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005-0461(Print)
ISSN : 2287-7975(Online)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ol.43 No.4 pp.217-228
DOI : https://doi.org/10.11627/jkise.2020.43.4.217

The Robust Artillery Locating Radar Deployment Model Against Enemy’s Attack Scenarios

Seung-Ryul Lee, Moon-Gul Lee†
Department of Operation Research, Korea National Defense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bombslee@naver.com
17/12/2020 21/12/2020 22/12/2020

Abstract


The ROK Army must detect the enemy’s location and the type of artillery weapon to respond effectively at wartime. This paper proposes a radar positioning model by applying a scenario-based robust optimization method i.e., binary integer programming. The model consists of the different types of radar, its available quantity and specification. Input data is a combination of target, weapon types and enemy position in enemy’s attack scenarios. In this scenario, as the components increase by one unit, the total number increases exponentially, making it difficult to use all scenarios. Therefore, we use partial scenarios to see if they produce results similar to those of the total scenario, and then apply them to case studies. The goal of this model is to deploy an artillery locating radar that maximizes the detection probability at a given candidate site, based on the probability of all possible attack scenarios at an expected enemy artillery position. The results of various experiments including real case study show the appropriateness and practicality of our proposed model. In addition, the validity of the model is reviewed by comparing the case study results with the detection rate of the currently available radar deployment positions of Corps. We are looking forward to enhance Korea Artillery force combat capability through our research.



적 공격시나리오 기반 대포병 표적탐지레이더 배치모형

이 승률, 이 문걸†
국방대학교 운영분석전공

초록


    1. 서 론

    전 세계 군사 강국들은 대부분 표적탐지레이더(이하 레이더)를 개발 및 운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미국, 스 웨덴, 국내에서 개발한 레이더를 혼합 운용하고 있다. 이 처럼 한정적이고 다양한 종류의 레이더를 운용하는 상황 에서 각각의 특성을 반영하여 최적 배치방법을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레이더는 전개 시 자체방어부대와 함께 이동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현 실적인 문제로 군은 레이더의 이동을 최소화하며 탐지율 은 최대화해야 한다. 따라서 평시에 최적의 방법으로 배 치를 하는 것이 대응 사격 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우 리 연구에서는 적 공격시나리오 기반 최적화 방법을 적 용하여 레이더 위치 결정 모델을 제안하고 몇 가지 실험 을 진행하여 결과를 분석한 후 사례 연구에 적용한다. 이 모델은 사용 가능한 유형의 레이더, 수량, 성능 등을 개별 요소로 입력한다. 그리고 적 공격시나리오 발생확 률에 대하여 탐지확률을 최대화하는 레이더의 위치를 찾는 문제이다. 적 공격시나리오의 발생확률은 목표지점 의 중요도와 적과 목표지점의 거리에 대한 가중치로 계 산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먼저 레이더 운용 고려사항에 대한 자료를 수집한다. 레이더 운용에 대한 성능 제원과 후보지 를 탐색한다. 그리고 탐지확률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한 다. 성능 제원은 레이더 운용 교범과 관련 논문을 참고한 다. 후보지는 군사비밀이기에 임의의 지점을 후보지로 선 정하였다. 다만 후보지는 적 포탄을 탐지할 수 있는 검증 된 곳으로 가정한다. 탐지확률은 기본탐지확률에 탐지감 소확률을 뺀 것으로 정의한다. 기본탐지확률은 R85(85%) 을 의미한다. 탐지감소확률은 적 포병과 레이더의 거리와 탐지 각도에 따라 변한다. 적 공격시나리오를 구성하는 요 소는 적 포병(e ), 화포종류(a), 목표지점(t) 이다. 이 시나 리오는 요소의 수를 한 단위씩 늘릴 때마다 지수적으로 증가한다. 그래서 시나리오 조정단계를 거쳐 발생 가능한 시나리오를 선별한다. 이를 위해 적 포병 사거리와 전투지 역을 제한하고 아군의 적 정보판단을 통해 확정적인 적의 종류와 위치를 시나리오에 반영한다. 이렇게 조정단계를 거쳐 최종 시나리오를 구성한 후 발생확률을 정의한다. 발 생확률은 적의 시점에서 목표지점에 대한 우선순위 및 거 리 가중치를 부여하여 정의한다. 본 연구의 수리적 구현 방법은 Single-Stage Stochastic Programming을 적용하여 탐지확률을 최대화하는 배치 방법을 찾기 위해 이진변수 를 결정변수로 하여 구성한다. 레이더의 위치와 종류를 변화하면서 민감도 분석을 통해 모델의 정상작동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실제 문제에서 조정단계를 거친 최종 시 나리오를 사용하는 것도 매우 큰 데이터를 다루기 때문에 Li and Floudas[13]의 연구와 같이 발생확률이 높은 부분 시나리오만을 사용하더라도 전체 시나리오를 사용한 것과 유사한 결과를 얻는지 확인한다. 연구의 마지막 부분은 군 단의 적대치 상황을 가정한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때 고려한 시나리오 수(4,608개)의 상위 3~10%만을 사용하더 라도 유효한 레이더의 배치 위치가 도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기존연구고찰

    Bayram and Yaman[1]은 재난 상황에서 효과적인 대피 계획은 대피 장소와 이동 경로 결정에서 기인한다고 하였 다. 이 연구는 Benders Decomposition(BD) 알고리듬을 사 용하였다. Gu et al.[3]는 다양한 인재 및 자연재해에 의해 사람들에게 필요한 의료지원시설을 제한된 예산안에서 최적의 배치문제를 혼합정수계획법을 적용하였고, 데이 터가 매우 커 근시안적 해법을 사용하였다. Wang [18]은 이단계 확률적 최적화 기법을 이용하여 재난 상황에 있는 사람들을 안전한 곳으로 후송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해 라그란지안 완화 기법을 사용하였다. Jin et al.[9]는 재난지역에서 발생하는 환자의 중증도를 고려하여 대형병원과 중소형병원으로 할당하여 환자의 생존율을 최대화하는 연구이다.

    Feng and Ryan[2]은 새로운 시나리오 감축 휴리스틱 기법을 실험하였다. K-평균을 활용한 군집화 방법을 사용 하여 각 시나리오의 발생확률이 비슷한 것끼리 그룹화방법 을 이용하여 시나리오를 선정하여 적용하는 방법이다. Li and Floudas[13]은 최적 시나리오 조정 방법을 연구하였 으며, 이는 총 시나리오 중에 가장 발생 가능한 상위 시나 리오를 사용하더라도 만족할만한 해를 보여준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이 연구에서 소개하는 OSCAR(Optimal Scenario Reduction Algorithm)은 MIP에서 적용된다. Li and Floudas[14]은 Li and Floudas[13]의 연구를 확장한 내용 이며 불확실한 입력값에 대한 많은 시나리오를 획기적으 로 줄여서 사용할 수 있고 Robust Optimization과 Scenario 조정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Park and Lim[15]은 레이더의 탐지확률에 미치는 외부 적인 요인으로 표적의 RCS(Radar Cross Section)와 표적 과 레이더의 거리이다. 따라서 탐지확률을 가장 높이기 위해서는 RCS가 가장 높고 레이더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좋다. RCS값을 PO(Physical Optics)기법으로 계산하였다. Lee[11, 12]는 지형정보를 활용하여 레이더 후보지를 선 정하고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확률적 최적화 기법을 사용 하여 최적 배치를 연구하였다. Son and Cho[16]는 레이더 피격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고정형 레이더 피격 시 이동형 레이더의 최적 후보지와 대기 장소를 선정하기 위해 Set Coverage, Quardratic Assignment Problem 활용하여 문제 를 해결하였다. Hwang and Song[7]은 복잡성이 가속화되 는 경영환경의 문제를 Stochastic programming을 활용하 여 연구하였다. Park and Lee[16]은 공병 무기체계의 최적 배치 문제를 휴리스틱 기법으로 제안하였다.

    3. 문제정의 및 모형구성

    본 문제의 정의는 발생 가능한 모든 적 공격시나리오 의 상황에서 탐지확률을 최대화하는 종류별 레이더 배치 지역을 제안하는 것이다. 산술적으로 구한 총 시나리오 는 제약조건을 통해 발생 가능한 시나리오만 선별한 최 종 시나리오가 된다. 레이더의 생존성을 높이고 주파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일정한 구역을 설정한다. 해당구 역에는 1대의 레이더만 배치할 수 있다.

    3.1 표적탐지레이더 및 적 포병 성능 제원 일반

    <Table 1>은 각 레이더 성능에 따른 동시 탐지 가능 발수와 수평․수직 빔 방사 범위, 탐지에 필요한 최소시 간이다. 제조사마다 성능의 편차가 크고 제조연도순으로 개량되었다.

    <Figure 1>은 각 레이더의 최소․최대 탐지거리를 레 이더의 빔 방사 구역과 적 포병(야포, 로켓)에 따른 한계 량을 종합적으로 도식화하였다.

    적 포병에 대한 정보는 <Table 2>의 내용처럼 포구초 속과 최대사거리이다. 적은 로켓포병과 야전포병의 2가 지 종류이고 군단의 정면에 위협이 되는 적 포병의 자료 를 수집하였다.

    3.2 배치 후보지와 탐지확률의 조작적 정의

    배치 후보지는 레이더의 성능을 고려하여 빔 방사 시 적 포병을 탐지 가능한 위치이며 본 연구에서는 임의의 지점을 선정한다. 탐지확률의 조작적 정의를 위해 레이 더 성능 제원을 수치화한다. 레이더 탐지확률은 탐지거 리, 탐지 각도의 영향 정도를 반영하여 정의한다. 레이더 탐지확률은 기본탐지확률(85%)에서 탐지감소확률을 빼 는 형태로 아래의 식 (1)과 같이 정의한다.

    JKISE-43-4-217_EQ1.gif
    (1)

    Park and Lim[15]의 연구결과 탐지 각도에 따라 RCS 수치의 차이로 탐지확률에 영향을 준다. RCS 수치는 탐 지 각도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어 이를 사용 않고 평균적 으로 RCS 수치가 높은 탐지 각도의 구간을 설정하여 탐 지감소확률을 정의한다.

    탐지거리에 따른 감소율은 Wagner, Charles Mylander and Sanders [19]의 식 (2)와 같은 레이더 방정식을 참고하 였다, 식 (2)는 송신 출력 PT , 레이더 안테나 이득 GT , 레 이더 수신전력 P R R D R , 레이더 반송파 파장 λ, 표적의 레이 더 반사 면적 σt , 레이더 탐지거리는 RRDR이다. 레이더 방 정식에 의해 탐지거리와 레이더 수신전력이 반비례적인 관계인 것을 확인하였다.

    P R R D R = P T G T 2 λ 2 σ t ( 4 π ) 3 R R D R 4
    (2)

    따라서 탐지거리의 감소확률은 탐지거리에 반비례적 인 관계로 거리와 상대적인 수치로 정의한다.

    3.3 적 공격 시나리오 구성방법

    시나리오 구성을 위한 가정사항은 다음과 같다.

    • 1) 예상되는 적 포병(e )의 위치를 알고 있다.

    • 2) 적 포병은 야전포병(a1)과 로켓포병(a2)이다.

    • 3) 적 포병 e의 종류에 대한 사전정보는 없다.

    • 4) 적은 공격대상 목표지점(t) 1개를 사격한다.

    시나리오는 적 포병(e )에서 야전 포병(a1 )과 로켓포병 (a2 )를 선택하고 1개 목표지점(t)을 택하여 시나리오를 구 성한다. 각 요소를 한 단계식 증가하면서 총 시나리오를 구성하면 그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연산이 불가 하다. 따라서 적 사거리 한계, 전투지역 제한, 아군정보판 단의 제약을 통해 발생 가능한 시나리오를 <Figure 2>와 같이 재구성한다.

    먼저 작은 크기(e :3, a:2, t:3)의 시나리오를 만들어 시 나리오의 생성과정을 설명한다. 적 포병 e는 적어도 1개 의 목표지점 t에 사격을 한다. <Figure 3>은 적 포병 e이 화포종류 a로 목표지점 t에 사격을 하는 시나리오를 표 현하였다.

    1개의 적 포병 e가 사격 가능한 시나리오 수는 A ×T 이다. 그러므로 총 시나리오의 개수는 식 (3)으로 산술적 계산이 가능하다. 따라서 총 시나리오 수는 (2 × 3)3 = 216이다. 만약 요소 수를 (e : 8, a : 2, t : 6)으로 조금만 확장하면 개수는 식 (3)에 의해 (2 × 6)8 = 429,981,696개 로 지수적으로 증가한다.

    S c e n a r i o s F o r m u l a = ( A × T ) E
    (3)

    총 시나리오에서 발생 가능한 시나리오를 선별하기 위 해 적 포병의 사거리 한계를 설정하여 사격 가능 목표지점 을 1로 표현하였다. 이때 시나리오 개수는 e1 (3) × e2 (3) × e3 (5) = 45이다. 이는 총 시나리오의 약 20% 수준으로 줄 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전투지역을 제한하여 전투지역 내에 사격하도 록 한다. e3t2,t3만 사격하도록 제한할 때 시나리오 수는 e1 (3) × e2 (3) × e3 (3) = 27으로 총 시나리오의 약 12% 수 준이다.

    현재 충분히 시나리오가 감소하였으므로 아군정보판단 에 의한 제약은 고려하지 않는다. 만약 아군정보판단이 e3a2인 것이 확실하면 e3a1의 정보는 모두 0이 되어 e1 (3) × e2 (3) × e3 (2) = 18개로 줄어든다. 제약을 통해 조 정된 <Table 6>의 정보를 이용해 적 공격시나리오를 구 성한다.

    3.4 시나리오 발생확률

    목표지점 t의 가중치는 적 관점에서 위협순위별로 부 여한다. 적 포병 e에서 가까운 목표지점 t는 추가 가중 치를 부여하여 같은 가중치의 목표지점이 2개 이상 있을 시 가까운 곳을 사격하는 확률이 높아지도록 한다.

    <Table 8>의 Target, Close Weight 각각 더하여 최종 가 중치를 <Table 9>와 같이 정의한다. 단, 0이 포함된 곳은 사격이 불가하여 항상 0이다.

    <Table 9>의 요소별 가중치를 sum의 값으로 나누어 공격확률을 계산한 것은 <Table 10>이다.

    <Table 10>의 공격확률을 시나리오의 요소에 대입하 여 최종 시나리오별 발생 가능한 확률을 계산한다. 적 포병 e의 공격확률은 모두 독립이다. 따라서 확률의 곱셈 법칙으로 시나리오의 구성요소를 모두 곱하여 시나리오 발생확률을 구한다. S1 = {e1a1t1, e2a1t1, e3a1t2}의 확률값은 e1a1t1 = 0.533, e2a1t1 = 0.467, e3a1t2 = 0.364를 곱한 값이 다. 따라서 발생확률은 요소를 모두 곱한 S1 = 0.533× 0.467×0.364 = 0.090505이다. 이렇게 모든 시나리오의 발 생확률을 구하여 합계를 구하면 1이 된다. 이것으로 발생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가 구성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Table 11>과 같다.

    3.5 모형설명

    모형을 구성하기 위해 집합, 입력값, 결정변수를 정의 한다. 집합은 적 포병(핵심표적 포함), 종류, 레이더 후보 지(레이더 구역 포함), 레이더 개수, 목표지점, 시나리오 의 수이다. 결정변수는 적 공격시나리오를 모두 포괄하 는 레이더 종류별 위치이다. 입력값은 적 공격시나리오, 시나리오의 발생확률, 레이더 종류별 탐지범위, 동시 추 적 가능 표적 수, 최소 탐지시간, 시나리오 상황의 레이 더 탐지율이 주어진다. 가정사항은 다음과 같다.

    • 1) 각 후보지에 레이더는 1대만 배치한다.

    • 2) 적 예상 포병위치를 알고 있다.

    • 3) 적은 목표지점으로만 사격한다.

    • 4) 레이더는 정북 방향으로 빔을 방사한다.

    • 5) 레이더의 빔 가동시간은 무한이다.

    • 6) 레이더는 정면기준 좌측(0°)~우측(180°)까지 빔방사 가능하다.

    3.5.1 집합(Sets) 및 인덱스(Index)

    JKISE-43-4-217_A1.gif

    3.5.2 입력 매개변수(Parameters)

    본 모형에 사용되는 다양한 입력매개 변수는 각 시나리 오의 공격 프로파일의 여부를 나타내는 W a t t a c k ( s i ) , 시나리 오발생 확률, 레이더 후보지에서 각 적에 대한 공격을 탐 지할 때의 확률, 레이더 종류별 최대, 최소 탐지범위, 포병 종류에 따른 포탄의 속도 등이 있다. 또한 적과 레이더의 배치위치, 레이더 시야각 등을 묘사하는 다양한 매개변수 를 포함하고 있으며, 세부적인 항목은 다음과 같다.

    • W a t t a c k ( s i )   Attack scenario of e

    • p r o b s i   Rate of occurrence of si

    • d e t _ p r o b r c a t t a c k ( s i )   Detection probability of si on r in c * .85 ( m i n u s _ a n g l e + m i n u s _ d i s t )

    • max_track_nor  Simultaneous tracking numbers of r

    • min-distr, max_distr  Detection max & min range of r

    • min_timer  Tracking min-time of r

    • velocitya  Velocity of type of a

    • x _ c o o r d e , c or t y _ c o o r d e , c or t   Military coordinates of e, c, t

    • radar_dist(5 ∼ 70)ra  Reduction rate by range

    • cos_valuesetc  Detection angle, cos(θ)

    * d i s t e c 2 + d i s t e t 2 d i s t t c 2 2 d i s t e c d i s t e t (second spherical law of cosines)

    m i n u s _ a n g l e s e t c Reduction rate(angel) * { I f ( (cos _ v a l u e < cos( 17 ° ) or ( cos _ v a l u e > cos( 77 ° )=5 I f ( (cos _ v a l u e cos( 17 ° ) and ( cos _ v a l u e cos( 77 ° )=0 m i n u s _ d i s t s e a r c Reduction rate(angel) * { I f ( d i s t e t > 0 ) and ( d i s t e t 5 ) = r a d a r _ d i s t 5 r a I f ( d i s t e t > 5 ) and ( d i s t e t 10 ) = r a d a r _ d i s t 10 r a I f ( d i s t e t > 65 ) and ( d i s t e t 70 ) = r a d a r _ d i s t 70 r a d i s t e c , d i s t e t , d i s t t c Range ( e t , e c , t c ) * ( x _ c o o r d x _ c o o r d ) 2 + ( y _ c o o r d y _ c o o r d ) 2 d e t e c t i o n _ t i m e a t t a c k ( s i ) Detection time of s i * { I f ( d i s t e c max _ d i s t r a ) = d i s t e t / v e l o c i t y a I f ( d i s t e c >max _ d i s t r a ) = ( d i s t e t d i s t t c ) / v e l o c i t y a c r i t i c a l e c r a n Detectable critical enemy * { I f ( d i s t e c max _ d i s t r a ) = 1 I f ( d i s t e c >max _ d i s t r a ) = 0

    3.5.3 결정변수

    결정변수는 이진 변수 Yrc이며 이를 찾기 위해 이진 변 수 X r c s i e a t 가 추가로 필요하여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JKISE-43-4-217_EQ2.gif

    또한, 각 집합(E,A,T )들을 결합하여 attack으로 새롭 게 정의한다.

    JKISE-43-4-217_EQ3.gif

    attack 집합을 활용하여 X r c s i e a t X r c a t t a c k 으로 표현한다. X r c a t t a c k ( s i ) attack(si)의 세부요소를 레이더 r이 후보지 c에 배치되어 탐지하면 1, 아니면 0이다. Yrc는 레이더 r가 후보지 c에 배치여부를 나타내는 이진변수이다.

    JKISE-43-4-217_EQ4.gif

    예를 들어 attack(s1)의 세부요소가 4개라고 가정하여 { ( s 1 , e 1 , t 1 , a 1 ) , ( s 1 , e 2 , t 2 , a 1 ) , ( s 1 , e 3 , t 2 , a 1 ) , ( s 1 , e 4 , t 3 , a 2 ) } 일 때, r1c1후보지에 배치되어 세부요소를 모두 탐지하면 X 11 a t t a c k ( s 1 ) = ( 1 , 1 , 1 , 1 ) 이다. ( s 1 , e 1 , t 1 , a 1 ) , ( s 1 , e 3 , t 2 , a 1 ) 만 탐지하면 X 11 a t t a c k ( s 1 ) = ( 1 , 0 , 1 , 0 ) 이다. 모두 탐지하지 못하면 X 11 a t t a c k ( s 1 ) = ( 0 , 0 , 0 , 0 ) 이다. 따라서 X r c a t t a c k ( s i ) 는 0과 1로 구성 된 vector의 형태를 가진다. Yrcr1c1후보지에 배치되 면 Y11 = 1이다. 배치되지 않으면 Y11 = 0이다.

    3.5.4 수리모형

    목적함수 식 (4)는 시나리오 si의 발생확률 p r o b s i 과 적 공격 attack(si)의 탐지확률값들을 합하여 적의 개수|E| 로 나눈 값을 최대화하는 레이더 r의 후보지 c를 찾는 것 이다. 이 값의 수치는 모든 시나리오를 포괄하였을 때 레 이더의 탐지확률을 의미한다.

    제약식 (5)는 X r c a t t a c k ( s i ) 가 시나리오 si에 대한 요소만 연산하도록 하는 식이다. 식 (6), 식 (7)은 후보지에는 레 이더를 1대 이하로 배치할 수 있도록 제약한다. 식 (8)은 X r c a t t a c k ( s i ) 와 결정변수 Yrc의 관계식으로 후보지c에 레이더 r이 배치된 경우에만 표적탐지가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 낸다. 식 (9), 식 (10)은 레이더 r과 적 포병 e의 거리는 레이더 r의 최대․최소 탐지거리를 만족해야 한다는 의 미이다. 식 (11)은 레이더 r이 후보지 c에 배치되고 적 포병 e를 탐지할 수 있는 수는 레이더 r의 동시 탐지 발 수보다 작거나 같다는 의미이다. 식 (12)는 레이더 r의 최소탐지시간을 충족하는 경우 탐지가 가능하다는 의미 이다. 식 (13)은 레이더 구역 Cj에는 1개의 레이더만 배 치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식 (14)는 적 핵심표적은 2개 이상 레이더 r의 탐지구역에 속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max i I r R c C 1 | E | p r o b s i d e t _ p r o r c a t t a c k ( s i ) X r c a t t a c k ( s i )
    (4)

    s.t. X r c a t t a c k ( s i ) W a t t a c k ( s i ) i , r , c I , R , C
    (5)

    r R Y r c 1 c C
    (6)

    c C Y r c 1 r R
    (7)

    X r c a t t a c k ( s i ) Y r c i , r , c I , R , C
    (8)

    min _ d i s t r M ( 1 X r c a t t a c k ( s i ) ) + d i s t c e X r c a t t a c k ( s i ) i , e , r , c I , E , R , C
    (9)

    d i s t c e X r c a t t a c k ( s i ) max _ d i s t r a i , e , r , c I , E , R , C
    (10)

    e E X r c a t t a c k ( s i ) max _ t r a c k _ n o r i , r , c I , R , C
    (11)

    min _ t i m e r M ( 1 X r c a t t a c k ( s i ) ) + X r c a t t a c k ( s i ) ( D e t e c t i o n _ t i m e a t t a c k ( s i ) ) i , r , c I , R , C
    (12)

    r R c C j Y r c 1
    (13)

    e c E c C r R a R C r i t i c a l e c r c a Y r c 2 X r c a t t a c k ( s i ) { 0 , 1 } , Y r c { 0 , 1 } , i , r , c I , R , C
    (14)

    4. 실험계획 및 결과 분석

    4.1 실험계획

    본 모형이 현실을 잘 반영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1~3단 계, 사례연구실험을 계획한다. 먼저 1단계는 작은 크기 모 델을 만들어 민감도 분석을 통해 모형이 정상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후보지 위치를 좌, 우 대각선으로 배치하 여 실험한다. 2단계는 시나리오 중 발생확률이 높은 순으 로 구별하여 최적 해가 전체 시나리오를 반영한 최적 해 와 유사한지 확인하는 실험이다. 3단계는 보유한 레이더 가 3대 또는 4대의 상황을 가정하여 다양한 조합의 레이 더를 배치하는 방법에 대한 실험이다. 끝으로 사례 연구 를 통해 군단급 상황을 가정하여 레이더 최적 배치결과를 도출하여 실험을 마무리 한다. 최적화 모형은 GAMS (25.0.2) Solver(CPLEX)로 IP 문제이며 Optimality Gap은 5%로 설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PC의 CPU는 i5- 8265.1.6.GHz, RAM은 16GB이다.

    4.2 실험 결과 분석

    본 장에서는 레이더 배치 해의 모습을 확인하기 위해 1~3단계, 그리고 사례 연구를 실험한 결과이다. 1단계 실 험결과의 해석은 모형이 정상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의미 로 레이더 배치 위치가 최적해 의미는 아니다. 2단계 실험 결과는 최종 시나리오 중에서 발생확률이 가장 높은 3, 5, 10%의 부분 시나리오를 입력값으로 하여도 100%의 시나 리오를 사용했을 때의 최적 해와 유사도, 근접도를 확인하 였다. 3단계 실험결과는 보유한 레이더의 종류별 배치결 과와 탐지율을 확인하였다. 이 실험으로 레이더의 종류별 최적 배치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음을 제시할 수 있고, 성능 이 좋은 레이더를 많이 배치하는 것이 가장 탐지율이 높다 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모델이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는 것을 검증한다. 마지막 사례 연구를 통해 군단급 레이더 배치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타당성 검증을 위해 실제 군단 의 레이더 보유현황과 배치 위치를 입력값으로 넣어 모델 이 제공한 결과와 탐지율을 비교하였다.

    1단계 레이더 배치 민감도 실험

    현 상황은 적 포병 e가 화포 종류 a1, a2로 사격 가능하 며 목표지점 t는 6개소이다. 그에 따른 레이더 r은 3대이 며 모두 다른 종류이다. 후보지 c는 10개이며 <Figure 4> 와 같이 우 대각선으로 배치되어 있다. 레이더의 종류별 성능은 r1 < r2 < r3순으로 최대탐지거리 및 동시 탐지 발 수 등이 높다는 의미이다. 시나리오는 총 1,200개 중에 발 생확률이 높은 부분 시나리오 10%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적 공격시나리오를 입력한 최적 배 치결과는 <Table 12>와 같다. 실험결과 성능이 가장 좋 은 r3을 중앙(c5)에 배치하여 좌측의 적 포병(e1,e2,e3,e4 ) 을 최대한 탐지하려 하고, 예상대로 나머지 r1,r2는 적과 거리가 가까운 곳(c9,c10 )에 배치하여 탐지확률을 최대화 하도록 배치한다.

    다음 실험으로 같은 조건에 <Figure 5>와 같이 좌 대각선 을 따라 레이더 후보지를 배치하였다. 실험결과는 <Table 13>과 같다.

    실험결과 성능이 가장 좋은 r3을 중앙(c4)에 배치하였으 며, 나머지 r1, r2들은 좌측대각선의 적과 거리가 가까운 곳 (c1, c3 )에 배치하였다. c2에 레이더를 배치하지 않은 이유는 후보지 c2보다는 c3에 레이더 r1을 배치하면 적 포병 e5까 지 탐지하여 탐지확률을 최대화할 수 있다.

    위 2개의 실험결과 레이더는 최대한 적과 가까운 곳에 배치되면서 많은 적을 탐지하는 위치로 배치되었다. 이 의미는 탐지확률이 가장 높은 곳으로 배치하는 목적식을 만족한다는 의미이며, 레이더 종류와 성능에 따라 가장 최적의 위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 모델은 본 연구의 목 적을 만족한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2단계 시나리오 반영 비율에 대한 실험

    총 시나리오를 모두 고려하기에는 컴퓨팅 시간이 오 래 걸리며 Out of memory 오류가 발생하여 결과를 확인 할 수 없다. 따라서 부분 시나리오로 총 시나리오의 해를 제공해 줄 수 있다면 부분 시나리오로 분석하는 방법이 타당하다. 다음 예시를 통해 총 시나리오의 해와 부분 시 나리오의 해의 차이를 검증한다. 상황은 다음과 같다.

    • 1) 적 포병 : 8개, 야포와 로켓으로 사격 가능

    • 2) 목표지점 : 지휘소 1개, 중요시설 5개

    • 3) 레이더 후보지 : 10개소(3개 구역)

    • 4) 레이더 종류 : A, B, C

    위 <Figure 6> 상황에서 발생 가능한 시나리오 개수는 식 (1)을 사용한 값으로 429,981,696개이다. 총 시나리오에서 제약을 통해 시나리오를 줄이면 1,200개로 줄어든다. 이 시나리오의 발생확률을 계산하여 발생확률의 내림차순으 로 정렬한다. 이 시나리오들을 부분 시나리오로 구성하여 모델에 입력하여 해의 값을 분석하였다. <Table 14>의 내용 과 같이 모든 조건이 같은 상태에서 적의 위치를 변경하여 시나리오 S-1, S-2를 만들었다. 시나리오의 반영 비율에 따른 컴퓨팅 시간은 시나리오를 늘릴수록 지수적으로 증가하였다.

    <Table 15>의 내용처럼 상위 3, 5, 10%의 부분 시나리 오를 사용한 결과 100, 90, 80%의 시나리오 대비 71%의 유사도와 85%의 근접도를 보여준다. 유사도는 비교군과 대조군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정도이고 근접도는 일치하 지 않더라도 비교군과 근접한 정도를 말한다. 이는 시나 리오 중에 발생확률이 높은 순으로 부분 시나리오를 선 별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Li and Floudas[12]의 연구처 럼 상위 시나리오만을 반영하여도 전체 시나리오의 결과 와 유사하고 만족할만한 결과를 도출해준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모두 적용되는 것이라곤 단 정 지을 순 없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 방법이 활용 가능 하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3단계 레이더 종류별 배치결과 비교 실험

    이번 실험은 레이더의 개수와 종류를 한정한다. 목적 은 레이더의 성능과 개수에 따라 최적 배치에 대한 해를 도출하는 것이다. 예상되는 결과는 좋은 레이더를 많이 배치하면 탐지확률은 높아지고 전체 사격 발수에 대한 탐지실패율이 낮아지게 될 것이다. 레이더 종류는 r1 = A, r2 = B , r3 = C이며 성능 수준은 A < B < C 순이다. <Figure 6>의 형상대로 레이더 후보지를 선정하였으며 레이더 후 보지의 음영 처리된 부분은 레이더 구역이다. 이곳에서는 1개의 레이더만 배치함으로써 레이더를 분산 배치하여 생존성 향상을 도모한다. 가용한 레이더의 숫자에 따라 레이더 구역은 <Table 16>과 같다.

    레이더가 3대 또는 4대일 때 실험결과는 예상과 같이 성능이 좋은 레이더(C)를 배치할수록 탐지확률이 향상되 면서 탐지실패율도 낮아진다.

    <Table 17>의 결과를 통해 이 모델이 정상적으로 작동 하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레이더의 종류와 개수에 따라 최 적 배치방법을 제공해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한 D(탐지확률)과 M(탐지실패율)의 결과를 해석해봐야 할 필요가 있다. D는 레이더들의 탐지확률에 대한 평균 수치이다. 이 의미는 적이 1발 사격했을 때 레이더들이 포탄을 성공적으로 탐지할 확률이라는 것이다. 반면 M의 값은 시나리오별 레이더가 탐지하지 못한 적의 숫자를 더 하여 총 시나리오의 적 사격 발수로 나눈 값이다. 이 수치 가 D와 합하면 1이 아닌 이유는 성격이 다른 수치이기 때 문이다. 레이더들끼리는 의사소통이 되지 않기 때문에 같 은 포탄을 중복하여 탐지할 수 있다. 그래서 탐지확률이 높다고 하더라도 적을 탐지한 숫자는 다르다. 예를 들어 10개의 적이 각각 1발씩 사격하였는데 레이더가 10발을 탐지하더라도 적의 좌표는 8개만 획득될 수 있다. 이는 레이더들이 적 포탄 2발을 중복탐지 하였다는 의미이다. 이 실험결과 무조건 좋은 레이더를 많이 배치하는 게 최 선의 결과를 주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자신이 보유한 레이더를 최적의 위치로 배치하는 것이 최선의 결과를 가 져다줄 수 있다.

    5. 사례연구

    지금까지 모델에 대하여 민감도 분석과 몇 가지 실험 을 통해 성능을 확인하였고, 사례 연구로 실제 군 현장을 가정하여 레이더의 최적 배치방법을 연구해본다.

    5.1 군단 상황 가정 사례 연구

    군단 정면의 적 포병 규모와 목표지점의 수, 그리고 레이더 후보지 수를 유사하게 설정한다. 이는 아군의 정 보력으로 사전에 확정적인 적의 위치를 알고 있으며 전 시에 전개되는 포병 진지에 대해서 어떤 포병으로 사격 할지 알 수 없는 상황을 묘사하였다. 가정상황은 다음과 같다.

    • 1) 적 포병 : 18개(핵심표적 : e6, e10)

    • 2) 목표지점 : 지휘소 3개, 중요시설 7개

    • 3) 레이더 후보지 : 14개소(4개 구역)

    • 4) 레이더 종류 : A, B, C

    • 5) 레이더 개수 : 4대(r1 , r2 : A, r3 : B, r4 : C)

    시나리오는 조정과정을 거쳐 총 2.62144E+18개에서 시 나리오 조정과정을 거쳐 최종 4,608개이며, 그중에서 가 장 발생 가능한 부분 시나리오 3%, 5%, 10%를 추출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Table 18>의 내용처럼 레이더를 배치하였으 며, 배치결과는 3%, 5%, 10%를 사용하였을 때 유사하다. 전체 시나리오의 결과를 알 수 없어 유사도를 산출할 수 없지만, 부분 시나리오를 사용하더라도 만족할만한 결과 를 도출할 수 있다. 탐지율은 탐지된 사격 발수를 전체 사 격 발수로 나눈 값이다.

    실험결과 적 핵심표적 e6은 레이더 r1, r3, r4에 중복탐 지 되고 있다. e10는 레이더 r1, r2, r3, r4 모두가 중복탐지 한다. 그리고 18개 적이 탐지범위 안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레이더 4개의 레이더 구역에 1대만 배치 하여 생존 가능성을 높였다. 최근 도입된 성능이 좋은 레 이더 r4를 군단의 중앙에 배치하여 많은 적 포병을 탐지 하도록 배치하였다. 이는 현재 군에서 레이더를 배치할 때의 조건과 유사한 결과를 가진다. 그 조건은 모든 적은 탐지범위 안에 있어야 하며, 핵심표적을 중복탐지하고 레 이더들과의 전파간섭을 피하고 생존성 향상을 위해 일정 부분 이상 이격시키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레이더 배 치방법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를 가질 수 있다.

    5.2 연구모델의 타당성 검토

    <Figure 9>는 현재 군단에서 임무 중인 레이더 종류와 레이더 배치 위치이고, 이를 본 모형에 입력하여 사례 연 구결과와 탐지확률을 비교한다.

    실험은 발생 가능한 상위 3%의 시나리오를 사용하였 다. 본 모델과 군단의 레이더 배치 위치의 차이는 A, B 레이더 위치이다. <Table 19>의 결과를 분석하면 본 모 델은 A(R1) 레이더를 c6에 B(R3) 레이더를 c3에 배치하 였고, 군단은 A(R1) 레이더를 c3에 B(R3) 레이더를 c6에 배치한다. 탐지율은 0.1%의 근소한 차이를 보이며 모델 의 결과가 조금 높다. 이 실험의 결과로 모델의 타당성이 검증되었다고는 할 수 없다. 군단의 배치상황이 최적 배 치라는 실증적인 데이터가 없기 때문이다. 다만 실제 군 단의 배치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탐지율의 차이가 근소하 다는 것은 모델의 결과의 신뢰성이 낮지 않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모델을 사용한다면 예상치 못 한 레이더 고장으로 전력에서 이탈하거나, 추가 레이더 가 전력화되어 레이더 재배치가 필요할 시 과학적인 근 거로 합리적인 배치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모델의 타당성 검토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는 레이더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본 모델과 같은 레이더 수, 후보지, 적 공격시나리오를 사용하여 탐지율을 상대 적으로 비교하는 방법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시뮬레 이터와 비교하지 못하였지만, 실제 군단의 상황과 같은 조건으로 모델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큰 오차가 없었 다는 것으로 본 모형의 부분적인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6. 결 론

    육군은 현재 적 포병을 식별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표적탐지 레이더를 배치 운영하고 있다. 작전적 효과가 최대화될 수 있는 종류별 레이더 위치를 찾기 위한 고민 으로 본 연구를 하게 되었다. 레이더의 기본 원리가 적 포탄의 탄도를 역추적하기 때문에 반드시 적의 공격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는 다양한 적 공격시나리 오를 고려하여 탐지확률을 최대화하는 레이더 위치를 찾 는 모형을 수립하였다. 실제 전장에서 적 포병 수와 화포 종류 및 사격 목표지점에 따라 시나리오 수는 기하급수 적으로 증가하여 계산하기 어려워진다. 그래서 우리는 적의 사격 거리와 작전구역의 분할 그리고 아군정보 판 단에 따라 발생 가능한 시나리오를 선별한다. 그리고 목 표지점의 가중치와 상대적인 거리에 따른 공격 가능성을 확률값으로 도출한 후 발생 가능성이 큰 부분 시나리오 를 선별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계 산시간을 줄이고 실제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모형을 개 발하였다. 또한, 신속한 지휘결심을 할 수 있도록 최적의 배치방법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적 공격시나리오 기반을 둔 레이더 위치 결 정 최적화 수리모형을 제시하고 다양한 실험을 진행하여 결과를 분석한 후 최종적으로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해당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발생확률이 높은 부분 시나리오만 적용하여도 전체 시나리오를 적용한 것의 결 과와 유사하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아울러 연구 모형을 통해 군단급 레이더의 비용 대 효과 분석으로 적정 대수 를 판단할 수 있다. 향후 연구과제로 제시된 수리모형 자 체가 모든 시나리오를 포괄하기에는 모형의 계산시간이 상당히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러한 요소를 반영한 휴 리스틱모형을 개발하는 것도 가치 있을 것으로 판단된 다. 제시한 본 모형이 향후 육군 포병 분야에 활용되어 군의 전투력 향상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Figure

    JKISE-43-4-217_F1.gif

    Specification of Radar

    JKISE-43-4-217_F2.gif

    Scenario Cutting

    JKISE-43-4-217_F3.gif

    Example-Scenarios Tree Construction

    JKISE-43-4-217_F4.gif

    Right Diagonal Deployment of Radar

    JKISE-43-4-217_F5.gif

    Left Diagonal Deployment of Radar

    JKISE-43-4-217_F6.gif

    Situation Diagram of Radar Deployment

    JKISE-43-4-217_F7.gif

    Scenario Reduction Process

    JKISE-43-4-217_F8.gif

    Situation Diagram of Radar Deployment Using Partial of Scenario

    JKISE-43-4-217_F9.gif

    Situation Diagram of Corps Radar Deployment

    Table

    Radar Performance Comparison

    Specification of Enemy

    Detection Reduction Rate by Angle

    Detection Reduction Rate by Distance(Radar type : A, B, C)

    Fire-Distance Constraints

    Battle Field Constraint

    Attack Scenarios List

    Weight of Attack

    Total Weight of Attack

    Rate of Attack

    Data Scaling of Attack Scenarios

    Result of Deployment(Right)

    Result of Deployment(Left)

    Result of Radar Deployment Using Partial S-1, 2(scenario 100% = 1,200)

    Comparison of the 100% Scenario and Partial Scenario Results

    Candidate Group of Radar Area

    Result of 3,4 Radar Deployment(D : Mean of Detection Probability, M : The Rate of Missing Detection)

    Result of Radar Deployment Using Partial of Scenario(100% Scenarios : 4,608ea)

    Comparison of Result between Proposed Model and Corps Using Partial of 3% Scenario

    Reference

    1. Bayram, V. and Yaman, H., Shelter Location and Evacuation Route Assignment Under Uncertainty : A Benders Decomposition Approach, Transportation Science, 2018, Vol. 52, No. 2, pp. 416-436.
    2. Feng, Y. and Ryan, S.M., Scenario construction and reduction applied to stochastic power generation expansion planning, Computers & Operation Research, 2013, Vol. 40, No. 1, pp. 9-23.
    3. Gu, J.M., Zhou, Y., Das, A., Moon, I.K., and Lee, G.M., Medical relief shelter location problem with patient severity under a limited relief budget, Computers & Industrial Engineering, 2018, Vol. 125, pp. 720-728.
    4. Headquarter of US Army, Field Manual 3-09.12 : Tactics,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Field Artillery Target Acquisition, 2015.
    5. Headquarter of ROK Army, Field Manual 32-12 : Battalion of Observatory, 2012.
    6. Headquarter of ROK Army, Training Circular 17-4-3 : Operation of Target Detection Radar Ⅱ, 2017.
    7. Hwang, S.M. and Song, S.H., Optimization Methodology for Sales and Operations Planning by Stochastic Programming under Uncertainty : A Case Study in Service Industry,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16, Vol. 39, No. 4, pp. 137-146.
    8. Jang, J.P., Research on the Countermeasures against NK’s Field Artillery Threats Focused on the ROK Field Artillery, [dissertation], [Gyeonggi, Korea] : Daejin University, 2017.
    9. Jin, S.H., Kim, J.Y., Kim, K.S., and Jeong, S.J., Scenario- Based Optimization of Patient Distribution and Medical Resource Allocation in Disaster Respons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2014, Vol. 40, No. 2, pp. 151-162.
    10. Kall, P. and Mayer, J., Stochastic Linear programming Models, Theory, and Computa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5, pp. 75-189.
    11. Lee, M.G., Anti-artillery radar positioning by using stochastic optimization method, General Conference on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2018, Jeju, Korea, pp. 2083-2084.
    12. Lee, M.G., Optimal Allocation Model of Anti-Artillery Radar by Using ArcGIS and its Specifications,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18, Vol. 41, No. 2, pp. 74-83.
    13. Li, Z. and Floudas, C.A., Optimal scenario reduction framework based on distance of uncertainty distribution and output performance : I. Single reduction via mixed integer linear optimization, Computers and Chemical Engineering, 2014, Vol. 70, pp. 50-66.
    14. Li, Z. and Floudas, C.A., Optimal scenario reduction framework based on distance of uncertainty distribution and output performance : Ⅱ. Sequential reduction, Computers and Chemical Engineering, 2016, Vol. 84, pp. 599-610.
    15. Park, T.Y. and Lim, J.S., Method on Radar deployment for Ballistic Missile Detection Probability Improvemen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2016, Vol. 20, No. 3, pp. 669-676.
    16. Park, S.H. and Lee, M.G., Optimal Allocation Heuristic Method of Military Engineering Equipments during Artillery Position Construction Operation,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17, Vol. 40, No. 1, pp. 11-21.
    17. Son, S.H. and Cho, N.S., Optimization Models for Deploying Air Defense Mobile Rada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2019, Vol. 45, No. 3, pp. 225-239.
    18. Wang, L., A two-stage stochastic programming framework for evacuation planning in disaster responses, Computers & Industrial Engineering, 2020, Vol. 145, pp. 106458.
    19. Wagner, D.H., Charles Mylander, W., and Sanders, T.J., Naval operations analysis, third ed., Naval institute press, 1999, pp. 108-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