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최근 제조시스템은 다각화되는 고객 니즈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유연한 생산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다. 다품 종 소량 생산과 혼류 생산체제로의 변화는 물류 복잡성을 극대화하며 효과적인 공정간 물류를 위한 물류시스템과 운 영정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자동차 공장(Automotive plant)의 부품생산공정(Part production line)과 자동화 조립 공정(Auto-assembly line)으로의 부품(Parts)의 적시 공급이 공장의 생산성을 극대화하는데 중요하다. 하지만, 부품생산 및 조립공정의 서로 다른 생산주기와 처리시간으로 인해 공정간 수요-공급 불균형을 유발하며, 이는 다양한 부품을 임시 저장할 수 있는 자동창고 시스템(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ASRS)의 필요성을 강조한다[14].
ASRS는 제조공장과 물류창고에서 부품 혹은 자재가 적 재된 팔레트(Pallet)의 저장과 반출을 수행하며 수요와 공 급 사이에 완충공간 역할을 수행한다[5]. 일반적인 ASRS 는 저장 및 반출 작업 요청이 발생하는 입출고지점과 자재 가 저장되는 랙(Rack)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출고 지점 과 랙 사이의 자재의 저장 및 반출 작업은 S/R 크레인 (Storage/Retrieval machine)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동시 에 이동하며 수행한다. 입고와 출고지점은 ASRS의 운영 환경과 목적에 따라 단일 및 복수지점에서 통합 혹은 분리 하여 운영한다. 본 연구에서는 <Figure 1>과 같이 부품생 산 및 조립공정간 다품종의 부품 물류를 처리하기 위한 분리된 입출고 지점과 단위 길이가 다른 이형 랙 ASRS (Separated I/O Depots and Two-types of Racks ASRS, SDTR-ASRS)을 연구 대상시스템으로 한다.
부품생산 및 조립공정 사이에 위치하는 SDTR-ASRS 는 입고지점과 출고지점을 분리하여 운영함으로 공정간 생산일정을 동기화하기 위한 부품의 저장과 반출을 수행 한다. 또한 단위 길이가 다른 이형 랙 구조는 다품종 소량 생산을 용이하게 한다[11]. 이형 랙 활용의 다른 장점으 로는 대형랙을 공동저장영역(Common storage zone)으로 활용하는 유연한 저장 운영이 있다[12]. SDTR-ASRS의 운영자는 생산환경에 따라 적합한 운영정책을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형 랙 배치, 공동저장영역 활용, 저장-반출 작업전환 운영정책의 시뮬레이션 연구를 통해 운영환경별 적합한 운영정책과 정책조합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제2장에서는 문헌연구를 소개하고, 제3장에서는 SDTR-ASRS 시뮬레이션의 가정사항과 운영환경 및 운영 정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4장은 시뮬레이션 실험 결과 로 운영환경별 운영정책 및 정책조합을 평가한다. 마지막 으로 제5장은 결론을 내리는 순서로 논문을 구성하였다.
2. 문헌연구
기존의 문헌연구에서는 ASRS의 효과적인 저장과 반출 작업을 위한 S/R 크레인 이동시간과 작업 응답시간 최소 화를 위한 선행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ASRS의 구조에 따라 one-depot, two-depot ASRS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동시간 및 응답시간 평가 및 최소화 위한 확률모형과 스케 줄링 연구가 선행되었다.
Bozer and White[1]는 one-depot, two-depot ASRS의 S/R 크레인의 단일 및 이중명령에 대한 기대 이동시간을 추정 하는 확률모형을 제안하였다. Nam et al.[13]은 저장과 반 출 작업 요청이 포아송 과정으로 발생하는 운영환경에서 이중명령을 우선 처리하는 ASRS의 평균 작업 응답시간을 추정하는 확률모델을 제안하였다. Hur et al.[6]은 one-depot ASRS의 저장 및 반출 작업 대기열 길이를 추정하는 확률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시뮬레이션으로 검증하였다. Chung and Kim[4]은 ASRS와 유사한 LCD공정의 스토커 시스템의 단일 및 듀얼로봇의 기대 이동시간을 추정하는 확률모형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확률모형을 통한 S/R 크레인의 기대 이동거리와 작업 응답시간을 평가하는 선 행연구에서는 ASRS의 형태와 운영환경에 따른 설계의 기 준을 제시하고 있다[1, 4, 6, 13].
ASRS의 설계가 결정된 이후, S/R 크레인의 저장 및 반출 작업의 스케줄링이 생산성을 결정한다. Gharehgozli et al.[5] 은 two-depot ASRS의 반출 작업 순서 결정 알고리즘을 제안 하였다. Tanaka and Araki[16]는 동일한 ASRS에서 S/R 크레 인 이동거리 최소화를 위한 MILP (Mixed-integer linear programming) 모형을 제안하였다. Gharehgozli et al.[5]과 Tanaka and Araki[16]의 연구를 통해 two-depot ASRS는 저장 -반출 작업전환 빈도를 최소화함으로 이동거리를 최소화함 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들의 연구에서는 저장 및 반출 작업 응답시간을 고려하지 않았다. Lee and Kim[8]은 저장 및 반출 작업에 납기가 존재하는 Just-in-time 운영환경을 고려한 one-depot ASRS의 스케줄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작업 응답시간을 평가하였다[5, 8, 16].
Ven den Berg and Gademann[17]은 one-depot ASRS의 운영정책 시뮬레이션 연구를 수행하여 작업 응답시간과 S/R 크레인 이동거리 사이에 절충이 발생함을 보였다. Moon and Kim[12]은 one-depot ASRS의 등급별 저장 (Class-based storage) 연구를 확장한 공동저장영역(Common storage zone)에 관한 시뮬레이션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작업발생 빈도와 작업량을 고려한 시뮬레이션 연구를 통해 공동저장영역을 확장함으로 S/R 크레인 이동 거리 감소와 처리량이 개선됨을 보인다. Chun and Lee[3] 는 다품종 소량생산 시스템에 대응하는 이형 랙 ASRS의 필요성과 S/R 크레인 이동거리 추정 확률모형을 제안하였 다. Lee et al.[10]은 이형 랙 ASRS의 설비, 건축, 운영비용 을 고려한 최적 설계 수리모형과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3, 10, 12, 17].
SDTR-ASRS와 관련된 연구로 분리된 입출고 지점이 있 는 Separated I/O Depots ASRS의 스케줄링 연구[5, 16]와 다양한 랙 규격을 고려한 Two-types of Racks ASRS의 생산 성 평가 연구 및 최적설계 연구[2, 3, 9, 10, 11]가 선행되었 다. Gharehgozli et al.[5]과 Tanaka and Araki[16]의 연구를 통해 SD-ASRS의 저장-반출 작업전환 빈도가 작업 응답시 간 및 S/R 크레인 이동시간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Chun and Lee[3]와 Lee et al.[9]은 이형 랙 ASRS의 생산성 추정을 위한 크레인 이동거리 확률모형을 제안하였으며, 저자의 후속연구[10, 11]에서 최적 이형 랙 설계를 위한 수리모형을 제안하였다. Cardona and Gue[2]는 다양한 규격 의 랙 배치에 따른 시뮬레이션 평가를 수행하여 이형 랙 활용이 ASRS 운영에 경제적 이점이 있음을 보였다.
선행연구는 다양한 구조의 ASRS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자동화 공장 내 부품생산 및 조립공정 사이의 완충 역할을 수행하는 SDTR-ASRS의 이동거리와 응답시간을 동시에 고려하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SDTR-ASRS의 이형 랙 배치와 운영정책을 평가하는 시뮬 레이션 연구를 통해 다양한 운영환경별 효과적인 운영정 책 및 정책조합을 제시한다.
3. SDTR-ASRS 운영정책 시뮬레이션 평가
본 장에서는 SDTR-ASRS 시뮬레이션 평가 절차와 시뮬 레이션 가정사항, 운영환경, 운영정책을 소개한다. 본 연 구에서는 <Figure 2>와 같이 시스템 분석을 바탕으로 시뮬 레이션 구현, 운영정책 수립, 실험계획 및 시뮬레이션 평 가를 수행한다[7, 15].
3.1 시뮬레이션 가정사항
본 장에서는 SDTR-ASRS의 다양한 운영환경별 운영정 책 평가를 위한 시뮬레이션과 가정사항을 소개한다. <Table 1>에 SDTR-ASRS의 제원과 가정사항을 나타낸다. 이형 랙은 소형 랙(Narrow-width rack)과 대형 랙(Widewidth rack)으로 구분한다. 소형 랙에는 소형 부품이 적재 된 소형 팔레트(Small-sized pallet)만 보관할 수 있고 대형 랙에는 소형/대형 팔레트(Small-/large-sized pallet) 모두 보 관할 수 있다. S/R 크레인은 수직-수평 방향으로 동시에 움직이며(Chebyshev distance) 단일명령과 이중명령을 모 두 수행한다. 고정비용인 S/R 크레인의 Pick-up과 Deposit 시간은 1초로 가정한다. 팔레트는 무작위의 빈 슬롯에 저 장하며 먼저 발생한 작업을 먼저 처리(FCFS)한다. 또한 작 업 요청은 무한 대기열을 가정한다.
3.2 SDTR-ASRS 운영환경
본 연구는 부품생산 공정과 조립공정의 다른 생산주기 와 일정을 가정한다. 부품생산 공정은 일일 16시간, 조립 공정은 일일 24시간 가동한다. 부품생산과 조립공정이 모 두 운영되어 저장과 반출 작업이 동시에 발생하는 16시간 은 저장이 반출 작업보다 빈번하게 발생한다. 저장과 반출 작업 요청 도착간격을 각각 α, β라 하였을 때, β/α = 1.5 인 경우 저장과 반출 부품 수량 간 균형을 이룬다. 균형을 이룬 운영환경 예시는 α = 120초, β = 180초이다. 본 연구 에서는 α을 고정하고, β을 변경하며 다양한 운영환경을 분석한다. α, β의 지수분포 도착간격을 가정한다. 부품조 립공정의 소형 부품과 대형 부품 산출량 비율은 소형 랙과 대형 랙 수의 비율과 같이 7:3으로 가정한다.
3.3 운영정책 및 파라미터
SDTR-ASRS는 이형 랙 배치와 공동저장영역의 활용이 생산성에 영향을 미친다[3, 12]. 또한 입고지점과 출고지 점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저장-반출 작업전환 횟수가 S/R 크레인의 이동시간에 영향을 미친다[16]. 따라서, 본 연구 에서는 이형 랙 배치, 공동저장영역 활용률, 저장-반출 작 업전환 운영정책과 정책조합에 따른 시뮬레이션 연구를 수행한다.
3.3.1 이형 랙 배치
소형/대형 랙의 이형 랙 배치 의사결정은 공동저장영역 활용률, 저장-반출 작업전환 운영정책 이전에 결정한다. 따 라서 다양한 운영환경과 운영정책 조합을 고려하여 강건한 생산성을 보장하는 이형 랙 배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는 <Figure 3>과 같이 4가지 이형 랙 배치를 고려한다. 이형 랙 배치(Aisle design, L)는 공용랙의 위치를 기준으로 In-depot side, Out-depot side, Central, Split으로 구분한다.
3.3.2 공동저장영역 활용률
소형 부품만 보관할 수 있는 소형 랙과 달리 대형 랙은 소형/대형 부품 모두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대형 랙에 소형/대형 부품을 얼마나 혼합하여 저장할 것인지를 결정 하는 공동저장영역 활용률(Utilization of common storage zone, U) 운영정책을 고려한다. U=0%인 경우, 대형 랙에 는 대형 부품만 보관하며, U가 증가할수록 대형 랙에 보관 할 수 있는 소형 부품의 수량이 증가한다.
3.3.3 저장-반출 작업전환
S/R 크레인은 입고지점에서 발생하는 저장 작업과 출고 지점에서 발생하는 반출 작업을 처리한다. 선행연구에 따르 면 SDTR-ASRS와 같이 입고지점과 출고지점이 분리된 ASRS의 경우, 높은 빈도의 저장-반출 작업전환은 S/R 크레 인의 공차이동 시간을 증가시킨다[15, 16]. 또한 낮은 빈도 의 저장-반출 작업전환은 작업 응답시간의 지연을 유발한다 [1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운영환경별 적합한 작업전환 빈도를 조립공정에서 요청하는 조립공정 배치 크기 (Assembly-line batch size, R)를 통해 결정한다. SDTR-ASRS 는 선행 부품생산 공정과 후속 조립공정 사이에 위치하므로 조립공정의 출고 요청에 따라 부품을 적시 공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역할이다. 따라서 조립공정의 버퍼 수량이 안 전재고수준에 도달하였을 때, 조립공정 배치 크기만큼 반출 작업을 수행하여 조립공정에 안정적으로 부품을 공급하는 작업전환을 고려하였다.
3.4 시뮬레이션 실험설계 및 성과척도
SDTR-ASRS는 저장 작업 요청 반응시간(Response time of storage requests)과 S/R 크레인 공차이동시간(Empty travel time of S/R crane) 및 가동률(Utilization of S/R crane)을 통해 생산성을 평가한다. 저장 작업 요청 반응시 간을 평가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3.3.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반출 작업은 조립공정의 안정적인 부품 공급을 보장 하므로, 저장 작업 요청 반응시간을 SDTR-ASRS의 주요 성과척도로 평가한다.
S/R 크레인의 공차이동시간을 평가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S/R 크레인의 저장 작업흐름은 (1) 작업 시작 위치→(2) 입고지점→(3) 보관 슬롯이다. 반출 작업흐름은 (1) 작업 시작 위치→(2) 보관 슬롯→(3) 출고지점이다. 위 작업흐름 중 (1)→(2)는 S/R 크레인의 작업순서 및 작업전 환에 의해 결정되는 공차이동시간에 해당한다. 반면, 작업 흐름 (2)→(3)은 S/R 크레인의 이동시간 중 고정 이동시간 에 해당한다. <Figure 4>는 저장-반출, 반출-저장 작업전환 시 발생하는 S/R크레인의 작업흐름이다. SDTR-ASRS와 같이 입고와 출고지점이 분리된 경우에 반출-저장 작업전 환 시 비용이 큰 공차이동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4B>). 따라서, 작업전환의 빈도가 S/R 크레인 운 영 효율에 영향을 미치므로 본 연구에서는 S/R 크레인의 공차이동시간을 평가한다.
S/R 크레인의 가동률은 시스템 운영 부하를 나타내는 성과척도 지표이다. 본 연구에서 S/R 크레인의 가동률은 (총 작업시간–유휴시간)/(총 작업시간)×100으로 평가한 다. <Table 3>에 SDTR-ASRS 시뮬레이션의 운영환경별 운영정책 및 정책조합을 평가하는 성과척도를 나타낸다.
4. 운영정책 시뮬레이션 실험 및 결과
SDTR-ASRS 시뮬레이션은 Tecnomatics Plant Simulation 16.1로 구현되었다. <Figure 5>는 이형 랙 배치 Central 배치, 공동저장영역 활용률 52.5% 시뮬레이션 런타임 환경 예시이다. <Table 4>에 나타낸 각 실험조건 당 10회 반복 실험하였다. 운영환경과 운영정책에 따른 전체 실험 횟수는 총 9600회이다. 안정상태(Steady state)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예비 가동시간(Warm-up time)은 2일이며 관측 시간은 3일이다. 시뮬레이션 실행환경은 Intel(R) Core(TM) i5-11600k @ 3.90GHz, 32.00GB Ram이 활용되었다.
4.1 이형 랙 배치 운영정책 분석
본 장에서는 4가지 이형 랙 배치(In-depot side, Out-depot side, Central, Split)에 따른 저장 작업 요청 응답시간과 S/R 크레인 가동률을 분석한다. <Table 5>는 U=0%에서 각 운영환경(β/α )별 이형 랙 배치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평균 저장 작업 요청 응답시간과 S/R 크레인의 가동률은 β/α가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운영환경이 가장 여유로운 β/α=1.6에서 Out-depot side 배치가 가장 빠른 응답시간을 보인다. 이는 부품 중 70%를 차지하는 소형 부품이 입고지점과 가까운 위치에 보관되기 때문이다. 반 면, 운영환경이 가장 바쁜 β/α=1.3에서 Split 배치가 가장 빠른 응답시간을 보인다. 이는 운영환경이 바빠질수록 대 부분의 부품을 중앙 측에 보관해야 효율적인 SDTR-ASRS 운영이 가능함을 나타낸다.
4.2 이형 랙 배치와 공동저장영역 활용률
이형 랙 배치 별 공동저장영역 활용률에 따른 저장 작 업 요청 반응시간을 분석한다. <Figure 6>는 운영환경 β/α=1.6, 1.3에서 이형 랙 배치 별 공동저장영역 활용률에 따른 저장 작업 요청 응답시간이다. <Figure 6A>의 β/α =1.6 일 때, 모든 공동저장영역 활용률에서 Out-depot side 배치가 가장 빠른 응답시간을 보인다. 반면 <Figure 6B>의 β/α=1.3에서 공동저장영역 활용률이 낮을수록 Split 배치 가, 공동저장영역 활용률이 높을수록 Central 배치가 빠른 응답시간을 보인다. 이는 4.1의 결과와 동일하게 운영환경 이 바빠질수록 대부분의 부품을 중앙 측에 보관해야 효율 적임을 나타낸다.
4.3 공동저장영역 활용률과 저장-반출 작업전환
입고지점과 출고지점이 분리된 SDTR-ASRS는 작업전환 빈도가 S/R 크레인의 공차이동시간과 저장 작업 요청 응답 시간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조립공정 배치 크기를 기준으로 저장-반출 작업전환을 수행하며, 조립공정 배치 크기가 클수록 저장-반출 작업전환 빈도는 감소한다. <Figure 7>은 조립공정 배치 크기에 따른 S/R 크레인의 평균 공차이동시간을 나타낸다. 모든 운영환경에서 조립공정 배 치 크기가 증가할수록 S/R 크레인의 공차이동시간은 감소한 다. 이는 <Figure 4B>의 출고지점에서 입고지점으로 발생하 는 공차이동 횟수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Figure 8>은 조립 공정 배치 크기에 따른 저장 작업 요청 응답시간이다. β/α =1.6에서 조립공정 배치 크기가 6일 때, 가장 빠 른 응답시간 을 보이며 이후 조립공정 배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응답시 간은 지연된다. 이러한 추세는 다른 운영환경에서도 나타난 다. 따라서 운영환경 및 이형 랙 배치, 공동저장영역 활용률 별 최적 조립공정 배치 크기 결정이 필요하다.
4.4 최적 운영정책 조합
본 장에서는 각 운영환경별 이형 랙 배치(L), 공동저장 영역 활용률(U), 조립공정 배치 크기(R)의 가장 효과적인 운영정책 조합을 분석한다. <Table 6>에 각 운영환경별 가 장 효과적인 운영정책 조합과 타 운영정책의 평균 저장 작업 요청 응답시간 비교이다. β/α=1.6, 1.5, 1.4에서 가장 효율적인 이형 랙 배치는 모두 Out-depot side 배치이며, 가장 효율적인 공동저장영역 활용률은 0%이다. 조립공정 배치 크기는 운영환경이 바빠질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보 인다. 각 운영환경의 가장 효과적인 운영정책 조합은 타 운영정책 조합 대비 평균 응답시간은 25.1% 개선된다. 다 만, β/α=1.3으로 매우 바쁜 운영환경에서 가장 효율적인 이형 랙 배치는 Split 배치이고 공동저장영역 활용률은 0%, 조립공정 배치 크기는 15이다. 이때에 타 운영정책 조 합과의 평균 응답시간 차이는 20.9%이다. β/α=1.3에서 Split 배치를 제외한 가장 효율적인 운영정책 조합은 Central 배치, 공동저장영역 활용률 52.5%, 조립공정 배치 크기 15이며, 타 운영정책 조합과의 평균 응답시간 차이는 19.4%이다. 이는 <Figure 6B>에 나타낸 결과와 마찬가지 로 운영환경이 바쁠수록 대부분의 부품을 중앙 측에 보관 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SDTR-ASRS의 신속한 저장 작업 요청 응답시간을 위해서 이형 랙 배치와 공동저장영역 활용률, 반출 작업 배치 크기 운영정책 조합 의 결정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5. 결 론
본 논문은 생산일정과 주기가 다른 부품생산공정과 조립 공정 사이에 위치한 SDTR-ASRS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운영정책 시뮬레이션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양한 규격의 부품을 보관할 수 있게 고안된 이형 랙과 입고지점과 출고 지점이 복도 양 끝으로 분리된 구조를 가진 SDTR-ASRS는 부품생산공정과 조립공정 사이에 부품의 임시 저장과 신속 한 반출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SDTR-ASRS는 불균형한 수요와 공급 사이에서 생산일정에 유기적으로 대 응하는 완충공간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형 랙 구조와 입출고지점이 분리된 운영환경은 이형 랙 배치, 공동저장영 역 활용률, 저장-반출 작업전환과 같은 운영자의 의사결정 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다양한 운영환경별 적합한 운영정책 및 정책조합을 도출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운영환경이 바쁠수록 조립공정 배치 크기를 증가 시켜 공차이동시간을 감소시켜야 저장 작업 요청에 빠른 응답이 가능함을 보인다. 또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운영환 경이 바쁠수록 SDTR-ASRS의 중앙 측에 많은 부품을 보 관해야 신속한 저장 작업 요청 수행이 가능함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운영은 이형 랙의 Split 배치와 낮은 공동저장영 역 활용률(0%) 혹은 Central 배치와 높은 공동저장영역 활 용률(52.5%)과 같은 운영정책 조합을 통해 가능하다.
이산사건 시뮬레이션은 ASRS와 같은 물류시스템의 다 양한 운영환경에서 운영정책을 평가 및 결정하는데 적합 한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Figure 2>와 같은 절차를 따 라 SDTR-ASRS 시뮬레이션을 구현 및 실험하여 최선의 운영정책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시스템이 복잡할수록 운 영인자의 종류가 증가하고 운영환경과 운영정책이 다양해 짐에 따라 시뮬레이션 평가 비용이 증가한다. 먼저 복잡한 시스템을 모사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구현과 검증의 복잡 성이 증가하므로, 대상 시스템과 시뮬레이션 모델링의 전 문지식을 필요로 한다. 또한 시뮬레이션이 완성된 이후에 도 수많은 운영인자와 운영대안으로 인해 시뮬레이션 수 행 비용이 크게 증가한다. 마지막으로 방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의사결정자가 운영대안을 해석하고 최선의 운영정 책을 선택을 하는 것에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후속연구 에서는 SDTR-ASRS에서 큰 영향을 미치는 운영인자를 통 계모형을 바탕으로 선택하여 시뮬레이션 수행 비용을 최 소화하는 시뮬레이션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