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중견기업연합회의 2021년 중견 기업 실태조사에 의하면 우리 산업의 한 축을 담당하는 중견기업은 <Table 1>과 같이 전체 기업의 0.7%(5,480개), 국내 총고용의 13.8%(116만 9,000명), 총매출액의 15.7% 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중 제조기업 종사자는 59만 9,738명 으로 51.3%에 이르고 있다[20].
하지만 최근 국내 중견 제조기업들은 코로나 영향, 미중 무역전쟁, 글로벌 공급망 붕괴 등으로 인해 경영활동에 많 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업 경 쟁력 강화를 도모하는 품질경영활동의 활성화가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품질경영활동은 기업의 경쟁우위 확보수단으로 실행하 고 있는 기업의 필수 경영혁신기법으로서 고객만족과 경 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8,24]. 이러한 품질경영활동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업 관리자의 긍정적 리더십이 매우 중요하 다[6]. 즉, 기업 관리자는 조직구성원에 대한 통제와 지배 보다 인간적인 관계 유지, 수평적 의사소통 등을 중심으로 기업이 목표로 하는 경영성과를 달성하는 기업문화를 형 성해 나가야만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리더십과 관련된 연구가 많이 진행되 어왔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카리스마 리더십과 변혁적 리 더십에 중점을 두고 경영성과 달성에 필요한 대기업이나 중소기업 구성원들의 직무열의나 직무만족을 높이는 방안 연구가 대부분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18,22]. 또한 기존의 카리스마와 권위주의적인 특징이 강조된 관리자 리더십은 최근 MZ세대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기업문화를 고려할 때 부적합한 측면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대기업이나 중소기업에 비 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진했던 중견 제조기업 관리자의 긍정적 리더십이 품질경영활동과 기업의 경영성과(BSC) 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관리자 의 리더십 강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용어설명
2.1.1 긍정적 리더십(Positive Leadership)
긍정적 리더십 이란 용어는 초기에는 리더십의 긍정적 유형 속성으로 사용되었으나, 이후에는 학자들에 의해 세 분화되면서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Harter(2002)는 긍정적 리더십을 “강점을 기반으로 조직 구성원들의 차이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이해 및 배려를 통 해 어려운 일이 발생하더라도 긍정적인 관점을 유지하는 것”이라 하고[13] Fry and Matherly[10]는 “일반적, 도덕적 가치와 특성을 높은 수준으로 개발하고 조직 구성원들의 복지를 향상하며 성과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행위”라 하였다. 또한 Arakawa and Greenberg[3]는 “조직 내 팀원 의 장점에 대하여 관리하며, 어려운 일에 대해 긍정적인 관점으로 대처하고 조직내 팀원들의 업무 성취를 인정하 고 격려하는 리더십”이라 하고 Youssef-Morgan and Luthans[26]는 “회사 팀원의 마인드를 변화시키고, 회사 팀원의 긍정적인 강점과 잠재력을 개발하는 행위”라 하였 다. 한편 Cameron[6]과 Yun and Jung[28]은 <Table 2>와 같이 긍정적 리더십은 4가지 요소로 구성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를 참고하여 긍정적 리더십을 ‘팀원의 긍정적인 관점으로 품질활동의 참여를 높이고 팀 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정의하고 세부요인으로는 Cameron[6]이 제시한 4개 요인(긍정적 분위기 조성, 긍정 적 관계형성, 긍정적 의사소통, 긍정적 의미부여)으로 구 성하여 중견 제조기업 구성원들이 자사의 관리자의 긍정 적 리더십을 측정하도록 하였다.
2.1.2 품질경영활동(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품질경영활동은 조직이 제품 또는 서비스의 품질을 유 지 향상시키기 위해 계획, 실행, 평가되는 일련의 활동으 로서 품질경영체계의 수립 및 운영을 통해 조직의 전반적 인 품질수준 향상 및 고객 만족도 제고를 도모한다.
기존 연구[1,2,5,14,19]를 종합해 보면 품질경영활동 은 <Table 3>과 같이 6개의 범주(리더십, 전략기획, 고객 중시, 인적자원중시, 정보 및 지식관리, 프로세스 관리)로 구분될 수 있다[11,12].
본 연구에서는 품질경영활동을 ‘제품 또는 서비스의 제 조, 판매, 고객 서비스 및 지속적인 품질개선을 통해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활동’이 라고 정의하고 <Table 4>와 같이 Ahire et al.[2], Sila and Ebrahimpour[25], Kim[17]에 의해 정의된 경영진 지원, 조 직구성원 참여, 지속적 개선, 고객 중시 등 4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여 측정하고자 한다.
2.1.2 경영성과(Balanced Score Card, BSC)
경영성과(BSC)는 1992년 Robert Kaplan과 Davide Norton 에 의해 처음 제안된 전략적 관리 도구이다. 조직의 성과 를 측정하고 관리하기 위해 기업의 전략과 비전에서 시작 하여 재무적 관점, 고객만족 관점, 내부 프로세스 관점, 학 습 및 성장 관점 등 4가지 관점을 주요 성과영역으로 선택 하여 균형성과표를 구성하였다[15]. 이러한 4가지 관점은 기업의 비전 달성을 위한 계획과 전략을 수립하고 목표달 성 정도를 평가할 수 있게 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경영성과(BSC)는 ‘기업의 재무적 지표 와 비재무적 지표의 향상을 평가하여 얻은 성과’로 정의하 고 Park[23]의 연구를 참조하여 <Table 5>와 같이 4가지 요소로 구성하고자 한다.
2.2 기존연구 고찰
본 연구와 관련된 주요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Baker and Dutton[4]은 관리자의 긍정적 리더십은 조직 원간 긍정적 관계 형성을 통해 조직의 활력과 협동, 시간 절약, 비용절감 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준다고 하였 다. Clifton and Harter[7]는 관리자의 긍정적 리더십은 회 사 조직원간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여 직무열의 및 생산성 향상 등 조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Cameron[6]은 관리자의 긍정적 리더십은 조직의 활력 을 주어 직무능력 및 생산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다고 하였다.
Park[22]은 긍정적 리더십이 조직의 직무성과에 직접 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더라도,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 구성원의 긍정적 삶의 태도, 학습조직활동을 매개로 하 여 조직의 직무성과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
Denison[9]은 관리자가 조직안에서 긍정적 정서, 긍정적 의사소통을 통하여 조직원에게 동기부여를 하고, 조직원 들의 잠재 능력과 강점을 활용하면 조직원들은 직무에 열 의와 적극성을 보인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대상으 로 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연구가 미흡했던 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관리자의 긍정 리더십이 품질경영활 동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본다는 점에서 의 의가 있다.
3. 연구방법
3.1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서는 2023년 10월 2일부터 10월 10일까지 20 대 이상 성인 남녀 비철금속 제조업 종사자를 표본집단으 로 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최종 유효 설문지 180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설문에 응답한 180명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Table 6>과 같이 성별의 경우 남성 88.3%, 여성 11.7%, 근로 인원은 50∼100인 미만 8.3%, 100∼150인 미만 16.1%, 150인 이상 75.6%,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11.1%, 전문대 및 대학교 졸업 75.6%, 대학원 졸업 이상 11.1%로 나타났다.
한편 근속연수는 2년 미만 13.9%, 2년∼5년 미만 17.8%, 5년∼10년 미만 23.3%, 10년 이상 45%로 10년 근 속 이상이 가장 많았다.
3.2 연구모형 및 가설
관리자의 긍정적 리더십을 독립변수로, 품질경영활동 은 내생(매개)변수로, 경영성과(BSC)를 종속변수로 하여 <Figure 1>과 같이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리더십이 조직의 직무성과에 직 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더라도,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 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조직의 직무성과에 유의한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Park[22]의 연구결과에 따라 관리 자의 긍정적 리더십, 품질경영활동, 경영성과 간에 유의한 구조적 관계가 성립될 것으로 예측, 다음과 같이 연구가설 을 수립하였다.
-
H1: 긍정적 리더십은 경영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긍정적 리더십은 품질경영활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품질경영활동은 경영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긍정적 리더십은 품질경영활동을 매개로 경영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3.3 측정 도구
본 연구에서 활용된 설문지는 <Table 7>과 같은 선행연 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의 특성에 맞 게 수정 및 보완하였다. 즉,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으 며, 평균점수가 높을수록 구성원들의 인식정도가 높다고 판단한다.
4. 연구 결과
4.1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
본 연구에서는 IBM SPSS 22.0과 IBM AMOS 22.0를 이 용하여 <Table 8>과 같이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 증을 위하여 실시했다.
먼저 관측변수의 신뢰성(Cronbach’s α)은 관측변수 모 두 0.8 이상으로 신뢰성 확보기준 0.7 이상을 충족하였다.
다음으로 측정도구의 집중타당성을 평가하였다. 참고 로 집중타당성은 요인부하량의 유의성 CR*() 값은 1.96 이상, 표준화λ (standardized λ) 값은 0.5 이상(.7 이상이면 바람직), 평균분 산추출(Average Variance Extracted) 값은 0.5 이상, 개념신뢰 도(Construct Reliability) C.R** 값은 0.7 이상일 때 타당성 기준을 충족한다.
<Table 8>에서 보면 요인부하량의 유의성 CR*(Critical ratio)은 모두 1.96 이상이고, 표준화(standardized)λ는 모두 .5 이상을 충족하였다. 그리고 평균분산추출지수(Average Variance Extracted: AVE)는 관리자의 긍정적 리더십 요인인 긍정적 분위기 0.63, 긍정적 관계촉진 0.63, 긍정적 의사소통 0.59, 긍정적 의미부여 0.68로, 품질경영활동 변인인 경영진 지원 0.77, 팀원의 참여 0.53, 지속적 개선 0.64, 고객중시 0.72로, 경영성과 변인인 재무적 관점 0.61, 고객만족 관점 0.73, 프로세스 관점 0.70, 학습과 성장 관점 0.61로, 변수값 모두가 0.5 이상을 충족하였다.
개념신뢰도 CR** 값은 관리자의 긍정적 리더십 요인인 긍정적 분위기 0.91, 긍정적 관계촉진 0.87, 긍정적 의사소 통 0.88, 긍정적 의미부여 0.90로, 품질경영활동 변인인 경 영진 지원 0.94, 팀원의 참여 0.85, 지속적 개선 0.90, 고객 중시 0.91로, 경영성과(BSC) 변인인 재무적 관점 0.86, 고 객만족 관점 0.93, 프로세스 관점 0.92, 학습과 성장 관점 0.85로 모든 변인의 개념신뢰도가 0.7 이상으로 나타나 측정도구의 타당성은 확보되었다고 할 수 있다.
4.2 구조회귀모형 적합도 검증
연구모델의 채택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AMOS 22.0을 활용하여 <Figure 1>의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Table 9>와 같이 나타났다. 모형적합도 평가기준[27] 인 CFI(Comparative Fit Index)가 0.9 이상이면 양호, TLI(Tucker-Lewis Index)가 0.9 이상이면 양호, RMSEA: 0.1 이하-보통, 0.08 이하-양호, 0.05 이하-좋음)에 따르면 본 모형적합도는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4.3 연구가설 검증 결과
연구가설을 검증하고자 <Figure 1>의 연구모형을 IBM AMOS 2를 이용하여 유의수준 α = .05로 분석한 결과, <Figure 2>와 <Table 10>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4.3.1 가설 1의 검증
“긍정적 리더십은 경영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H1은 <Table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리자의 온정성이 주가 되는 긍정적 리더십이 뛰 어나다고 해서 중간에 매개되는 시스템이 없으면 경영성 과가 향상되지 않음을 말해준다.
4.3.2 가설 2의 검증
긍정적 리더십은 품질경영활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H2은 <Table 10>에 서 보는 바와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는 중견 제조기업에서 관리자가 팀 내 긍 정적 분위기를 조성, 긍정적인 관계를 촉진, 긍정적 의사 소통, 긍정적 의미 부여할 때 팀원의 품질경영활동에 긍정 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말해준다. 따라서 회사의 팀원들 이 품질경영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 해서는 회사 관리자들이 긍정적 리더십을 팀원들에게 발 휘하여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가 있다.
4.3.3 가설 3의 검증
품질경영활동은 경영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H3은 <Table 10>에서 보 는 바와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는 회사 관리자 팀원의 품질경영활동이 선행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4.3.4 가설 4의 검증
관리자의 긍정적 리더십은 품질경영활동을 매개로 경 영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 H4는 <Table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계적으 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회사 관리자의 긍정적 리더십이 경영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더라도, 품질경영활동을 활성화하려는 관리자의 주요 역량을 매개로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 을 가져다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중견 제조기업에 서 품질경영활동 활성화는 재무적관점, 고객만족관점, 내 부업무절차 관점, 구성원들의 학습과 성장관점의 경영성 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만 이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관리자로서 긍정적 분위기 형성능력, 긍정적 관계와 소통 능력, 그리고 구성원들에게 일의 의미를 부여하는 능력인 긍정적 리더십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5. 결 론
본 연구에 참여한 비철금속의 재직자들은 회사의 관리 자가 팀 내 긍정적 분위기 조성, 긍정적 관계 촉진, 긍정적 의사소통, 긍정적 의미부여 등과 같은 긍정적 리더십을 발 휘할 경우 재직구성원들의 품질경영활동에 긍정적인 영향 을 가져다준다고 확인되었다. 다만, 관리자의 긍정적 리더 십은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고 조직의 품 질경영활동이 매개되어야만 경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회사에서 품질경영활동 체제가 구축되어 있더라 도 체계적으로 실행이 되지 않으면 경영성과 향상은 어려 우며, 회사의 경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안에 서의 품질경영활동의 활성화되어야하고 이를 위해서는 관 리자의 긍정적 리더십 강화가 꼭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팀 조직으로 운영되는 중견 제조기업 이상의 기업 은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회사에 맞는 현실적인 품 질경영활동 체계를 제대로 구축하고 관리자의 긍정적 리 더십 향상을 위한 관리자 인적자원개발 시스템 구축이 필 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시간적, 물리적 제약으로 조사대상이 180명 에 한정되어 전체산업에 적용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을 수 있지만 제조 중견기업의 경영성과 향상을 위한 경영전략 수립 시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고 할 수 있다. 향후에는 보다 많은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 해 국내 다양한 업종의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연구범위와 조사대상을 확대하고 관리자의 긍정적 리더십의 구체적 확충방안 연구 등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