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005-0461(Print)
ISSN : 2287-7975(Online)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ol.43 No.4 pp.178-189
DOI : https://doi.org/10.11627/jkise.2020.43.4.178

A Study on the Effect of Customer Integration and Market Orientation on the Uncertainty and Flexibility of Supply Chain and Management

He-Kyung Jung, Jeman Boo†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boojeman@hanmail.net
18/11/2020 21/12/2020 22/12/202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ructural relationships with regard to the effect of customer integration, which is a type of integration in the supply chain, and market orientation of supply chain on the resulting change in the supply chain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ustomer integration and market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the flexibility and uncertainty of SCM. The decreased flexibility and uncertainty of SCM had a positive effe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which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Second, customer integration and market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indirectly by decreasing the flexibility and uncertainty of SCM. Third, the effect of customer integration and uncertainty of SCM on the flexibility of SCM changed depending on the position in the supply chain; the effect was larger in the distribution group.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expected that the ability to deal with market changes in the overall supply chain is improved by laying the foundation for cooperation through establishing information infrastructure, including sharing information with trade partners and integrating systems, and implementing customer integration based on these achievements.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the busines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ompanies in establishing information infrastructure.



고객통합과 시장 지향성이 공급사슬 불확실성과 유연성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 희경, 부 제만†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초록


    1. 서 론

    최근 들어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증대되어 기업 경 영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기존 변화의 속도보다 비 교할 수 없을 정도의 환경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 며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고 고객 만족을 위해 제품과 서 비스를 제공해야만 하는 기업으로서 어려움이 가중된다 고 볼 수 있다.

    즉,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따라 단일 기업 중심의 경쟁 체계에서 공급망 전체의 경쟁체계로의 변화가 가속화되며 공급사슬 참여기업들은 지속 가능한 경쟁우위를 추구하 기 위해 자연스럽게 공급망통합과 운영 최적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고객 요구(needs)의 다양화, 수요의 변동성 증대와 더불어 제품수명주기의 단축은 통합된 공급망 경쟁체계로의 전환을 가속 시키는 요인으로 거론되고 있으며 이들 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 방법으로 공급망통합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40]. 이러한 공급망통합의 문제는 공급망의 구성이 근본 적으로 협력을 기반으로 한 가치사슬이라는 점에서 공급 망의 태생적 특성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공급망의 시장 지향적인 접근은 공급 망 운영의 성패를 좌우하는 요인이라 할 수 있으며 공급 망의 효율적인 운영 측면에서 볼 때 공급망의 시장지향 성과 공급망통합은 시장의 불확실성으로 인한 운영리스 크를 최소화하고 공급망 운영의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한 다는 점에서 자연스러운 변화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 구에서는 공급망의 통합의 유형인 고객통합과 공급망의 시장 지향성으로 유발되는 공급망의 변화와 성과에 미치 는 구조적인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측면 에서 본 연구의 주요한 목적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급망통합 유형 중 외부통합 요인인 고객통합 과 시장 지향성이 공급망 불확실성의 감소와 유연성 증 대에 미치는 유기적인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러한 접근은 기존 연구에서 주로 제시된 공급망통합 관 련 연구가 주로 거래기업 간 기능적 통합이나 구조적 통 합의 핵심 요인을 제시한 연구와 달리 공급망의 외부통 합 요인인 고객통합이 미치는 영향과 변화에 대한 접근 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둘째, 공급망의 불확실성 감소가 공급망의 유연성에 미 치는 영향 관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영향 관계의 분석은 공급망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불확실성의 문제와 연결되고 있지만, 핵심적인 주요 요인으로는 공급망에서 나타나는 수요와 공급의 불확실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들은 공급망의 전략적 운영 문제와 결 합하여 공급망 전체로 확대되면서 채찍효과(bullwhip effect) 를 유발하게 되는데 이를 체계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이 시도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 된 공급망이 불확실성의 감소와 공급망의 유연성에 대한 분석은 이러한 공급망 내외부의 특징을 대표적으로 제시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셋째, 공급망의 불확실과 유연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 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다양한 연구자들에 의해 제 시된 연구 문제로 공급망의 최적화를 위한 활동은 주로 공급망 참여기업들의 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 관계 를 구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10, 46]. 하지만 비재 무적 성과에 관한 지표에 있어서는 통일된 기준이 제시 되어 있지 않아 다양한 질적 변수들이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47].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재무적 및 비재무적 성 과 요인들을 구분하여 공급망의 전략적 활동이 미치는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전체 가설 경로에 있어 업종 특성이나 공급망의 위치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지 분석 하고자 한다. 이러한 접근은 기존 연구와 달리 고객통합, 시장지향성, SCM 유연성 및 SCM 불확실성 간의 유기적 인 관련성을 파악하고 이들 요인이 성과에 이르는 영향 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적인 특징 이 있으며 공급망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는 선제적 요인 으로 고객통합과 시장지향성 변수를 활용한 점은 본 연 구의 차별적 기여점이라 할 수 있다.

    2. 선행연구

    2.1 고객통합

    공급사슬 통합은 공급망의 물적 유통 및 정보의 전달 과정을 통합하는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7]. 또한, Pagell [42]은 공급망통합을 프로세스의 통합 측면에서 공급망 참여기업 간 협력기반의 프로세스로 설명하고 있다. 특 히, 공급망의 통합 목적이 근본적으로 공급망의 효율적인 협력방안의 일환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공급망통합은 공 급망의 발전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

    우선, 공급망 참여기업 간 기능적 특성을 통합한 연구 로 Lotfi et al.[34]은 내부통합, 외부통합, 고객통합으로 구분하였으며 고객통합을 공급망 참여기업 간 통합의 한 요소로 제시하였다. 이와 유사한 연구로 Bowersox et al. [5]은 공급망 참여기업 간 통합이 이루어지는 유형으로 고객통합, 내부통합, 자원 및 공급자통합, 기술과 계획의 통합, 성과통합, 관계 통합의 6가지 조직 간 기능을 통합 한 유형들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은 공급망 참여기 업 간 통합이 어떠한 부분에서 이루어지는지를 제시하였 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이 있다.

    이와 달리 공급망통합을 공급망의 발전과정의 유형화 모델로 제시한 연구는 통합의 선제적 조건으로 기업 간 협력기반을 제시하고 있다. 즉 공급망 참여기업 간 협력 의 강도와 깊이가 확대되어 가는 측면에서 공급망통합 유 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앞서 제시한 기능 중심의 통합 과는 다른 관점이라 할 수 있다. 대표적인 연구로 Stevens [51]는 공급망통합을 기능적 독립단계에서(stage 1) 기능적 통합단계(stage 2), 내부통합단계(stage 3), 외부통합 단계 (stage 4)로 제시하며 공급망이 발전되어 가는 4단계 과정 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Stevens[51]는 공급망통합 초기에 는 주로 공급망 참여기업 간 기능적 통합을 중심으로 한 운영 특성을 통합의 중요한 관리 문제로 인식하지만, 공 급망의 후방과 전방이 통합되는 되는 4단계에서는 기업 간 전략과 조직간 조화를 통합의 핵심 문제로 인식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통합의 특성은 공급망 참여기업 간 부분 통합에서 전체 통합의 방향으로 진화하는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중심통합에서 전체 통합으 로 변화하는 특성에 대하여 Marien[37]은 전략, 조직, 자 원 정보의 4가지 요소로 분류하여 통합 정도를 분석하기 위한 주요 변수로 제시하였다.

    한편 공급망통합을 기능 측면[2, 34]이나 구조적 통합 측면[27, 37, 51]에서 다루어진 연구와 달리 기업 간 협력 프로세스 관점에서 다루어진 Flynn et al.[12]의 연구는 공 급망통합을 자연스러운 협력기반의 프로세스로 설명하고 있다. 특히, 고객통합은 공급망이 효과적인 공급 흐름을 달성하기 위해 기업과 고객 간의 상호작용과 협력 프로세 스를 의미하며 이러한 고객과의 통합을 통해 수요 정보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설계-생산-재고관리에 효율성을 증 대시키며, 시장의 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높은 수준의 고객통합을 달성할 때 고객의 요 구를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고, 공급자는 이 에 맞추어 상품을 제공하게 되며, 이는 곧 높은 고객 만족 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특성에 대해 Kim et al.[25]은 공급 망의 고객통합은 적절한 수요예측과 공급을 통해 재고 감 소와 성과향상을 이루는 등 고객에 대한 대응력을 높여 고객만족도를 높이려는 행위로 설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 들을 기반으로 Flynn et al.[12]과 Kim et al.[25]에서 제시한 공급망 참여기업 과 고객과의 상호작용과 프로세스 관점에서 고객통합의 개념적 특성을 구성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고객통합을 ‘고객과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위한 시스템 구축 정도’로 정의하였다.

    2.2 시장지향성

    시장 지향성이란 소비자에게 우월한 가치를 제공하여 기업성과의 지속적인 창출을 위해서 필요한 기업의 효율 적⋅효과적 문화이며[39], 현재와 미래의 고객 욕구를 포 함하는 시장정보의 전사적인 창출과 전파 그리고 이에 대한 기업이 반응으로 정의할 수 있다[26].

    시장 지향성이라는 개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요소로는 고객지향성, 경쟁자 지향성, 기능 간 조정성 등 이 주로 언급된다. 고객지향성은 기업 내 이해관계자를 배제하고 소비자 이익을 최우선 가치로 설정하는 신념 [9], 또는 기업의 목표에 우선하는 소비자를 향한 가치창 조와 기업의 성장 및 교감을 위한 규범의 제공[49] 등으 로 설명된다. 경쟁자 지향성은 경쟁자의 장단점, 역량, 전략 등을 이해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기능 간 조정성은 고객에게 우월한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기업의 자원을 조화롭게 이용하는 것으로 정의된다[39].

    한편, 공급망에서 나타나는 시장 지향성의 개념은 전 통적인 단일 조직에서 나타나는 시장 지향성의 특성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38], 공급망 참여기업들의 시장 지향 적인 특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연구로 Min et al.[38]은 공급망 참여기업 간 협력 강도가 강하게 연계된 공급망에서는 특정 기업이 시 장정보는 공급망 전체 기업들에 공유되며 이를 통해 시장 특성을 이해하고 대응하는 공급망 전체의 역량이 향상된 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공급망 참여기업 간 연계성이 강 한 공급망일수록 경쟁업체가 이용할 수 없는 정보공유뿐 만 아니라 기업 간 협력과 조직학습을 통해 차별적 경쟁우 위를 달성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33].

    따라서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시장 지향성은 ‘고객 및 경쟁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장 상황에 대응하려는 공급망 참여기업의 노력’으로 정의하 였다.

    2.3 SCM 유연성

    기업 생태계의 변화에 따라 유연성이란 개념은 최고 경영자로부터 공급사슬에까지 포괄적으로 거론되고 있다 [58]. Manceil[36]은 기업의 유연성을 거래 파트너 간 계 약이 시장, 교환관계,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는 태도라 하였다. 일반적으로 제조업에서의 유연성은 환경변화에 적응하는 것으로써, 한 제품의 생산에서 다른 제품의 생 산으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설비 및 공정변환 소요 비용의 크기, 시장수요의 변화에 부응하여 생산량을 증감시킬 수 있는 폭, 생산할 수 있는 제품의 범위 등으로 이해할 수 있다[55]. Vickery et al.[57]의 경우에는 공급사슬에서의 유연성을 제품, 생산량, 납품, 반응 유연성 등으로 세분화 하였다. 제품 유연성은 시장의 변화나 요구에 따라 비표 준 주문을 처리하거나 차별화되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이며, 생산량 유연성은 시장의 요구에 따라 생산을 줄이거나 늘려 대응하는 능력이다. 납품 유연성은 신제품 의 빠른 출시나 다품종 소량 납품을 신속하게 이행할 수 있는 능력이며, 반응 유연성은 목표 시장에 대응 가능한 전반적인 능력을 말한다.

    이와 유사한 측면에서 Arawati[3]는 공급망에서 나타나 는 유연성이 개념을 3가지 구분하였는데 첫째는 제품 유 연성이며 둘째는 수량 유연성, 끝으로 신제품 개발 유연성 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3가지 유형은 공급망에서 나타 나는 고객지향적인 제품생산과 이에 대한 조직적 대응의 유연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망의 유연성의 문제는 공급망의 내·외부의 불확실성(uncertainty)과 변 화에 대한 민첩성(agility)의 개념들로 확대되어 다루어지 고 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SCM 유연성을 ‘공급사슬에서 시장의 변화와 요구에 대해 적 절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업 역량’으로 정의 하였다.

    2.4 SCM 불확실성 감소

    공급망의 근본적 목적은 시장 불확실성에 대한 체계 적인 대응능력의 향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 성과가 공급망 전체의 비용 절감 과 더불어 효율성을 증대한다는 것은 이미 많은 연구자 에 의해 합의된 연구 결과이다[11, 31, 56]. 따라서 공급 망의 불확실성의 문제들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제시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불확실성의 구조 적인 원인을 찾는 것은 공급망이 효율성을 증대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접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불확실 성의 문제들에 대해 Paulraj and Chen[44]은 공급망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들이 공급망 내·외부의 불확실성 에 관한 요인들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요 인들은 시장수요에 대한 불확실성, 공급 불확실성 및 기 술 불확실성으로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공급망 내·외 부의 불확실성의 문제는 공급망 운영전략과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며 이들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 방법이 곧 기업의 위험 회피전략이 되고 있다[53].

    공급망에서 나타나는 불확실성의 문제에 대해 선구적 인 연구를 제시한 Fisher[11]는 공급망에서 나타나는 불 확실성의 문제를 상품과 수요의 특성으로 제시하고 이에 따른 공급망 운영전략을 제시하였다. 즉, Fisher[11]는 공 급망에서 나타나는 불확실성의 문제를 공급과 수요에 대 한 불확실성으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상품 특성으로 기 능적 제품과 혁신적 제품으로 구분하여 이에 따른 전략 유형으로 반응적 공급망 전략과 효율적 공급망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불확실성에 대한 구조적 프레임은 추후 공급망의 불확실성에 관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 으며 추후 연구자들[9, 35, 39]은 Fisher[11]의 연구를 확 장한 연구를 제시하였다. 대표적으로 Lee[31]는 공급망 에서 나타나는 불확실성에 대해 Fisher[11]가 제시한 수요 불확실성뿐만 아니라 공급의 불확실성을 결합하여 4개 의 상품 특성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들 상품에 적합한 공 급망 운영전략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러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SCM 불확실성 감소는 ‘공급 망에서 나타나는 수요와 공급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는 안정적인 관리 정도’로 정의하였다.

    2.5 경영성과

    기업의 궁극적 목표는 이익의 극대화이기 때문에 기 본적인 경영성과의 측정은 재무적 측면에서 이루어진 다. 그러나 조직의 성과측정을 재무적 측면에서만 측정 한다면 성과 창출과 관련된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지 못 하게 되므로, 재무적 요소뿐만 아니라 다양한 요소들을 균형 있게 파악해야 한다[22]. 이 때문에 많은 연구에서 비재무적 성과 또한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고, 본 연구 에서도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를 함께 다루고자 하였다.

    비재무적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는 측정범위가 광범위해질 수 있고 객관화하기가 어렵다[23]. 비재무 적 측정치에 대해 연구한 Lee[28]의 경우 대표적인 비 재무적 성과 측정지표로 고객만족, 품질, 생산성, 납기 관련 지표, 구성원 만족 관련 지표, 구성원에 대한 투 자 등 매우 다양하게 언급하고 있다. 그러므로 어떠한 지표로 비재무적 성과를 측정할 것인지 고려해야 한다. 고품질의 제품생산, 납기준수, 구성원에 대한 각종 복 지 및 투자 등은 고객만족을 통해 더 많은 재무적 성과 를 얻고자 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고객 의 만족과 관련된 지표들 위주로 비재무적 성과를 구 성하였다.

    3. 연구설계

    3.1 연구모형

    본 연구에서는 고객통합, 시장 지향성이라는 공급망의 전략적 행위가 SCM 유연성과 SCM 불확실성의 감소에 어떠한 관련성이 존재하는지를 분석하고 더 나아가 기업 성과로 연계되는 인과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전체 연 구모형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Figure 1> 참조).

    본 연구모형에서 활용한 변수의 측정 요인을 제시하 면 고객통합은 Kim[24]이 구성한 공급사슬 통합수준 척 도의 하위척도인 기업-소비자 통합 척도 7개의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내용은 고객과의 피드백 시스템 구축, 고객 주문 실시간 정보시스템 반영, 고객과 정보시스템 을 통한 유기적 연계, 고객과 시장정보 공유, 주문처리 신속함, 고객 반응 실시간 조회 및 분석시스템, 고객과 정기적 정보공유 및 커뮤니케이션 등이다.

    시장 지향성은 Narver and Slater[39]에서 사용된 시장 지향성 척도 12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문항 내용은 고 객 관점의 기업전략과 정책 결정, 고객 만족을 위한 경 영, 고객에게 집중하는 내부조직 행위, 가치창조 대상 인 식, 고객 만족을 위한 조직문화, 고객 요구에 맞는 제품 및 서비스, 고객의 새로운 요구 충족 노력, 차별화 서비 스 제공 노력, 경쟁기업에 대한 논의, 경쟁사 대비 경쟁 우위 전략 중시, 판매원들의 경쟁업체 정보공유, 경쟁사 행동에 대한 빠른 대응 등이다.

    SCM 유연성은 Vickery et al.[57]에서 사용된 SCM 유 연성 척도 중 제품 유연성과 생산량 유연성에 관련된 6 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문항 내용은 비표준화 주문처 리, 시간지연 없는 고객 요구 대응, 시간지연 없는 제품 개선, 시간지연 없는 생산량 증가, 시간지연 없는 생산량 감소, 생산량 변화 대응 시스템 등이다.

    SCM 불확실성 감소는 Sung et al.[54]에서 사용된 SCM 개선 외부동기 척도 9문항을 역문항 활용하여 측 정하였다. 문항 내용은 자재 수급 안정성, 자재 가격 변 동에 영향 받지 않는 생산원가, 발주량 변화에 영향 받지 않는 주문 비용, 자재 품질의 안정성, 자재 납기일 예측 성, 최소화된 생산일정 변경, 고객 클레임 감소, 납기일 을 맞추려는 연장근무 감소, 급격한 생산계획 변동 감소 등이다.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는 Lee[30]에서 사용된 경영성과 척도를 참고하여 비재무적 성과의 불필요한 문 항을 제외한 재무적 성과 5문항, 비재무적 성과 7문항으 로 측정하였다. 문항 내용은 현금흐름 개선, 매출액 증 가, 자산 회전율 증가, 이익증가, 비용감소, 서비스 적시 성 향상, 납기 일 준수, 제품 및 서비스 품질 향상, 주문 리드타임 단축, 주문처리 정확도 개선, 고객만족도 증가, A/S 편의성 증가 등이다.

    3.2 연구가설

    고객과의 효과적인 공급사슬 통합은 수요 정보의 정 확성을 향상시켜 제조업체의 제품 설계와 생산 계획시간 을 줄여주고, 고객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하 며, 시장의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한다[12]. 이 러한 대응능력이 곧 공급사슬에서의 제품, 생산량, 납품, 반응 유연성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고객통합을 통해 SCM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알려져 있다[12, 29, 30]. 또한 SCM 유연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고객과 경쟁 자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필요하다[30]. 이 때문에 SCM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시장 지향성을 높여 고객 과 경쟁사의 움직임을 면밀히 파악하고 대응해야 한다. 따라서 고객통합 및 시장 지향성과 SCM 유연성에 관한 가설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 가설 1 : 고객통합은 SCM 유연성에 정(+)의 영향을 미 칠 것이다.

    • 가설 2 : 시장지향성은 SCM 유연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과 가설 4는 고객통합 및 시장 지향성이 SCM 불확실성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한 가설로 기존 연 구에서는 고객통합과 시장 지향성은 시장 변화에 대한 빠른 대응과 더불어 재고감축, 수요예측의 정확성을 높 여 시장의 다양한 불확실성을 낮추는데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Kang[21]은 기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소비자, 경쟁자, 기술변화, 공급자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을 이해하고 신속히 대처할 수 있 도록 높은 수준의 시장 지향성을 갖추어야 함을 주장하 였고, Suh and Lee[52]도 고객수요와 관련된 불확실성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시장 지향성이 중요한 의미 를 가진다고 하였다. 따라서 고객통합과 시장 지향성이 SCM 불확실성성 감소에 관한 가설은 다음과 같이 제시 하였다.

    • 가설 3 : 고객통합은 SCM 불확실성 감소에 정(+)의 영 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 시장 지향성은 SCM 불확실성 감소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한편, 공급망에서 나타나는 불확실성은 공급망의 성 과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나타나게 되며 이를 최소화하 기 위한 다양한 선제적 활동들을 수행하게 된다[31]. 즉, 불확실성의 통제를 통해 고객 만족을 높일 수 있으며 높 은 수준의 SCM 유연성은 불확실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황들을 신속하고 적절하게 대처하게 해주며, 높은 수 준의 SCM 불확실성 감소는 불확실성 요소들을 관리하여 사전에 최소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경영성과를 비 재무적 성과와 재무적 성과로 나누어 측정하였는데, 비 재무적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고객 만족과 관련 된 문항을 선정하였다. 고객 만족 등의 비재무적 성과가 미래의 재무적 성과를 개선 시켜주는 것이 논리적으로도 알맞고 선행연구들에서도 동일하게 주장하고 있다[2, 4, 18, 20, 45, 59]. 본 연구에서도 비재무적 성과가 재무적 성과에 선행된다고 보았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수립하 였다.

    • 가설 5 : SCM 불확실성 감소는 SCM 유연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6 : SCM 유연성은 비재무적 성과에 정(+)의 영향 을 미칠 것이다.

    • 가설 7 : SCM 불확실성 감소는 비재무적 성과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8 : 비재무적 성과는 재무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급사슬관리가 수행되는 기업 들의 공급망 위치에 따라 고객통합, 시장지향성, SCM 유연성, SCM 불확실성 감소, 비재무적 성과, 재무적 성 과 간의 관계가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하였으며, 공급망 위치는 제조와 유통으로 분류하였다.

    • 가설 9 : 고객통합, 시장지향성, SCM 유연성, SCM 불확 실성 감소, 비재무적 성과, 재무적 성과 간의 관계는 공급망 위치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4. 실증분석

    4.1 표본 구성

    동일 기업 내 복수 응답자들의 특성을 배제하기 위해 기업 당 1명의 응답자를 선정하였으며 이들 연구대상자 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이 나타났다.

    4.2 타탕성 및 신뢰성 분석

    본 연구의 측정 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 요인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전체 분석 결과 는 <Table 2>에 제시하였으며 모형 적합도는 <Table 3> 과 같이 나타났다.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Hong[17]의 제 안에 따라 TLI, CFI, RMSEA 등을 검토하였고, TLI 0.9 이상, CFI 0.9 이상, RMSEA 0.1 미만 등의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 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요인부하량을 통해 집중타당 성을 평가하게 된다. 집중타당성은 동일한 개념에서 측 정지표들의 상관관계에 관한 것으로, 표준화 요인부하 량의 크기, 평균분산추출값(AVE), 합성신뢰도(CCR) 등 으로 집중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다[36]. 표준화 요인적 재량 0.5 이상이 되어야 하며, AVE 0.5 이상, CCR 0.7 이상의 값을 가져야 집중타당성이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14].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는 <Table 2>와 같이 집중타 당성 기준을 대체로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CM 불확실성 감소의 AVE값이 기준값에 조금 못 미쳤지만, AVE가 0.5에 조금 못 미치더라도 CR값이 0.7 이상이면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13], 이후 분석을 그대로 진행하 였다.

    다음으로는 <Table 4>와 같이 확인적 요인분석의 상 관계수를 토대로 판별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는 부트스트랩으로 상관계수의 표준오차를 산출하여 판 별타당성을 검토하였으며, 이때 ‘상관계수±2×표준오차’의 범위에 1이 포함되지 않으면 판별타당성을 충족하는 것 으로 보았다[16]. 본 연구에서는 모든 상관계수 표준오차 추정구간에 1이 포함되지 않아 판별타당성을 가지는 것 으로 판단하였다.

    4.3 가설검증

    4.3.1 구조방정식 모형의 경로계수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결과를 살펴보기에 앞서 모형의 적합도를 검토하였으며, <Table 5>과 같이 TLI 0.9 이상, CFI 0.9 이상, RMSEA 0.1 미만 등의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적합도가 양호 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경로계수에 대한 분석결과는 <Table 6>과 같다. 8개의 경로 중 7개가 유의하였으며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객통합은 SCM 유연성에 정(+) 의 영향, 시장지향성도 SCM 유연성에 정(+)의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객통합은 SCM 불확실성 감소에 정(+)의 영향, 시장지향성도 SCM 불확실성 감소에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SCM 불확실 성 감소는 SCM 유연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SCM 유연성은 비재무적 성과에 정(+)의 영향, SCM 불확 실성 감소도 비재무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재무적 성과는 재무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3.2 공급망 위치에 따른 다집단 분석

    공급망 위치(제조-유통)에 따라 고객통합, 시장지향성, SCM 유연성, SCM 불확실성 감소, 비재무적 성과, 재무 적 성과 간의 관계가 유의하게 달라지는지 검증하기 위 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집단 분석에서의 경로별 분석에서 나타나는 차이가 집단 간의 측정모형에 따른 차이가 아님을 미리 확인하기 위해, 비제약 모형과 요인부하량 제약 모형 간의 카이스 퀘어 검정 및 적합도 지수 검토를 통해 기본적인 측정동 일성을 확인하였다(<Table 7> 참조). 비제약 모형과 요인 부하량 제약모형의 적합도가 모두 양호하였으며, 모형 간 카이스퀘어 검정이 유의하지 않았으므로 제조 집단과 유 통 집단 간에 측정동일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공급망 위치에 따른 경로계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 해 요인부하량 및 경로계수 제약모형(이하 제약모형)을 설정하고, 여기서 경로계수 차이를 검증할 경로 하나의 제약만을 풀어준 검증모형 간에 카이스퀘어 검정을 실시 하였다. 이 때 카이스퀘어 검정이 유의하다면, 두 모형의 차이는 한 개 경로의 제약-비제약에 의한 경로계수 차이 뿐이므로 공급망 위치에 따라 해당 경로계수의 차이가 유의하게 변화하였다고 해석하게 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Table 8>과 같으며, 두 개의 경로계수 가 공급망 위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객통합이 SCM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SCM 불확실성 감소가 SCM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었다. 검증모형 기준으로 고객통합이 SCM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조 집단이 .290(p < .01), 유통 집단이 .455(p < .001)로 유통 집단이 정(+)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CM 불확실성 감소가 SCM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조 집단이 .074(n.s)로 비유의하였지만, 유통 집단은 .273(p < .05)으로 정(+)의 영향 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9는 채택되었다.

    5. 결론 및 시사점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통합과 시장지향성은 SCM 유연성 측면에 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 히,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시장 변화에 대한 유연한 대 응력은 공급망 운영의 핵심적인 성공요인이라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공급망통합이 기능적 통합에 서 구조적이고 조직적인 수준으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나 타나는 고객통합이 공급망의 전반적인 대응력을 높인다 는 Stevens[51]의 연구와 일치한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의 실무적 활용가치가 있다. 한편, 공급망의 시장지향성과 유연성의 연구가설 결과도 시장의 다양한 변화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의 일환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시장지향적 인 정보의 공유는 공급망 전체의 역량을 강화한다는 Min et al.[38]의 연구를 실증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 결과의 의미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실무적 특성으 로 제시하면 공급망의 시장 변화에 대한 대응력은 크게 공급과 수요의 변동성에 대한 대응력으로 설명할 수 있 는데 공급망의 유연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접근 방법이 제시되고 있지만, 특히, 고객통합과 시장지향성의 추구 는 공급망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시장 요인들에 대한 대 응력을 높이고 거래 기업 간의 전략적 파트너십의 개발 측면에서 관리적 시사점이 있다[1, 3].

    둘째, 공급망의 시장불확실성 감소 활동과 공급망의 유연성에 대한 관련성은 기존 연구에서 이미 유의적인 관련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 러한 관련성에 대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결과는 제조기업과 서비스 기업 간의 시장 불확실성을 낮추기 위한 활동이 공급망의 유연성을 추구 하는 활동과 일치하지 않아 나타난 것으로 업종별로 시 장불확실성에 대처하는 방법과 이에 따른 운영전략의 차 이에서 나타난 결과로 유추할 수 있다. 특히, 기존 연구 에서 공급망의 유연성 역량은 공급망의 전체 재고를 낮 추고 공급망의 소요비용과 수익성과 같은 가시적 이익을 달성하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지만[19, 50], 이러한 공급 망의 운영전략이 제조와 서비스의 측면의 업종 간 운영 전략의 이질감으로 인해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하 였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즉, 서비스 공급망의 시장불확실성과 유연성에 대한 접근은 제조 중 심적인 공급망의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 전제 공급망 운영의 다양 한 기존 이론들을 실증적으로 적용하는 데 있어 매우 제 한적이라는 것[48]을 연구결과로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이 있다.

    셋째, 최근 들어 정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추 어 스마트팩토리컨설팅 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 으며 스마트팩토리컨설팅은 주로 업무 환경에 대한 정보 시스템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정부 정책 의 근본적 목적은 거래 기업 간 물적 흐름과 정보의 흐 름을 동기화시키고 이를 통해 거래기업뿐만 아니라 공급 망 전체의 가시성 확보와 이를 통한 공급망 전체의 성과 를 향상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급망의 정보 시스템 구축은 단순한 기업 간 거래뿐만 아니라 또 다른 거래기업과의 협력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이 되며 이를 통해 산업이 기반 경쟁력을 향상시킨다는 측면에서 시의 적절한 정책이라 판단된다.

    Figure

    JKISE-43-4-178_F1.gif

    Research Model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CFA Factor Load

    CFA Model-Fit

    Correlation Coefficient

    SEM Model-Fit

    Hypothesis Test

    Multigroup SEM Model-Fit : Supply chain position

    Moderating Effect Verification : Supply Chain Position

    Reference

    1. Ab Talib, M.S. and Hamid, A.B.A., Application of critical success factors in supply chain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upply Chain Management, 2014, Vol. 3, No. 1, pp. 21-33.
    2. Anderson, E.W. and Sullivan, M.,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Market Share and Profitability, Journal of Marketing, 1993, Vol. 56, No. 5, pp. 53-66.
    3. Arawati, A.G.U.S., Supply chain management, supply chain flexibility and business performance, Journal of Global Strategic Management, 2011, Vol. 9, No. 1, pp. 134-145.
    4. Banker, R.D., Konstans, C., and Mashruwala, R., A contextual study of links between employee satisfaction, employee turnover, customer satisfac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 The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Dallas, 2000.
    5. Bowersox, D.J., Closs, D.J. and Theodore, P.S., 21st Century Logistics : Making Supply chain Integration a Reality, Council of Supply Chain Management Professionals, 1999.
    6. Chopra, S. and Meindl, P., Supply Chain Management 3rd Edition, Person Education, 2007.
    7. Cooper, M.C., Lambert, D.M., and Pagh, J.D., Supply chain management : more than a new name for logistic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Logistics Management, 1997, Vol. 8, No. 1, pp. 1-14.
    8. Das, T.K. and Teng, B.S., Partner Analysis and Alliance Performance, Scandinavian Journal of Management, 2003, Vol. 19, pp. 279-308.
    9. Deshpande, R., Farley, J.U., and Webster Jr, F.E., Corporate culture, customer orientation, and innovativeness in Japanese firms : a quadrad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1993, Vol. 57, No. 1, pp. 23-37.
    10. Elmuti, D., The Perceived Impact of Supply Chain Managemen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Journal of Supply Chain Management, 2002, Vol. 38, No. 3, pp. 49-57.
    11. Fisher, M., What Is the Right Supply Chain for Your Product? A Simple Framework-Can You Figure Out The Answer?, Harvard Business Review, 1997, Vol. 75, No. 2, pp. 105-116.
    12. Flynn, B.B., Huo, B., and Zhao, X., The impact of supply chain integration on performance : A contingency and configuration approach,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2010, Vol. 28, No. 1, pp. 58-71.
    13. Fornell, C. and Larcker, D.F.,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981, Vol. 18, No. 1, pp. 39-50.
    14. Gerbing, D.W. and Anderson, J.C., An updated paradigm for scale development incorporating unidimen- sionality and its assessmen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988, Vol. 25, No. 2, pp. 186-192.
    15. Green Jr, K.W., McGaughey, R., and Casey, K.M., Does supply chain management strategy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Supply Chain Management, 2006, Vol. 11, No. 5, pp. 407-414
    16. Hair, J.F., Anderson, R.E., Babin, B.J., and Black, W.C., Multivariate Data Analysis : A Global Perspective (Vol. 7), NJ : Pearson Prentice-Hall, 2010.
    17. Hong, S.H.,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0, Vol. 19, No. 1, pp. 161-177.
    18. Ittner, C.D. and Larcker, D.F., Innovations in performance measurement : trends and research implications, Journal of Management Accounting Research, 1998, Vol. 10, pp. 205-238.
    19. Jangga, R., Ali, N.M., Ismail, M., and Sahari, N., Effect of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supply chain flexibility towards supply chain innovation : An exploratory study, Procedia Economics and Finance, 2015, Vol. 31, pp. 262-268.
    20. Jung, H.K. and Kim, W.K., A Study on effect of Customer Intergration & Market Orientation on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SCM Performance,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20, Vol. 43, pp. 122-134.
    21. Kang, D.K.,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Information Oriented, Environmental Uncertainty, Market Orientation and Performance in Firm, The e-Business Studies, 2008, Vol. 9, No. 4, pp. 47-67.
    22. Kaplan, R.S. and Norton, D.P., Transforming the balanced scorecard from performance measurement to strategic management : Part I, Accounting Horizons, 2001, Vol. 15, No. 1, pp. 87-104.
    23. Kim, E.J. and Kim, J.W., An Empirical Study on Influence of SCM Integration Factors on Visibility and Business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Society, 2010, Vol. 15, No. 1, pp. 59- 72.
    24. Kim, S.W., Alignment between Supply Chain Integration Type and Diversification Strategy, Korean Management Review, 2005, Vol. 34, No. 2, pp. 471-496.
    25. Kim, S.W., Jahng, J.J., Lee, S.H., and Choi, K.H., The effects of Supply Chain Integration Components on Supply Chain Management and Firm Performance,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06, Vol. 19, No. 3, pp. 987-1014.
    26. Kohli, A.K. and Jaworski, B.J., Market Orientation : The Construct, Research Proposition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Journal of Marketing, 1990, Vol. 54, pp. 1-18.
    27. Kwak, S.I., Moon, J.B., and Kim, S.W., An exploratory study on the objectives of SC integration and classifying the type of SC integration,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2005 Spring Conference Papers, 2005, pp. 651-657.
    28. Lee, C.D., An empirical investigation on the use of non-financial measures in performance measurement and reward systems [dissertation], [Seoul, Korea] : Sogang University, 2003.
    29. Lee, G.D.,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Market Orientation and technological Orientation, Supply Chain Flexibility and Corporate Performance in Kyungnam Region, Local Industry Research, 2012, Vol. 35, No. 1, pp. 81-104.
    30. Lee, G.J.,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the market orientation, technology orientation, supply chain management flexibility and corporate performance [dissertation], [Changwon, Korea] : Kyungnam University, 2011.
    31. Lee, H.L., Aligning supply chain strategies with product uncertainties,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2002, Vol. 44, No. 3, pp. 105-119.
    32. Lee, H.S. and Lim, J.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Amos 22, Seoul : jyphyuntae, 2015.
    33. Lei, D., Slocum Jr, J.W., and Pitts, R.A., Building cooperative advantage : Managing strategic alliances to promote organizational learning, Journal of World Business, 1997, Vol. 32, No. 3, pp. 203-223.
    34. Lotfi, Z., Sahran, S., Mukhtar, M., and Zadeh, A.T., The relationships between supply chain integration and product quality, Procedia Technology, 2013, Vol. 11, pp. 471-478.
    35. Lummus, R., Vokurka, R., and Duclos, L., The Produce- Process Matrix Revisited : Integrating Supply Chain Trade-offs, S.A.M., Advanced Management Journal, 2006, Vol. 71, No. 2, pp. 4-10.
    36. Macneil, I.R., The New Social Contract : An Inquiry into Modern Contractual Relations,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CT, 1980.
    37. Marien, E.J., The four supply chain enables, Supply Chain Management Review, 2000, Vol. 4, No. 1, pp. 60-68.
    38. Martin, J.H. and Grbac, B., Using supply chain management to leverage a firm’s market orientation,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2003, Vol. 32, No. 1, pp. 25- 38.
    39. Min, S., Mentzer, J.T., and Ladd, R.T., A market orientation in supply chain management,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007, Vol. 35, No. 4, pp. 507-522.
    40. Narver, J.C. and Slater, S.F., The effect of a market orientation on business profitability, Journal of Marketing, 1990, Vol. 54, No. 4, pp. 20-35.
    41. Naslund, D. and Hulthen, H., Supply Chain Management Integration : a Critical Analysis, Benchmarking : An International Journal, 2012, Vol. 19, No. 4/5, pp. 481-501.
    42. Nunnally, J.C., Psychometric theory(2nd Ed.), New York : McGraw Hill, 1978.
    43. Pagell, M.,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enable and inhibit the integration of operations, purchasing and logistics,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2004, No. 22, No. 5, pp. 459-487.
    44. Pandey, V.C. and Garg, S., Analysis of interaction among the enablers of agility in supply chain, Journal of Advances in Management Research, 2009, Vol. 6, No. 1, pp. 99-114.
    45. Paulraj, A. and Chen, I.J.,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strategic supply management : a resource dependence perspective and performance implications, Journal of Supply Chain Management, 2007, Vol. 43, No. 3, pp. 29-42.
    46. Reichheld, F.F., Loyalty-based management, Harvard Business Review, 1993, Vol. 71, No. 2, pp. 64-73.
    47. Sanders, N.R. and Premus, R., IT Applications in Supply Chain Organizations : A Link Between Competitive Priorities and Organizational Benefits, Journal of Business Logistics, 2002, Vol. 23, No. 1, pp. 65-83.
    48. Saxton, T., The effects of partner and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n alliance outcom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1997, Vol. 40, No. 2, pp. 443-461.
    49. Scholten, K., de Blok, C., and Haar, R.J., How flexibility accommodates demand variability in a service chain : insights from exploratory interviews in the refugee supply chain, In The Palgrave Handbook of Humanitarian Logistic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pp. 359-393), Palgrave Macmillan, London, 2018.
    50. Slater, S.F. and Narver, J.C., Market orientation and the learning organization, Journal of Marketing, 1995, Vol. 59, No. 3, pp. 63-74.
    51. Soon, Q.H. and Udin, M.Z., Supply chain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value chain flexibility :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Manufacturing Technology Management, 2011, Vol. 22, No. 4, pp. 506-526.
    52. Stevens, G.C., Integrating the supply chain, international Journal of Physical Distribution & Materials Management, 1989, Vol. 19, No. 8, pp. 3-9.
    53. Suh, C.J. and Lee, I.T., The Effects of Customer Demand’s Uncertainty on Product Development Flexibi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Performance : Mediating Role of Market-Ori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Production and Operations Management Society, 2012, Vol. 23, No. 3, pp. 213-229.
    54. Sun, S.Y., Hsu, M.H., and Hwang, W.J., The impact of alignment between supply chain strategy and environmental uncertainty on SCM performance, Supply Chain Management : An International Journal, 2009, Vol. 14, No. 3, pp. 201-212.
    55. Sung, H.K., Lee, M.H., and Boo, J.M., A Study on the Factors of SCM Integration Level Influencing SCM and Management Performance : Focused on the Small- Medium Size Enterprises,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20, Vol. 43, pp. 167-178.
    56. Upton, D.M., The management of manufacturing flexibility,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1994, Vol. 36, No. 2, pp. 72-89.
    57. Venkatraman, N. and Prescott, J.E., Environment-strategy coalignment : An empirical test of its performance implication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990, Vol. 11, No. 1, pp. 1-23.
    58. Vickery, S.N., Calantone, R., and Droge, C., Supply chain flexibility :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Supply Chain Management, 1999, Vol. 35, No. 2, pp. 16-24.
    59. Vokurka, R.J., Zank, G.M., and Lund, C.M., Improving competitiveness through supply chain management : a cumulative improvement approach, Competitiveness Review : An International Business Journal, 2002, Vol. 12, No. 1, pp. 14-25.
    60. Yang, D.M. and Yoo, W.J., Effects of the SCM Flexibility between the Supplier-Buyer on Cooperative Activiti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n Entrepreneurship Society, 2014, Vol. 9, No. 4, pp. 152-177.
    61. Zeithaml, V.A., Berry, L.L., and Parasuraman, A., The behavioral consequence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Marketing, 1996, Vol. 60, No. 2, pp. 3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