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005-0461(Print)
ISSN : 2287-7975(Online)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ol.45 No.3 pp.31-39
DOI : https://doi.org/10.11627/jksie.2022.45.3.031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efense IoT for the Implementation of Common Service in the Army, Navy, and Air Force

Young-Min Bae†
Department of Military Kyungnam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c13001@kyungnam.ac.kr
14/07/2022 05/08/2022 15/08/2022

Abstract


The Army, Navy, and Air Force are currently making various efforts to apply defense IoT technology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ilitary. However, there are concerns that comprehensive collection, management, and analysis may be limited because each military has no overlapping system or guaranteed interoperability of data, and there are inefficient aspects in terms of using and investing a limited defense budget. In this study, evaluation items and priorities for pilot projects were selected by applying Delphi technique and AHP method to determine which projects are preferentially effective when commonly applied in terms of Army, Navy, and Air for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oject basis and driving force, project feasibility, performance and ripple effect, redundancy and connection were identified in the order of IoT-based small detachment units and unmanned base construction, intelligent smart unit, smart ground ammunition depot, and smart trai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comprehensive results reflecting the weights of each evaluation item, the fact that small detachment units and unmanned base construction project are recognized as the first project to be applied to the Army, Navy, and Air Force is a valid approach to be effective while each military is burdened with personnel management because of the reduction of manpower.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to the policy of the defense IoT project can be confirmed in terms of efficient use of limited budgets.



전군 공통 서비스 구현을 위한 국방 IoT 적용방향 연구

배 영 민†
경남대학교 군사학과

초록


    1. 서 론

    육․해․공군은 현재 병력, 총기, 탄약 등 관리체계에 상용 LTE(Long Term Evolution) 기반 사물인터넷(IoT)을 적용하고 있으며 국방 IoT 영역은 병영생활 안전사고 예 방에서 군사력 강화분야로 점차 확대하여 적용하려고 시 도하고 있다. 국방 IoT 기술의 경우 네트워크 기반 무기 체계와 디바이스 운영, 데이터 수집, 제어 및 .활용을 위 한 통합 플랫폼의 필수적 기술로 인식되고 있으며 인공 지능,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기타 4차 산업혁명 핵심기 술을 적용할 수 있는 근간이 된다는 측면에서 국방 IoT 는 병력, 물자, 시설, 수송, 교육 등과 관련된 국방자원관 리, 무기체계, 지휘통제 통신체제와 연계된 국방전장관 리의 지능화를 위해 높은 활용도가 기대된다[17].

    국방 IoT 기술은 각 군별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육군의 경우 총기, 탄약 등 자원관리체계에 적용되어 총 기함 개폐통제, 총기 입․출고, 탄약고 개폐통제, 탄종, 수량, 입․출고 관리 등 총기나 탄약에 진동센서를 부착 해 물체 위치, 거리 등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는 스마트 기기나 PC로 확인하여 조회하고 있다. 해군은 팔 찌형 센서를 군인이 착용토록 하여 병력을 관리하고 병 영생활을 넘어 군사특기별 부대 배치현황, 휴가, 외박관 리 등 인사관리 업무에 적용하고 있다. 또한 공군은 교육 훈련 자재나 각종 군수 품목에도 센서를 부착해 관리하 고 훈련 장소에 센서를 부착한 드론을 배치해 영상정보 수집 등 영역에서 적용하고 있다.

    이처럼 각 군의 특성을 반영하여 국방 IoT 기술을 적 용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수행하고 있으나 각 군은 공 통 적용이 가능한 부분에 대해서도 각 군별로 진행하여 중복된 체계를 구축하거나 IoT 기술에서 생산된 데이터 의 상호운영성이 보장되지 않고 있어 국방 데이터라는 측면에서 종합적 수집, 관리, 분석이 제한될 우려가 존재 한다[25]. 또한 체계적인 국방 IoT 사업 추진 및 예산 중 복 투자를 개선하기 위하여 전군 공통 서비스에 대한 정 책 방향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다[15].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기존 문헌 연구 및 현재 진행되 고 있는 각 군 시범사업과 장차 진행할 IoT 사업계획을 바탕으로 국방 IoT의 사업화 분야를 식별, 체계화하고 어떤 분야가 육․해․공군에 공통 적용되었을 때 가장 효과가 있는 사업 분야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자 하였다. 분석과정에서 델파이 기법과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방법을 이용하여 IoT 전문가 및 실무자, 정책참여자 등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장에서 이론적 배경으로 국방 IoT사업과 관련된 육․해․공군의 적용실태에 대해 살펴보고 델파 이기법과 AHP방법에 대해 확인한다. 이어 3장에서는 연 구모형과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4장에서는 분석과정을 통해 산출된 결과에 대해 제시하고 확인된 내용에 대한 영역별 분석결과를 제시한 뒤 마지막으로 결론 및 추후 연구방향에 대해 확인한다.

    2. 이론적 배경

    2.1 국방 IoT 관련 기존연구

    군은 사물인터넷(IoT)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국방경영을 효율화하 고 병영문화를 혁신하며 전력을 강화시키는 등 스마트 국방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20].

    이와 같은 국방 IoT 관련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Han and Park[5]은 IoT 센서를 연결하여 국방정보통신망에 적용하 는 사이버보안에 관해 연구하면서 국방망과 접점을 최소화 한 IoT 통합 독립 네트워크 효율적 연동설계 방안을 제시하 였고 Kum et al.[18]은 국방 IoT 데이터의 임무 중요도를 고려한 신뢰보장 다중 경로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시하였다. Kim[12]은 사이버 공격에 대비한 국방 IoT아키텍처 설계를 제시하였고 Kim[16]은 국방 IoT 적용 가능한 안전한 키 관리기법을 제시하였다. Jang and Lee[7]는 사이버 공간 작 전수행을 위한 국방 IoT 기술소요에 대해 제시하였다. Lee[23]는 국내․외 변화에 대응하는 군 경계 시스템에 대 하여 국방 IoT 기술 적용을 제시하였고 Jang[6]은 군 수송작 전시 군집주행 적용에 관한 국방 IoT 기술의 소요에 대해 연구하였다. Lee[22]는 유비쿼터스 기술의 적용분야로서 국 방 IoT 기술에 대해 연구하였고 Son et al.[32]은 스마트 보안기술 분야에서 국방응용에 관한 연구를 제시하면서 국 방 IoT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Park and Kang[27]은 미래 C4I 체계 관리 적용방안 연구에서 IoT 기술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Na[27]는 군정보체계 통합을 위한 국방 IoT 기 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다양한 분야에서 국방 IoT의 적용 필요성 및 응용에 대해 강조하고 있으나 개별적 영역에서 중요성을 강조할 뿐 육․해․공군에 공통 적용 가능한 사업영역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동일한 사업내용에 대해 육․ 해․공군이 각기 다른 방식으로 진행하다보니 예산 사용 의 중복성과 비효율성이 확인되었고 각 군간에 교류가 없는 실정에서 국방부 입장에서 효율적 예산집행은 필요 한 상태이다. 국방 IoT 사업의 공통 적용은 예산의 효율 적 사용과 실질적 국방 IoT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전군에 공통 적용할 수 있는 사업 우선순위 및 방향 설정 연구 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평가항목 관련 기존연구를 살펴보면 Yang[33]은 IoT 국방분야 적용기술 현황 및 전망에서 감시체계 기술, 통 신망 기술, 정보보호기술, M&S기술에 대한 평가가 필요 하다 강조하였으며 Lee and Baek[24]은 IT사업 성과측정 과 관련하여 계획수립의 적정성, 성과계획의 타당성, 예 산과 기간, 경제성 등을 평가항목으로 제시하였다. Kwon et al.[19]은 국방정보화 평가 및 관리측면에서 정책 이행 여부, 실적 및 성과점검, 사업타당성, 성과목표와 계획의 적절성, 위험관리, 운영단계에서의 사업성과 등을 평가 내용으로 제시하였다. 하지만 국방 IoT 사업에 관련한 평가항목에 관련된 기존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추가적으로 해외 국방 IoT 관련 기존연구를 살펴보면 Bansal et al.[2]은 개발도상국에서의 국방 IoT 적용을 위한 자산가시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Zielinski et al.[35]은 스마트 시티 환경에서 사물인터넷의 군사적 응용을 통해 정보획득과 상황인식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 시하였다. Matthias et al.[26]은 무인항공기(UAV)를 이용 하여 이동성, 민첩성 등 측면에서 국방 IoT사업의 효율적 인 구현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Barker et al.[3]은 국방 IoT 적용에 있어 다양한 기종간의 정보교환 및 도청에 대한 보안측면에서 적군에 대한 불확실성을 높이는 메시지 구 성방식을 제안하였다. 이처럼 해외에서도 IoT기술을 국방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노력을 다양하게 하고 있지만 육․ 해․공군에 공통으로 국방 IoT를 적용하는 연구는 미흡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2 국방 IoT가 적용된 기존 군 시범사업

    각 군별로 미래 군에게 요구되는 역할을 위해 국방 IoT기술은 핵심 역할로 초연결 네트워크에 다양한 노력 을 시도하고 있고[13] 현재 진행 중인 각 군 추진현황은 <Table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방 IoT를 이용하여 추진 중인 사업은 첫 번째, 전투 준비 차원의 안전관리 체제 구축이며 두 번째, 스마트 작 전지속지원 시설 구축 등을 통해 사물인터넷 기술과 빅 데이터, AI 기술까지 융합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8]. 하지만 스마트부대, 탄약, 무인기지 등 육․해․공군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분야가 존재하며 각 군별 독 자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국방부 입 장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국방 IoT 사업이 존 재하지만 각 군별 개별적으로 진행한다는 것은 예산측면 에서 비효율적임을 추정할 수 있다.

    2.3 델파이 기법

    델파이 기법은 전문가를 대상으로 반복적인 피드백을 통한 의견도출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조사방법으로 반복, 익명성, 합의, 통계적 표현 등의 특징으로 공간의 제약없 이 전문가 집단을 참여시킬 수 있고 다양한 의견 교환을 가능케 하여 정보의 질과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9].

    델파이 기법 1단계는 사전준비로 조사 주제의 설정, 전문가 선정, 전체적 설문조사의 과정설계를 적용한다. 2 단계는 실제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단계로 설문지를 작성 하고 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다음 설문지를 개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3단계는 평가 및 정리로 조 사를 통한 결과를 정리 및 평가하고 최종결과 작성하는 단계이다. 델파이 기법의 신뢰도 측면에서 측정하려는 대상을 일관성있게 안정적으로 측정하였느냐를 확인하 기 위해 다항목 변수들의 내적 일관성 검토에 대해 사용 되는 크론바하 α계수(Cronbach’s Alpha Coefficient)를 활 용할 수 있으며 실제 적용에 있어 크론바하 α계수값이 0.6 이상이면 신뢰도를 충족했다고 평가하고 있다[4].

    타당도 측면에서는 측정하려는 대상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였느냐에 대해 식 (1)과 같은 CVR(Content Validity Ratio) 값을 활용한다[1].

    C V R = N e N 2 N 2
    (1)

    Ne는 적합함으로 응답한 패널의 수를 말하며 N은 전 체 델파이 패널 인원을 의미한다. CVR 값은 0∼1을 나 타나게 되는데 유의수준 0.05 수준에서 <Table 2>와 같 이 인원수에 따른 최소 CVR값 이상을 가지면 타당도가 있다고 볼 수 있다[21].

    2.4 계층적 분석법(AHP)

    AHP 방법은 Saaty에 의해 의사결정 문제를 표현하고 대안에 대한 선호도 평가모형을 위해 계층을 사용하는 다기준 의사결정모델로 개발되어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 어 왔다[30]. 특히 다양한 평가요소에 대해 중요도와 대 안의 선호도를 쌍대비교를 통해 평가하고 결정요소의 속 성과 측정척도가 다양한 문제에 적용되어 선택할 수 있 는 여러 대안을 체계적으로 순위화 시켜서 직관적으로 대안들 사이의 선택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에 적용되어 왔다[28]. 쌍대비교는 n개의 평가항목에 대해 식 (2)와 같은 정방행렬이 구성된다.

    JKSIE-45-3-31_EQ2.gif
    (2)

    참여자가 논리적 일관성을 유지하였는지가 중요하며 평가자의 판단 오류에 대한 일관성 결여를 확인하기 위 해서 일관성 지수(Consistency Index)를 <Table 3>의 임 의지수(Random Index)로 나누어 도출되는 일관성 비율 (Consistency Ratio)을 활용하고 C.R.값은 식 (3), (4)에 의 해 계산된다[10].

    C . R . = C . I . R . I . × 100
    (3)

    C . I . = λ max n n 1
    (4)

    일관성 비율 값이 0.1 보다 작을 때 합리적 일관성을 가진다고 판단하고 0.2 이내이면 용납할 수 있는 수치로, 0.2 이상의 값을 가질 경우 일관성 부족으로 재조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14].

    3. 연구모형 및 방법

    3.1 연구모형

    본 연구에 적용된 모형의 첫 번째 단계는 문헌 및 자 료 조사를 통한 예비 평가항목 구성이다. 국방 IoT 평가 항목과 관련한 연구가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하여 평가항목 후보군 선정에 있어 최대한 자유로운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는 방향으로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개방형 설문으로 진행하였다. 두 번째는 현재 진행 중 사 업과 계획 사업을 후보군으로 선정한 후 1, 2차 설문지 를 통해 공통 적용해야 할 시범사업을 도출하였다. 세 번 째는 AHP 방법의 적용으로 최종 도출된 구조화된 평가 틀을 바탕으로 각 사업들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를 분석하였다.

    3.2 연구방법: 델파이(전문가 선정 및 자료수집)

    자료수집을 위해 아래 기준을 두고 최소 1개 조건을 충족하는 전문가를 선정하였다. 기준에 부합하는 전문가 21명으로 진행하였으며 <Table 4>와 같이 1, 2차 설문을 통해 의견을 수집, 분석하였고 자료수집은 이메일 및 직 접 방문으로 실시하였다.

    • ① 국방 IoT 분야의 2년 이상 실무경력 종사자 및 국 방부, 각 군 본부 등 정책분야 직위자

    • ② 민간 IoT 컨설팅 또는 실무 경험이 있는 IoT 영역 실무 3년 이상 근무자

    • ③ IoT 분야 관련 연구실적 가진 교수, 연구원

    1차 델파이 조사 응답자 수는 14명, 2차 응답자는 13 명이며 해당하는 CVR 권장 최소값은 0.51과 0.54로 이 와 동일한 기준값을 설정하였다. 그 이상의 CVR 값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항목의 타당도가 부족한 것으로 판 단하고 2차 설문 및 최종평가 내용에서 제외하였다[11].

    설문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5>에서 확인되는 것처 럼 1, 2차 델파이 기법을 통해 각 항목에 대한 상위 2개 세부지표와 타당도 측면에서 4.5 이상 결과값을 보인 항 목을 중심으로 적용하였다. 최종 선정된 평가항목으로 사업간 중복 및 연계 가능성에 대한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게 확인되었고 사업추진 근거 및 원동력, 사업내용의 타당성, 사업의 성과 및 파급효과 순으로 확인되었다. 신 뢰도 분석을 위해 크론바하 α를 이용하여 항목 간의 내 적일치도를 확인하여 기본적으로 모든 항목이 0.75 이상 을 넘어 신뢰할 만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31].

    3.3 연구방법: AHP (시범사업 분석)

    AHP 방법은 <Figure 1>과 같이 적용하였다. 공정성과 전문성 확보를 위해 델파이 조사에 참여했던 전문가 14 명을 대상으로 AHP를 실시하였다. 분석과정에서 일관성 지수(C.I.)는 0.1 이하를 기준으로 설정하고 이를 충족하 는 결과값에 대한 합리적 일관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 였다.

    쌍대비교를 위해 델파이 기법을 통해 확인된 평가항 목 4개(사업추진 근거 및 원동력, 타당성, 성과 및 파급 효과, 연계가능성)를 기준으로 각 군에서 진행 중이거나 계획 시범사업을 대상으로 설문자에게 전군 공통 적용 가능한 사업 5개를 선정하여 <Table 6>과 같이 결과를 종합하였다.

    선정된 5개 사업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면, 스마트 훈 련병 관리체계는 훈련병에게 지급되는 손목시계 모양의 스마트 M 밴드를 통해 맥박, 체온 등의 생체정보를 실시 간 측정해 상황실에 전송하고 훈련소에서 발생할 수 있 는 예기치 않은 사고나 질환으로 사망, 자살사고 등을 예 방하는데 그 목적이 있고 스마트물류센터는 단순 물류업 무 처리를 다양한 IT기술을 접목하여 정확한 수요 및 재 고 예측 등 입출고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여 물류비용 절감과 효율성을 높이는데 노력하고 있다. 또 한 IoT를 적용한 소파견지 및 무인기지 구축에 대해 원 격으로 시설 및 장비를 관리하고 모니터링 하면서 기지 운영목적을 달성하고 비용절감에 대한 목표를 가지고 추 진하고 있으며 지능형 스마트 부대 구축은 AI, 빅데이터, AR/VR, 5G 등의 국방 IoT 기술이 경계감시, 병력관리, 군수시설 관제, 차량관리 등의 부대 운영에 대해 IoT 기 술의 종합적 형태가 반영되어 추진 중에 있다. 또한 스마 트 지상형 탄약고는 탄약저장 관리체계를 적용하고 자율 운행 로봇 등의 자동화 시스템을 갖추고 온도, 습도 등 원격제어, 출입문 원격개폐 등 탄약 저장관리 측면에서 효율성을 추구하고 있다.

    쌍대비교 대상으로 상위 5개만 선정한 이유는 첫 번 째, 제한된 예산 범위 내에서 즉시 가능한 실현성 있는 사업 대상을 확인하기 위해서이고 두 번째, 설문 대상자 의 판단범위가 넓어질 경우, 논리적 일관성이 상실 될 수 있어 적절한 수준의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 문이다[34]. 델파이 기법을 통해 4개 평가항목을 선정하 였고 5개의 시범사업 리스트를 선정하여 <Figure 2>와 같이 AHP 방법을 적용하였다.

    4. AHP 평가결과 및 분석

    4.1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 산정결과

    국방 IoT 사업 선정에 대해 델파이 기법을 통해 확인된 4개 평가항목의 상대적 가중치를 선정하기 위해 AHP 방법 을 적용하였다. 분석을 통해 모든 개별항목의 C.I. 값이 0.1 이하를 만족한 상태에서 상대적 가중치 결과를 <Table 6>과 같이 확인하였다. 평가항목의 상대적 가중치 측면에서 사업 간 중복 및 연계 가능성 (0.354)의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 났고 사업성과 및 파급효과 (0.288), 사업내용 타당성 (0.245), 사업 추진근거 및 원동력 (0.113) 순으로 상대적 중요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사업간 중복 및 연계 가능성에 대한 평가항목이 높게 확인된 이유는 국방 IoT 기술을 적용한 시범사업을 현재 각 군이 경쟁적으로 각기 다른 방식의 시범사업을 진행 하면서 중복 부분에 대한 불필요한 예산 투자의 문제점 인식과 상호연계가 가능하지만 실질적으로 미흡했던 점 에 대한 관련 인원들의 공감대 형성이 작용한 것으로 판 단된다.

    4.2 공통 적용을 위한 시범사업 우선순위 결과

    육․해․공군에 공통 적용 측면에서 우선적으로 적용해 야 할 각 평가항목별 국방 IoT 시범사업 결과는 <Table 7>과 같이 확인된다.

    첫 번째, 사업근거 및 원동력 측면에서 우선 적용해야 할 사업은 스마트 물류센터 구축(0.292)이 확인되고 소파 견지 및 무인기지 구축, 훈련병 관리체계, 지상형 탄약 고, 지능형 부대 구축 순으로 확인된다. 스마트 물류센터 가 사업근거 및 원동력 측면에서 높게 확인된 이유는 각 군 모두 물류센터를 개별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상태에서 앞으로 국방 IoT 기술이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는 현 실적 이유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지속적 추진 필요성에 대한 각 군 실무자의 공감대 형성과 각 군 본부 의 사업의지가 높다는 점에서 중요도가 높게 반영된 것 으로 추정된다.

    두 번째, 사업 타당성 측면에서 소파견지 및 무인기지 구축(0.274)을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지능형 스 마트 부대, 물류센터, 훈련병 관리체계, 지상형 탄약고 순 으로 확인된다. 소파견지 및 무인기지 구축이 높게 인식 된 이유는 각 군이 현재 소파견지 및 무인기지를 많이 운영하고 있어 소파견지 및 무인기지로 인한 인력 및 부 대관리 측면에서 큰 부담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각 군은 소파견지 및 무인기지 사업의 필요성 을 타당성 측면에서 공감하고 있으며 시범적으로 적용하 는데 비교적 소규모 사업으로 적용 가능하여 예산투입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부분과 비교적 단기간 내 명확한 사 업목표의 달성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세 번째, 성과 및 파급효과 측면 에서 지능형 스마트 부대 구축 (0.287)이 높게 인식되고 있으며 소파견지 및 무인기지 구축, 물류센터, 훈련병 관 리체계, 지상형 탄약고 순으로 중요도를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과 및 파급효과 측면에서 지능형 스마트 부대 구축이 높게 인식된 이유는 성공적 시범사 업을 통해서 관련된 파급효과가 군 내부에서 기술적, 경 제적, 문화적 측면까지 타 영역으로 크게 파급될 것으로 인식되고 동일한 부대 유형을 많이 운영하는 군 형태의 특성상 적용이 용이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네 번째, 중복 및 연계 가능성 측면에서 스마트 지상 형 탄약고(0.254)가 높게 인식되고 있으며 소파견지 및 무인기지 구축, 지능형 부대 구축, 훈련병 관리체계, 물 류센터 순으로 확인된다. 스마트 지상형 탄약고가 중복 및 연계 가능성 측면에서 높게 인식된 이유는 최근 군에 서 발생하고 있는 탄약 관련 안전사고로 인해 탄약관리 중요성이 부각된 부분과 육․해․공군의 탄약 상호운용 성 측면에서 많은 부분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각 군의 탄약고 시스템이 지상형으로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 어 육․해․공군의 연계 가능성 측면이 높게 반영된 것 으로 판단된다.

    각 평가항목에 따른 우선순위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 다는 것은 각 평가기준에 따라 시범사업들이 가지는 고 유의 특별한 중요성이 존재한다는 측면도 있지만 제한된 예산의 효율적 집행을 위해 우선적으로 적용할 사업을 식별하는 것이 실무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내용일 수 있 다. 이러한 측면에서 각 평가항목별 전문가 의견을 수렴 한 가중치를 반영한 종합결과를 확인해 보면 소파견지 및 무인기지 구축사업에 대한 부분(0.245)이 가장 높게 인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소파견지 및 무인기지 구축 사업이 우선적으로 육․해․공군에 적용해야 할 사업으 로 인식된 것은 군에서 적용하는 사업방식이 시범을 통 해 소규모로 우선적으로 적용한 후 사업성과를 분석하여 성공하였을 경우 단계적 확대하는 방식을 적용하는 것을 고려할 때 실현 가능성 부분에서 타당성이 있는 접근이 라고 판단된다. 또한 육․해․공군에서 국방 IoT 기술을 적용하고 있는 목적이 과학화된 군 전투력 건설이라는 측면과 군 구조 개편 및 인력감축으로 인해 효율성을 달 성하려는 측면을 고려할 때 많은 인력 및 관리 부담을 가지고 있는 소파견지 및 무인기지에 대한 개선의 필요 성을 많은 구성원이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소파견지 및 무인기지 건설이 가장 높게 평가된 것은 예산 투입규모 및 성과 달성, 파급효과, 중 복성 측면 등 평가항목에서 균등하게 높은 점수를 보이 고 있다는 점도 시범사업으로 우선적 고려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실현 가능한 측면에서 소파견지 및 무 인기지 구축은 현재 상용화 기술로 충분히 적용 가능하 며 현재 군에서 운영하고 있는 소파견지 및 무인기지는 각 군이 거의 유사한 형태의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고 병 력 절감이라는 현실적 문제를 각 군에서 많은 부분 공감 하고 있기 때문에 전군에 공통적으로 적용하는 측면에서 의미있는 시범사업이라고 판단된다.

    5.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에서 첫째,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전군 공통 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국방 IoT 사업에 대한 평가항목을 분석, 추출하였고 둘째, AHP 방법을 적용하여 평가항목 및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시범사업에 대한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평가항목으로서 사업근거 및 원동력, 사업 타당성, 성과 및 파급효과, 중복 및 연계성 등이 선정되 었고 AHP를 통한 가중치 선정결과, 중복 및 연계성이 높게 인식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육․ 해․공군에서 현재 진행 중 시범사업과 계획 중 시범사 업을 포함한 후보군 리스트를 작성하고 설문 대상자를 통해 선정된 시범사업 목록은 스마트 훈련병 관리체계, 지능형 스마트 부대구축, 소파견지 및 무인기지 구축, 스 마트 물류센터, 스마트 지상형 탄약고 등 상위 5개가 확 인되었다.

    선정된 5개 사업목록에 대해 AHP 방법을 적용하여 각 각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선정하였고 연구모형을 통해 적용한 결과, 우선적으로 고려할 만한 시범사업으로 IoT 기반의 소파견지 및 무인기지 구축이 확인되었다. 이는 국방부 측면에서 예산의 비효율적 사용을 개선하고 정책 방향을 설정하는데 의미있는 접근방법이 될 수 있으며 실용적인 측면에서 우선 고려 될 만한 시범사업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방 IoT 사업은 앞으로 군의 과학화 및 기술화 적용 측면에서 반드시 적용해야 할 분야이고 현재 많은 관심 과 지원을 받으면서 다양한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한정된 예산을 가지고 최대 효과를 확인해야 하 는 군의 효율성 측면에서 예산의 중복투자 및 상호운영 성 미흡이라는 점을 극복하기 위해 육․해․공군에 공통 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우선적 시범사업을 확인하는 것 은 의미있는 연구 방향이고 정책적 결정 측면에서 방향 성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과제로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14명 수준의 의 견을 수렴하였지만 국방부 차원에서 주도가 되어 설문 대 상자 확대를 통한 연구결과를 산출한다면 더 많은 인원의 공감대가 형성된 상태에서 정책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더 의미있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Kyungnam University Foundation Grant, 2022.

    Figure

    JKSIE-45-3-31_F1.gif

    AHP Procedures of Research Model

    JKSIE-45-3-31_F2.gif

    AHP Model Hierarchy Structure

    Table

    Pilot Projects by Each Military Forces

    Minimum CVR Value by Delphi Participants

    R.I. Value Based on Number of Attributes

    Delphi Survey Respondents Classification

    Delphi Analysis Results

    Results of Common Applicable Projects

    Analysis Results of Priority Application of Defense IoT Projects through AHP

    Reference

    1. An, J.S.,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a for historic gardens preservation condition by applying delphi technique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dissertation], [Seoul, Korea]: Sungkyunkwan University, 2011.
    2. Bansal, M., Aggarwal, L., Jain, A., and Aggarwal, R., Identifying and Studying the Interrelationships amongst Various Challenges in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oT to Military and Defence Systems in India,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Applications, 2020, Vol. 176, No. 11, pp. 37-43.
    3. Barker, J., Hamada, A., and Azab, M., Lightweight Proactive Moving-target Defense for Secure Data Exchange in IoT Networks, Electronics and Mobile Communication Conference, 2021, pp. 317-322.
    4. Chae, S.I., Social Science Investigation Methodology, Seoul: Hakhyun Publishing, 2016.
    5. Han, H.J. and Park, D.W., Cybersecurity of The Defense Information System network connected IoT Sensor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2020, Vol. 24, No. 6, pp. 802-808.
    6. Jang, S.H., A Empirical Analysis on the Application of Truck-Platooning in the Military Transportation Operations [Master’s thesis], [Seoul, Korea]: Yonsei University, 2019.
    7. Jang, W.G. and Lee, K.H., Big Data Governance Model for Effective Operation in Cyberspace, The Journal of Bigdata, 2019, Vol. 4, No. 1, pp. 39-51.
    8. Jeon, S.Y.,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Technology in the Realm of Defens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c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20, Vol. 21, No. 5, pp. 249-256.
    9. Kang, S.I., A Policy Study on the Enhancement of Sport for All Participation [Master’s thesis], [Seoul, Korea]: Yonsei University, 2005.
    10. Kim, J.H. and Kim, S.H., Evaluation Scheme for EcoMobility Policy Based on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AHP and ANP,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2017, Vol. 35, No. 3, pp. 183-196.
    11. Kim, J.H., Kim, C.Y., Lee, S.S., and Lee, J.H., A Study on Influence Factors for Tunnel Collapse Risk Analysis using Delphi Method,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017, Vol. 27, No. 2, pp. 165-172.
    12. Kim, J.S., Design of military IoT architecture for against cyber attacks [Master’s thesis], [Seoul, Korea]: Hanyang University, 2017.
    13. Kim, M.H. and Lee, G.H.,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lock chain Technology to the Internet of Things- Focused on the Environment, Journal of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ystems, 2020, Vol. 15, No. 1, pp. 11-28.
    14. Kim, S.C. and Eo, H.J., Priority Aggregation for AHP based on Experts Opinions, Journal of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1994, Vol. 19, No. 3, pp. 41-51.
    15. Kim, S.M. and Lee, S.J.,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cure Communication Channel Using PUF Technology in M-IoT Environment,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2019, Vol. 19, No. 5, pp. 107-118.
    16. Kim, S.M., PUF-based Secure Key Management Scheme Applicable to Military IoT [Master’s thesis], [Seoul, Korea]: Korea National Defense University, 2019.
    17. Ko, Y.S., Study of Policies of Major Countries on Internet of Things and Market Forecast,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2014, Vol. 16, No. 5, pp. 27-47.
    18. Kum, D.H., Kim, D.B., and Ko, Y.B., Trust Guaranted Multi-Path Routing Protocol by Considering Mission- Critical IoT Data,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ervices, 2018, Vol. 43, No. 6, pp. 995-1004.
    19. Kwon, H.J., Hong, J.K., Kim, S.T., and Lee, H.J.,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Defense Information, Seoul : Korea Institute for Defense Analyses, 2016.
    20. Kye, J.E., Park, P.J., Kim, W.T., and Kum, C.D., Application and Strategies on Defense Acquisition based CPS & IoT Technology,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2015, Vol. 30, No. 4, pp. 92-10.
    21. Lawshe, C.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1975, Vol. 28, pp. 563-575.
    22. Lee, P.J., A Way to Improvement of Defense by Using Ubiqutouis Technology, Korea Open Access Journals, 2006, Vol. 49, No. 2, pp. 127-158.
    23. Lee, S.H.,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Military Boundary Security System Based on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Response to Domestic and Foreign Changes [Master’s thesis], [Seoul, Korea]: Konkuk University, 2021.
    24. Lee, S.H. and Baek, K.H., Pre-Budget Evaluation System for Defense Information Project, The KMIS International Conference, 2013, pp. 21-24.
    25. Lee, W.H., Kim, Y.J., Lee, S.H., Choi, J.H., and Lee, S.H.,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Defense Internet of Things by Field, Seoul : Security Management Institute, 2015.
    26. Matthias, R.B., Gregoire, D., Daniel, H.S., and Pascal, B., Swarm-based conter UAV defense system, Discover Internet of Things, 2021, Vol. 1, No. 1, pp. 2-26.
    27. Na, M.Y., A Metadata – based Data Grid System for the Integration of Military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Computer Information, 2008, Vol. 13, No. 2, pp. 95-104.
    28. Park, J.H., Analysis of Decision Making Priority for the Product Innovation in terms of Organization Aspects using AHP: With an Emphasis on the Automobile Parts in Daegu, Ordo Economics Journal, 2018, Vol. 21, No. 3, pp. 21-38.
    29. Park, S.J. and Kang, J.H.,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Cyber Threat Management System to the Future C4I System Based on BigData / Cloud,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2020, Vol. 20, No. 4, pp. 27-34.
    30. Satty, T.L.,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Computer & Mathematics with Applications, 1985, Vol. 11, No. 1, pp. 1-4.
    31. Song, B.W., Song, B.G., and Kang, S.J., Influential Factors on Prioritization of Weapon System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2016, Vol. 20, No. 8, pp. 1607-1614.
    32. Son, Y.J., Kim, I.H., Yang, J.H., and Lee, N.Y., Smart Device Security Technology for Cyber Defense,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ed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2012, Vol. 37, No. 10, pp. 986-992.
    33. Yang, H.S.,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the Application Technology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Defense Sector, The Weekly ICT Trends of IITP, 2015, Vol. 1715, pp. 14-21.
    34. Yeo, G.D., Kim, G.H., and Lee, S.W., Development of Modified Ratio of Pairwise Comparison for Determining Weighting in AHP,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2011, Vol. 71, pp. 24-46.
    35. Zielinski, Z.D., Michal, M., and Michal K.M., Application of IoT in military operations in a smart city, Military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ystems, 2018, Vol. 6, pp.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