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005-0461(Print)
ISSN : 2287-7975(Online)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ol.45 No.4 pp.210-216
DOI : https://doi.org/10.11627/jksie.2022.45.4.210

The Effects of Recruit Training with Havruta on th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of Trainees

Soo-Yun Kim*, Dong-Hyung Lee**
*Department of Smart Production & Management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Industrial & Management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leedh@hanbat.ac.kr
21/11/2022 19/12/2022 19/12/2022

Abstract


The army is concerned about the decrease in enlistment resources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the weakening of military combat power due to the shortening of the military service period. Now, the military's quantitative growth is no longer limited and it is a time for qualitative growth. To this end, the Army has been applying the Israeli learning method Havruta to recruit train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training since 2019. After applying Havruta, several scholars have studied the effect of recruit training applying Havruta.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recruit training applying Havruta improves the inner motive, creativity, and military service value of trainee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rainees' inner motive, creativity, and military service value affect their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addition, it was studied whether the effect of recruit training applied with Havruta on achievement differ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background (high school graduate or higher) and military family (professional soldiers within 4th degree) of the traine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472 recruits,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nd the moderating effect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military service value did not affect training satisfaction. Also,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creativity on trai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new recruits,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military service value on training satisfaction and training achievement according to military family memb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army's recruit training development plan and effective training system.



하브루타를 적용한 신병훈련의 효과가 훈련병의 만족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 수연*, 이 동형**
*국립 한밭대학교 스마트생산경영공학과
**국립 한밭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초록


    1. 서 론

    국방력은 병력․무기체계․군사전략․지원시스템 등 으로 구성된다. 이 중 병력은 인적요소로서 국방력의 근간 이 된다. 결국 국방력은 무기체계나 군사전략 등이 아무리 우수하더라도 이를 운용하는 인력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국방력을 제대로 발휘하기 어렵다.

    우리나라의 병역제도는 국민개병주의에 입각하여 징병 제를 원칙으로 하되 지원병제를 병행하고 있다. 육군의 경 우 2020년 6월 25일 이후 입대자는 기존보다 3개월이 단 축된 18개월을 복무한다. 군 복무기간 단축이 2년 이상 지 난 현 시점에서 군사전문가와 야전부대에서는 군 복무기 간 단축이 전투력 약화로 이어지고 있다고 꾸준히 의견을 제기하고 있다[5]. 더욱이 저출산 및 고령화 사회 속에서 생산인구 및 입대자원 감소현상은 군 전투력 강화의 큰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2, 3].

    그렇다고 군 전투력 향상을 위해 무턱대고 훈련의 양을 늘릴 수만은 없다. 따라서 처음 입대하여 받는 신병훈련을 비롯한 모든 훈련의 질적 향상이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 되고 있다. 이에 육군은 2019년부터 이스라엘의 학습법인 하브루타를 신병훈련에 적용해 오고 있다.

    서로 짝을 지어 서로 질문하고 토론하는 과정에서 새로 운 사실을 습득하는 학습법인 하브루타는 2012년 국내에 탈무드 하브루타 연구회가 발족된 이후 2015년부터 민간 부문에서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17]. 군 분야에서는 아직 미약하지만 하브루타를 적용한 신병훈련이 훈련병의 내적동기, 창의성, 군 복무가치를 향상시킨다는 연구가 이 루어졌다[8, 9]. 하지만 훈련의 궁극적인 목적은 내적동기, 창의성, 군 복무가치를 향상시키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훈련성취도를 높이는데 있다는 데서 다소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브루타를 적용한 신병훈련 효과 인 내적동기, 창의성, 군 복무가치가 훈련병의 훈련만족도 와 훈련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신병의 학력(고 졸이하, 대재이상)과 군인가족(4촌이내 군인)여부에 따라 영향의 차이가 있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먼저 관련 용어에 대해 간략히 개념을 설명하고자 한다.

    2.1 하브루타(Havruta)

    하브루타란 두 명이 짝을 지어 서로 질문하고 대화를 나누며 토론하는 유대인의 전통적인 교육방법이다[7]. 하 브루타는 유대인에게 가장 익숙한 습관이자 문화로서 가 정에서는 부모, 학교에서는 친구와 선생님과 이루어진다. 이러한 독특한 상호작용적 대화 문화가 유대인의 지식과 창조정신 함양에 크게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군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Kim et al.[8]은 장병 을 대상으로 하브루타를 적용한 프로그램에서 내적동기 가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Kim et al.[9]은 하브루타를 적용한 신병훈련이 기존 강의식 위주 의 신병훈련에 비해 내적동기, 창의성, 군 복무가치가 크 게 향상되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브루타를 적용 한 신병훈련의 효과를 내적동기, 창의성, 군 복무가치로 선정하였다.

    2.2 훈련만족도

    훈련만족도는 교육훈련프로그램의 전체적인 과정에 대 한 만족을 평가하는 지표이다. 교육훈련평가의 권위자 Kirkpatrick[14]은 4단계 평가모형 중 첫 번째 수준에 해당 하는 평가요인으로 훈련만족도를 제시하였다. 이는 훈련 의 질과 효과성을 간결하고 쉽게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병교육 과정에 대한 훈련 방법, 훈련내용, 훈련여건 측면에서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Moon[17]은 훈련만족도란 훈련을 성공적으로 이끌고 유의미한 효과를 주는 매우 중요한 변인이라 했으며 Bean[1]과 Kim and Joo[10]은 훈련만족도가 중요한 이유 로 훈련자의 훈련동기에 영향을 미치어 훈련목표 달성에 끊임없이 노력하게 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Kim[11]은 직업훈련생의 훈련만족도와 시설만족도가 훈련성취도와 상호 관련성이 있고 정선정[6]은 재직근로 자의 훈련 참여동기는 훈련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훈련만족도는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친다고 했다. 한편 Kim[12]은 장교후보생의 훈련만 족이 훈련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병사들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훈련만족도 구성요소로서 훈련방법, 훈련 내용, 훈련여건으로 하였다.

    2.3 훈련성취도

    훈련성취도는 교육훈련프로그램의 결과에 대한 만족 과 관련된 지표이다. Kirkpatrick[14]은 4단계 평가모형 중 두 번째 수준으로 훈련성취도 요인을 제시하고 이를 교육훈련 결과, 학습자 능력이 향상된 정도라고 정의하 였다. 즉, 훈련성취도는 훈련을 통하여 발생한 태도 변 화, 지식 증진, 기술 향상 등을 말하며 단순히 교과목의 성취수준 뿐만 아니라 교육목표의 포괄적 달성도를 의 미한다[4].

    Moon and Seo[18]과 Son and Son[19]은 학습자의 학습 동기, 수업태도, 창의성 등이 훈련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병이 신병훈련을 통해 훈련과목 의 교육목표를 얼마나 달성하였는가를 스스로 판단하여 측정한 결과를 훈련성취도를 정의하고 그 구성요소를 신 병이 신병훈련을 통해 얻은 군사적 지식, 기본전투기술, 군 복무에 대한 태도로 선정하였다.

    3.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연구모형에서는 내적동기, 창의성, 군 복무가치, 훈련만 족도, 훈련성취도, 학력, 군인가족 등 7개 변인을 잠재변인 으로 선정하였다. 잠재변인들 중 내적동기, 창의성, 군 복 무가치를 외생변인으로, 훈련만족도, 훈련성취도를 내생변 인으로 설정하였다. 이중 훈련만족도는 매개변인으로 설정 하고 내적동기, 창의성, 군 복무가치를 독립변인 그리고 훈련성취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각 잠재변인 간의 인과관 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력과 군인가족을 조절변 인으로 설정하여 훈련성취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확인하 고자 한다. 연구모형은 <Figure 1>과 같이 구성하였다.

    3.2 연구대상

    육군훈련소에 입소한 신병 472명을 대상으로 5주간의 신병훈련 기간 동안 교육 훈련받는 정신전력 3과목(국가 관, 안보관, 군인정신)과 기본전투기술(사격, 각개전투, 수 류탄, 구급법, 핵 및 화생방)에 하브루타를 적용하였다.

    3.3 측정도구

    본 연구를 위한 측정도구는 기존문헌 및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측정도구로서 내적동기 7문항, 창의성 7문항, 군 복무가치 7문항은 Kim et al.[9]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 다. 훈련만족도는 Kim[12]과 Ku[15]의 측정도구를 수정하 여 훈련방법 11문항, 훈련여건 11문항, 훈련내용 11문항으 로 구성하였고, 훈련성취도는 Ku[15]과 Moon[18]의 측정 도구를 보완하여 군사적 지식 13문항, 기본전투기술 8문 항, 군 복무태도 4문항으로 선정하였다. 각 설문문항의 신 뢰도를 분석한 결과 크론바흐 알파 계수가 0.7이상으로 높 게 나타나 주요 변인들의 신뢰도는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시점은 5주간의 신병훈련이 끝난 시점이며 훈련성 취도는 각 훈련과목에 대해 자기기입식으로 측정하였다.

    3.4 자료분석

    본 연구는 하브루타를 적용한 신병훈련의 3개 효과, 훈 련만족도, 훈련성취도간 구조적 관계분석을 위해 SPSS 25.00과 AMOS 2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하였다.

    첫째, 정규성 및 다중공선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기술 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적합도 및 타 당도 지수를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셋째, 연구모형 변인간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매개효과 검증을 위 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 째,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4. 연구결과

    4.1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연구모형에 포함된 변인인 내적동기, 창의성, 군 복무가 치, 훈련만족도, 훈련성취도에 대하여 <Table 1>과 같이 측정변인의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를 측정하였다.

    각 측정변인의 표준편차를 확인해 보면 내적동기는 0.837~0.843, 창의성은 0.833~0.946, 군 복무가치는 0.906~0.932, 훈련만족도는 0.788~0.825, 훈련성취도는 1.004~1.152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다. 또한 정 규분포의 조건은 왜도 3.0이하, 첨도 80 이하이므로 본 연 구의 측정변인들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기에 적합한 정규성을 확보하였다.

    측정변인 간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측정변인 간 상관 계수는 0.225~0.733의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있어 변인들 간의 영향력을 예측 가능하게 한 다. 또한 일반적으로 변인들 간의 상관계수가 0.8이상이며 다중공선성의 위험이 있다고 볼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다중공선성이 의심되는 변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2 연구모형 검증

    연구모형의 적합성 검증을 위해 GFI(Goodness of Fit Index), RMSEA(Root Mean Squared Error of Approximation), SRMR(Standardized Root Mean Residual), TLI (Tucker-Lewis Index), CFI(Comparative Fit Index)의 적합 도 지수를 확인하였다. 적합도지수의 평가기준은 RMSEA 값은 0.1이하, SRMR값은 0.05이하, TLI와 CFI, GFI값은 0.9이상이면 좋은 적합도라 할 수 있다[13]. 적합도지수의 값은 <Table 2>와 같이 모두 평가기준을 만족시킨다.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검증되었으므로 각 잠재변인 간 의 경로계수인 모수치를 추정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에 의한 타당도는 표준적재값(β), 평균분산 추출정도(AVE: Average Variance Extracted), 개념신뢰도(Construct Reliability) 의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다. <Table 3>과 같이 각 요인의 표준적재값(β)은 0.5 이상으로 개념타당도가 확보 되어 연구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 실제로 측정도구 에 의해 적절하게 측정되었다. 또한 요인별 측정변인의 평 균분산 추출정도가 0.5 이상이고 각 잠재변인의 개념신뢰 도가 0.7 이상으로 나타나 측정변인이 얼마나 잠재변인을 잘 설명하는지를 보여주는 수렴타당도도 검증되었다.

    4.3 경로분석 및 매개효과 검증

    4.3.1 경로분석

    잠재변인 간 인과관계와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측정모 형과 경로모형을 합성한 초기 구조회귀모형을 <Figure 2> 와 같이 구성하였다.

    초기 구조회귀모형의 모수치를 추정한 결과 군 복무가 치에서 훈련만족도로 가는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해당경로를 삭제한 최 종 구조회귀모형으로 모수치를 추정하였다. 추정한 모수 치는 <Table 4>와 같다.

    잠재변인 간의 경로를 살펴보면 내적동기와 창의성은 각각 훈련만족도와 훈련성취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군 복무가치는 훈련성취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 을 미친다. 또한 훈련만족도는 훈련성취도에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친다.

    4.3.2 매개효과 검증

    매개효과 검증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훈련만족도에 대하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 다. 내적동기, 창의성, 군 복무가치와 훈련성취도 간의 관 계에서 훈련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결과는 <Table 5>와 같다.

    내적동기, 창의성, 군 복무가치와 훈련성취도 간의 관계 에서 훈련만족도의 매개효과는 95% 신뢰구간에서 내적동 기 0.219~0.509, 창의성 0.196~0.257, 군 복무가치 0.231~ 0.629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보이고 있어 0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4.4 다중집단분석

    다중집단분석은 둘 이상의 집단비교시 각 집단에서의 경로계수가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지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다중집단분석은 두 번의 단계를 진행하는데 먼저 확인적 요인분석단계와 구조모형분석 단 계로 진행된다. 확인적 요인분석 단계는 각 집단 간 응답 결과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측정동일성을 확인하고, 구 조모형분석에서는 집단 간의 경로계수 간의 유의미한 차 이를 확인한다[13].

    본 연구에서는 다중집단분석을 통하여 훈련병의 내적 동기, 창의성, 군 복무가치에 대한 학력, 군인가족에 따른 집단별 경로계수의 유의미한 차이를 검증하였다. 다중집 단분석의 대상은 학력의 경우 고졸 이하가 94명(20%), 대 재 이상이 378명(80%)이며, 군인가족 유무의 경우 4촌 이 내의 군인가족이 있는 훈련병이 109명(23%), 군인가족이 없는 훈련병이 363명(77%)이다.

    4.4.1 학력에 따른 다중집단분석

    학력에 따른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비제약모 형의 χ2=505.432, df=160이고 요인부하량 제약모형의 χ2 =524.975, df=170으로 두 모형의 χ2차이는 19.543, df의 차이는 10으로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졸이하 집단과 대재 이상 집단의 측정 동일성을 확보하였다. 학력에 따른 구조모형분석 결과는 <Table 6>과 같다.

    고졸 이하 집단과 대재 이상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차이가 있는 경로는 창의성이 훈련성취도에 미치는 경로이다. 즉, 창의성이 훈련성취도로 가는 경로의 표준화 계수(β)는 고졸 이하 훈련병이 0.532, 대재 이상 훈련병이 0.667로 대재 이상 훈련병의 경우 창의성이 훈련성취도에 유의미하게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4.2 군인가족 여부에 따른 다중집단분석

    군인가족 여부에 따른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비제약모형의 χ2=470.314, df=160이고 요인부하량 제약 모형의 χ2=503.764, df=185로 두 모형의 χ2차이는 137.449, df의 차이는 25로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 따라서 군인가족이 있는 집단과 군인가족이 없는 집단의 측정동일성을 확보하였다. 군인가족 여부에 따른 구조모형분석 결과는 <Table 7>과 같다.

    군인가족이 있는 집단과 군인가족이 없는 집단 간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경로는 군 복무가치가 훈련 만족도와 훈련성취도에 미치는 경로이다. 즉, 군 복무가치 가 훈련만족도로 가는 경로의 표준화계수(β)는 군인가족 이 있는 훈련병 0.845, 군인가족이 없는 훈련병 0.742이며, 군 복무가치가 훈련성취도로 가는 경로의 표준화계수(β) 는 군인가족이 있는 훈련병 0.440, 군인가족이 없는 훈련 병 0.386으로 군인가족이 있는 훈련병의 경우 군 복무가치 가 훈련만족도와 훈련성취도에 유의미하게 큰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하브루타를 적용한 신병훈련의 효과인 훈련병의 내적동기, 창의성, 군 복무가치가 훈련만족도와 훈련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훈련병의 학력과 군인가족 여부에 따른 훈련만족도와 훈련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훈련병의 내적동기, 창의성, 군 복무가치와 훈련만족도 및 훈련성취도 간의 긍정적이고 유의한 인과관계가 입증 되었다. 다만, 군 복무가치가 훈련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 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군 복무가 중요하고 합 리적이며 유용하다고 인식하더라도 훈련만족에는 큰 영향 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내적동기, 창의성, 군 복무가치가 훈련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훈련성취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군 복무 가치가 훈련만족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더라도 궁극적으로 훈련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유의한 인과관 계로 볼 수 있다. 이 결과는 하브루타를 적용한 신병훈련 을 통해 향상된 내적동기, 창의성, 군 복무가치가 훈련성 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훈련목표를 달성하는데 유 의미한 결과를 보여준다.

    훈련병의 훈련만족도와 훈련성취도 향상을 위해 훈련 병의 학력과 군인가족 여부에 따른 조절효과를 입증하였 다. 학력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은 창의성이 훈련만족도 에 미치는 경우이며 고졸 이하 훈련병보다 대재 이상 훈련 병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군인 가족 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은 군 복무가치가 훈련 만족도와 훈련성취도에 미치는 경우이며 군인가족이 있는 훈련병이 군 복무가치로 인해 훈련만족 및 훈련성취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신병훈련에 하르부타 를 지속 적용한다면 훈련병의 훈련만족도 향상과 더불어 훈련성취도가 향상되어 각개 병사의 전투력 향상에 도움 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신병훈련 동안 고졸 이하 훈련 병의 창의성 향상에 노력하고 그룹 조 편성시 군인가족이 있는 훈련병을 포함함으로써 군인가족이 없는 훈련병의 군 복무가치 향상을 통해 훈련효과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

    향후에는 육군훈련소 훈련 뿐만 아니라 사단급 신병교 육부대 훈련, 야전부대 훈련 등 연구대상을 확대, 훈련집 단별 연구변인들 간의 관련성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 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Figure

    JKSIE-45-4-210_F1.gif

    Research Model

    JKSIE-45-4-210_F2.gif

    Initial Structural Regression Model

    Table

    Descriptive Statistics

    Fit Index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ath Analysis

    Mediating Effect

    Structural Model Analysis

    Structural Model Analysis

    Reference

    1. Bean, J.P. and Bradley, R.K., Untangling the satisfaction performance relationship for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1986, Vol. 57, No. 4, pp. 393-412.
    2. Choi, K.P. and Kim, I.K., Improving Soldier’s Initial Entry Training to Strengthen the Battle Field Combat Competency, The Quarterly Journal of Defense Policy Studies, 2012, Vol. 28, No. 1, pp. 68-9.
    3. Chong, K.Z., The Impact of Low Birth and Aged Society on the Acquisition of Army Officer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020, Vol. 11, No. 5, pp. 2151-2163.
    4. Chung, J.S. and Lim, K.Y., Effects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the Learner Participation,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the Web-Based Online Discuss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000, Vol. 16, No. 2, pp. 107-135.
    5. Han, K.R., Effective Methods to Train Enlisted Soldiers Following Shortened Service Period, Krins Quarterly, 2019, Vol. 4, No. 3, pp. 173-222.
    6. Jeong, S.J., The Relationship among Training Motivation, Training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Field Application Predictability of Employees,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and Talent Research, 2016, Vol. 18, No. 1, pp. 401-430.
    7. Kent, O. and Cook, A., Havruta Inspired Pedagogo: Fostering An Ecology of Learning for Closely Studying Texts with Others, Journal of Jewish Education, 2012, Vol. 78, pp. 227-253.
    8. Kim, J.J., Park, B.W., and Jo, Y.S., Effects of Havruta Program on Self-Determinatio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Military Soldiers, Korea HRD Federation Joint Academic Conference, 2018, pp. 1-42.
    9. Kim, S.Y., Kim, D.W., and Kim, Y.H., A Study on Why campaign Effectiveness on the Army Recruit Training, Korean Journal of Military Art and Science, 2019, Vol. 75, No. 1, pp. 97-124.
    10. Kim, N.Y. and Joo, Y.J.,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earner Motivation, Program, Organizational Support, Interaction, Flow and Learning Outcome in Cyber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010, Vol. 26, No. 2, pp. 53-82.
    11. Kim, M.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ining Satisfaction and the Facilities Satisfaction of the Trainees Achievement, Journal of Skills and Qualifications, 2018, Vol. 7, No. 2, pp. 179-195.
    12. Kim, H.G., The Effects of Military Professors’ Multifaceted Teaching Competencies on Learners’ Educational Performance, [dissertation], [Gyeongbuk, Korea], Yeungnam University, 2014.
    13. Kim, S.Y., The Effects of Recruit Training with Havruta and Plan for Enhancing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of Trainees, [dissertation], [Deajeon, Korea], Hanbat National University, 2022.
    14. Kirkpatrick, D.I., Evaluating Training Programs: The four levels (2nd), San Francisco; Berrett Koehler Publishers, 1998.
    15. Ku, Y.M.,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Learning Burden on the Satisfaction and Perceived Academic Performance in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Air Force’s Squadron Officer Course, [dissertation], [Seoul, Korea]: Korea University, 2020.
    16. Lee, Y. and Park, I.W.,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er Characteristics, Learning Strategies,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Effects in e-Learning of Cyber Universit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012, Vol. 28, No. 1, pp. 137-168.
    17. Moon, Y.J., Analysis of Trends in Havruta Research Based on Topic Modeling, The Journal of Learner- 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0, Vol. 20, No. 4, pp. 1149-1175.
    18. Moon, B.Y. and Seo, B.K.,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in Creative Problem Solving Program on Creativity and Learning Performance, Journal of Hotel & Resort, 2020, Vol. 19, No. 1, pp. 345-359.
    19. Son, C.K. and Son, K.J., Motivation and Use of Learning Strategies Effect to English Achievement Early and Late in the Semester,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011, Vol. 9, No. 2, pp.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