 미치며, F 값 유의 확률 0.000으로 가설 H1은 채택되었다.

    이는 글로벌 매트릭스 조직에서 지리적 분산 및 시간 차이로 인한 커뮤니케이션 복잡성을 완화하고 신속성을 강화하여, 효과적인 정보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커뮤니 케이션 도구의 활용이 조직간 협업 성과 증대의 핵심 요 소임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조직은 커뮤니케이션 도구 의 도입과 활용 역량 강화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도구에 대한 조직문화 정착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 역간, 기능 단위간, 고객 또는 협력 업체와의 협업이 요 구되는 글로벌 매트릭스 조직은 협업의 품질 증가, 프로 젝트(조직)의 운영 일관성 유지에 프로세스 표준화는 필 수적인 요소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내·외부 이해관 계자들의 많은 요구사항 변화와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조 율이 필요한 조직 구조 특성 상 변경 관리 체계화는 이 러한 복잡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이 되고, 협업 역량 강화를 위한 중요한 수단임을 알 수 있다.

    4.3.2 가설 2의 검증

    가설 H2 조직적 요인의 협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 결과는 <Table 5>과 같다. 가설 H2-1, H2-2는 조직적 요인의 하위 요인인 R&R 명확성, 정보 공유 체 계성이 협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으로 모두 유의한 것으 로 나타났다. 두 가설의 수정된 R²값은 0.179, F값 유의 확률 0.000으로 조직적 요인은 협업 성과에 있어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 H2는 채택되었다.

    검증 결과를 해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글로벌 매트릭 스 조직은 복수의 보고 체계로 인해 역할 혼선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를 극복하여 협업 시 중복 작업이나 업 무 누락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프로젝트 구성원 개인과 팀의 R&R 명확화를 통해 협업 성과 향상이 필요하고, 이를 핵심적인 관리 전략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 사한다. 또한 해당 조직에서 시간적 차이, 언어적 차이, 문화적 차이로 인해 종종 정보 공유가 제한되고 오해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정보 공유 체계 강화를 통해 협업 성과 개선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4.3.3 가설 3의 검증

    가설 H3 환경적 요인이 협업 성과 미치는 영향에 대 한 검증 결과는 <Table 6>과 같다. 가설 H3-1, H3-2, H3-3은 환경적 요인의 하위 요인인 요구사항 연계성, 문 화적 이해성, 산업 표준 및 법규 대응성이 조직간 협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으로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정된 R²값 0.321, F값 유의확률 0.000).

    이는 글로벌 매트릭스 조직에서 고객 요구 사항이 다양한 이해관계자에 의해 서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으며, 고객 중심 협업 체계 구축이 조직간 협업 성과 향상에 기여한다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문화의 이해도 증진은 협업 품질을 향상시키는 필수 요인임을 나타내며, 국가별 규제와 법규의 차이, 신규 규제와 법규, 규제와 법규의 변경을 신속하게 반영하고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조직간 협업의 안정성 과 성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3.4 가설 4의 검증

    애자일 적용 수준의 조절효과에 대해서는 3단계 위계 적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가설 H4 애자일 적용 수준이 기술적, 조직적, 환경적 요인들과 협업 성과 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의 결과는 각 <Table 7>, <Table 8>, <Table 9>와 같다.

    가설 H4-1 기술적 요인이 협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애자일 적용 수준에 따라 다른지 검증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애자일 적용 수준이 기술적 요인의 하위 요 인인 커뮤니케이션 도구 활용성, 프로세스 표준성, 변경 관리 체계성과 협업 성과 간에 미치는 조절효과는 부분 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 값 유의확률 0.000).

    1단계의 수정된 R²값 0.285, 2단계의 수정된 R²값은 0.574, 3단계의 수정된 R²값은 0.622로 모든 단계의 F값 유의확률은 0.000으로 나타났다. 이는 애자일 방식 도입 시 설명력이 증가함을 의미하고, 이는 기술적 요인과 애 자일 적용 수준간 상호작용이 협업 성과에 유의한 조절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애자일 적용 수준 에 따라 위에 언급한 기술적 요인의 하위 요인들이 조직 간 협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짐을 의미한다. 특 히 커뮤니케이션 도구 활용성은 표준화 계수 -1.303, t값 유의확률 0.000으로 이는 애자일 적용 수준이 낮은 경우 커뮤니케이션 도구 활용성이 크고, 애자일 적용 수준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커뮤니케이션 도구 활용성이 낮음 을 의미한다. 변경 관리 체계성은 표준화 계수 1.407, t값 유의확률 0.000으로 이는 애자일 적용 수준이 높을수록 변경 관리 체계성이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프로세스 표준성은 검증결과 애자일 적용 수준에 유 의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가설 H4-1은 커뮤니케이션 도 구 활용성과 변경 관리 체계성에서 유의한 조절 효과가 확인되어 부분 채택되었다. 이는 내·외부의 요구사항 변 경이 빈번히 일어나는 반도체 장비 산업에서, 애자일 적 용 수준이 높을수록 변경 요청의 공식적인 관리가 체계 적으로 이루어 지게 하여 협업에 도움을 주지만 획일성 을 요구하는 프로젝트 수행 프로세스의 표준화 단계와는 독립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애자일 적용이 조직 유연성에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11,16]를 지지하 며 커뮤니케이션 도구 활용과 변경 관리 체계화의 민첩 성이 애자일 방식 도입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able 8>은 조직적 요인이 협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은 애자일 적용 수준에 따라 다른 지를 보는 가설 4-2의 검증결과이다.

    단계별 수정된 R²값이 증가하며 특히 조직적 요인의 하위 요인인 정보 공유 체계성은 표준화 계수 -1.241(t값 유의확률 0.000)으로 애자일 적용 수준이 높을수록 정보 공유 체계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R&R 명확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유연한 일정 운영과 요구사항의 수시 반영, 팀의 자율성 중시 등의 애자일 접근법 특징에 비추어 볼 때, 필요 이상의 보고체계를 차단하게 하여 협 업 효율성을 높이는 것으로 보인다. 반대로 보면, 정보 공유 구조가 지나치게 체계화될 경우 애자일 방식 도입 의 유연성과 충돌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분 석 결과를 토대로 가설 4-2는 부분채택 되었다.

    애자일 적용 수준에 따라 환경적 요인이 협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지를 검증하는 가설 4-3의 통계분석 결과는 <Table 9>와 같다.

    환경적 요인의 하위 요인 중에서 요구사항 연계성의 표준화 계수는 1.177(t값 유의확률 0.002)로 애자일 적용 수준에 따라 협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짐을 확 인하였다. 요구사항 연계성 관리 단독일 경우 부(-)의 영 향을 보였으나, 애자일 적용 수준과의 상호작용 효과로 정(+)의 효과로 전환됨도 확인되었다. 고객 및 거래처 또 는 내부 고객의 요구사항은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서 충 분히 파악하고 적용될수록 일정, 비용, 범위의 관리 성과 가 높다[28]. 요구사항 변경 시 폭포수 모델의 경우 이를 반영하는 것은 프로젝트 초기 이후에는 현실적으로 어렵 다. 그러나 애자일 접근법은 요구사항의 수시 반영이 가 능하다는 강력한 장점을 통해, 변화하는 고객 요구를 내 부 개발 프로세스에 신속하게 연계할 수 있게 하며, 이는 조직 간 협업성과를 제고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이러한 효과는 애자일이 고객 요구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조직 간 보완적 관계를 형성한다는 점을 강조한 기존 연 구[3]와 일치하는 맥락을 보여준다.

    4.3.5 가설 5의 검증

    협업 성과가 프로젝트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한 결과는 <Table 10>과 같다. 수정된 R²값은 0.535(F값 유의확률 0.000)로 해당 가설은 채택되었다.

    이 결과는 글로벌 매트릭스 조직에서 협업 성과가 높을수 록 프로젝트 품질, 일정 준수, 비용 효율성 등의 프로젝트 성과가 향상됨을 의미하고,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효과적인 협업 역량 구축이 필수적이며, 조직간 협업 성과는 프로젝 트 성과 향상의 핵심 결정 요인임을 시사한다.

    5. 결 론

    본 연구는 글로벌 매트릭스 조직에서 협업 성과 및 프 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이들 간 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반도체 장비 산 업을 중심으로 기술적 요인, 조직적 요인, 환경적 요인이 협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협업 성과가 프로 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애자일 적용 수준의 조절효 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기술적 요인의 세 가지 하위요인(커뮤니케 이션 도구 활용성, 프로세스 표준성, 변경 관리 체계성), 조직적 요인의 두 가지 하위요인(R&R 명확성, 정보 공 유 체계성), 환경적 요인의 세 가지 하위요인(요구사항 연계성, 문화적 이해성, 산업 표준 및 법규 대응성) 모두 조직 간 협업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업 성과는 프로젝트 성과에 유의 한 영향을 주었으며, 이를 통해 협업 성과의 향상이 최종 적인 프로젝트 성과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 였다.

    애자일 적용 수준은 기술적, 조직적, 환경적 요인이 협 업 성과에 미치는 관계를 조절하는 변수로 검증되었으 며, 일부 하위 요인에서 유의한 조절 효과가 나타났다. 기술적 요인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도구 활용성과 변경 관 리 체계성이, 조직적 요인에서는 정보 공유 체계성, 환경 적 요인에서는 요구사항 연계성에서 애자일 방식 적용 수준의 조절 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은 두 가치 측면에서 의의를 둘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기존의 조직 성과 관련 연구에서 상대적 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글로벌 매트릭스 조직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협업 성과의 구조적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 다. 특히 기술적, 조직적, 환경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함 으로써, 협업 성과 및 프로젝트 성과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다.

    둘째, 애자일 방식 도입의 조절 효과를 실증적으로 확 인함으로써, 기존 애자일 관련 연구가 민첩성과 유연성 자체에 초점을 맞추었던 한계를 넘어, 조직 내 협업 구조 와의 상호작용 측면을 조명하였다. 이는 애자일 접근이 단일 변수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조직적 상황 에서 상호 작용하며 기능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실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측면에서 시사점 을 논할 수 있다.

    첫째, 커뮤니케이션 도구 활용성, 프로세스 표준성, 변 경 관리 체계성 등 기술적 요인이 협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에 따라, 글로벌 매트릭스 조직은 협업을 위한 기술 인프라 및 프로세스 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 다. 특히 커뮤니케이션 도구는 지리적·시간적 장벽을 극 복하기 위한 핵심 수단임을 재확인하였다.

    둘째, R&R 명확성 및 정보 공유 체계성 등 조직적 요 인은 역할의 혼선과 커뮤니케이션 병목을 해소하는 데 기여하므로, 다기능·다지역 구성원 간의 명확한 역할 정 의와 정보 흐름 설계가 필수적이다. 특히 정보 공유 구조 는 부서 간 지식의 누락과 중복을 방지하고, 협업 속도를 향상시키며, 신속한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본 연구는 시사한다.

    셋째, 요구사항 명확성, 문화적 이해성, 산업 법규 준 수 등 환경적 요인은 외부 이해관계자와의 협업에서 특 히 중요하게 작용하므로, 글로벌 조직은 고객 요구사항 대응체계, 문화 교육, 법규 대응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구축해야 한다.

    넷째, 애자일 적용 수준은 일부 요인에 대해 주요한 조절 효과를 가지며 협업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조직은 일괄적인 애자일 도입이 아닌, 회사의 실정 에 맞고 진행하는 프로젝트에 적합한 부분적 애자일 적 용 전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지니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반도체 장비 산업의 글로벌 매트릭스 조직 에 초점을 두고 그 특징을 반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타 산업으로 일반화하는 것에 상당한 무리가 예 상되며, 또한 단일 조직 구조에 일반화하는 데에는 제한 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산업군의 다양성을 확대하거 나, 기능별 매트릭스 구조 또는 지역별 매트릭스 구조 등 조직 유형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 한 본 연구에서는 조직 간 협업 성과와 프로젝트 성과를 분리된 개념으로 분석하였으나, 협업 성과가 중장기적으 로 어떻게 조직의 경쟁력이나 시장 성과로 이어지는지를 분석하는 연구가 향후 필요할 것이다.

    Figure

    JKSIE-48-3-146_F1.jpg

    Research Model

    Table

    Operational Definition of Variables

    The Profile of Sample

    Factor Analysis

    Regression Results for H1 tests

    Note: dependent variable is Collaboration performance.

    Regression Results for H2 Tests

    Note: dependent variable is Collaboration performance.

    Regression Results for H3 tests

    Note: dependent variable is Collaboration performance.

    Regression Results for H4-1 tests

    Note: dependent variable is Collaboration performance.

    Regression Results for H4-2 tests

    Note: dependent variable is Collaboration performance.

    Regression Results for H4-3 tests

    Note: dependent variable is Collaboration performance.

    Regression Results for H5 Tests (Collaboration performance → Project performance)

    Reference

    1. Awa, H.O., Ukoha, O., and Emecheta, B.C., Using T O E Theoretical Framework to Study the Adoption of ERP Solution, Cogent Business and Management, 2016, Vol. 3, No.1, Article 1196571.
    2. Bakar, M.R.A., Razali, N.A.M., Ishak, K.K., Ismail, M.N., and Sembok, T.M.T., Adoption of industry 4.0 with cloud computing as a mediator: Evaluation using TOE framework for SMEs, JOIV: International Journal on Informatics Visualization, 2024, Vol. 8, No. 2, pp. 554-563.
    3. Celestin, M., Sujatha, S., Kumar, A.D., and Vasuki, M., The rise of agile methodologies in managing complex business projects: Enhancing efficiency, collaboration, and adaptability, Indo American Journal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and Review, 2024, Vol. 8, No. 2, pp. 69-77.
    4. Cvjetković, M., Organizational use and adoption of social media through TOE framework: Empirical research on Croatia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Management, 2023, Vol. 28, No. 2, pp. 73-91.
    5. Goldberg, P.K., Juhász, R., Lane, N.J., Forte, G.L., and Thurk, J., Industrial policy in the global semiconductor sector (No. w32651),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24.
    6. Han, J.-W., A study on a process modeling methodology for business standardization [master’s thesis], [Seoul Korea],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2.
    7. Jeon, H.-J., and Lim, B.-H., Analysis of the mediated effects of cultural competencies on the cultur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of multicultural organizations, Eurasian Research, 2012, Vol. 9, No. 4, pp. 425-448.
    8. Jeong, S.-M., The effects of collaboration motivation and environment on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performance[ dissertation], [Kyung-gi, Korea], Gach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6.
    9. Kim, I.-J., Yoon, J.-W., and Jeon, Y.-B., The SPI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maturity level: The perspectives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assessment types,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Business and Information (KABI), 2006, Vol. 16, No. 4, pp. 27-47.
    10. Kim, S.-Y., and Lee, M.-J., The effects of internal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n collaborativ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online collaboration communication tools,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 Association, 2020, Vol. 20, No. 12, pp. 498-518.
    11. Kim, T.-D., S/W development process and maturity measurement using agile methodology, Journal of the Korea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Society, 2015, Vol. 15, No. 6, pp. 147-154.
    12. Kim, Y., and Kim, B., The Effective Factors on Continuity of Corporate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Based on TOE Framework, Information, 2021, Vol. 12, No. 11, p. 446.
    13. Kim, Y.-W., Yang, K.-S., and Kim, H.-S., Exploratory study on the impact of knowledge sharing in information system outsourcing on performance, Proceedings of the 2003 Winter Conference of the Korean IT Service Society, 2003 January, pp. 454-461.
    14. Kshetri, N., The economics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in the united states, Computer, 2024, Vol. 57, No. 8, pp. 120-126.
    15. Lee, G.-B., Ha, S.-W., and Park, S.-M., A study on the effects of individual role ambiguity and organizational goal clarity on organizational and work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erson-job fit and person-organization fit, Korean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Review, 2023, Vol. 22, No. 3, pp. 93-132.
    16. Lee, S.-Y., and Yong, H.-S., Agile methodologies in distributed software development: Evaluation and insights,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2009, Vol. 16, No. 4, pp. 549-560.
    17. Lee, Y.-B., and Kim, S.-H.,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m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16, Vol. 47, No. 4, pp. 219-239.
    18. Min, J.-H., Lee, H.-H., Cho, P.-D., and Ham, J.-H., Improving the standardization proces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ETRI Journal, 2011, Vol. 26, No. 5, pp. 177-185.
    19. Ou, S., Yang, Q., and Liu, J., The global production pattern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 an empirical research based on trade network,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ommunications, 2024, Vol. 11, No. 1, pp. 1-13.
    20. Park, J., and Shin, M., Manufacturing Execution Framework Based on agent-to-agent Collaboration,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24, Vol. 47, No. 4, pp. 120-131.
    21. Park, S.H., Lee, A., and Kim, S.C., Examining the PMIS Impacts on the Project performance, user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among the project-based industries,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21, Vol. 44, No. 3, pp. 276-287.
    22.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A guide to the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PMBOK® guide) (7th ed.),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2021.
    23. Song, Y., and Nam, S.H., The effects of work environment, HR systems,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collaboration and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ollaboration, GRI Review, 2021, Vol. 23, No. 4, pp. 257-290.
    24. Tornatzky, L.G., and Fleischer, M., The process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Lexington Books, 1990.
    25. Tserendulam, C.,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ollaboration on performance [master’s thesis], [Kyung-gi, Korea], Gach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6.
    26. Xiong, W., Wu, D.D., and Yeung, J.H., Semiconductor supply chain resilience and disruption: Insights, mitigation, and future direc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Research, 2025, Vol. 63, No. 9, pp. 3442- 3465.
    27. Yin, Y., Sustainable transition of the global semiconductor industry, Sustainability, 2025, Vol. 17, No. 7, p. 3160.
    28. Yoon, H.S., Lee, S.J., Kim, S.C., and Park, S.H., The Effect of the Project Plan Variance on Customer Satisfaction: Focus on IT Project Results,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2022, Vol. 21, No. 5, pp. 51-64.
    29. Zhong, Y., and Moon, H.C., Investigating the Impact of Industry 4.0 Technology through a TOE Based Innovation Model, Systems, 2023, Vol. 11, No. 6, pp.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