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005-0461(Print)
ISSN : 2287-7975(Online)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ol.43 No.4 pp.133-141
DOI : https://doi.org/10.11627/jkise.2020.43.4.133

Development of Distributed MRP System for Production Planning and Operation in Korean OEM/ODM Cosmetics Manufacturing Company

Dongmin Jang, Moonsoo Shin†
Department of Industrial and Management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shinms@hanbat.ac.kr
02/11/2020 12/12/2020 18/12/2020

Abstract


Up to date cosmetic OEM/OD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 industry receives attention as a future growth engine due to steady growth. However, because of limited research and development capability, many companies have employed commercial management platforms specialized for large-sized companies; thus, overall system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is low. Especially, MRP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system introduced originally in 1970s is employed to calculate the requirement of the parts. However, dynamic nature of production lead time usually results in incorrect requirements. In addition, its algorithm does not consider the capability of the production resources. Also, because the commercial MRP system calculates all subcomponent for fixed period, the more goods have subcomponent, the slower calculation is. Therefore, conventional MRP system cannot respond complicated situation in time. In this study, we will suggest a new method that can respond to complicated situations resulting from short lead time and urgent production order in Korean cosmetic market. In particular, a distributed MRP system is proposed, that consists of multi-functional and operational modul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BOM (bill of material). The distributed MRP system divides components (i.e. products and parts) into several fields and decrease the problem size; thus, we can respond to dynamically changed data any time. Through this solution, we can order components quickly, adjust schedules and planned quantity, and manage stocks reasonably. In addition, a prototype of the distributed MRP system is presented in this paper, in which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ever data is associated with an excel spreadsheet via MSsql. System user interface is implemented by a VBA (visual basic for applications) tool. According to a case study, response rate for delivery and planning achievement rate were enhanced about 20%, and inventory turnover was also decreased. Consequently, the proposed system improves overall profit.



국내 OEM/ODM 화장품 제조기업의 생산계획 및 효율화를 위한 분산형 MRP시스템 개발

장 동민, 신 문수†
한밭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초록


    1. 서 론

    최근 대부분의 제조업종에서 IT기능의 발달과 유통채 널의 다변화로 경영전략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소비시 장의 확대와 급변하는 소비자 니즈로 인해 더 이상 높은 생산성과 품질만으로는 지속경영을 장담할 수 없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시장상황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 할 수 있는 체계를 필요로 하고 있다. 특히 화장품 제조시 장은 유행이나 시장변화에 민감하여 제품수명이 짧고 다 양한 유통구조를 가진다[5]. 이에 국내 화장품 회사는 이 러한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핵심역량에 집중할 수 있도록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ODM (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 방식의 거래를 선호 하는 추세이다. 화장품 산업은 빠른 성장속도로 글로벌화 되면서 OEM/ODM 화장품 제조기업의 역할 및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OEM/ODM 제조기업은 연구개발 및 생산능 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판매유통 기업의 화장품시장 진출 을 지원하고 있어 시장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하 지만 OEM/ODM 제조환경에 맞는 맞춤형 시스템의 연구 및 개발 활동이 부족하여 대다수 OEM/ODM 화장품 제조기 업들이 대기업 또는 타산업의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어 비 효율적인 부분이 많다. 특히, 1970년대 최초 소개된 MRP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시스템은 통합적이고 단계 적으로 부품소요량 전개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프로세스 이다. 현재는 패키지화되어 많은 기업들이 도입하여 사용 중이다. 하지만 전통적인 MRP 시스템은 생산자원 능력 을 고려하지 않고 리드타임이 고정된 것으로 가정하는 등 현장과 괴리되는 문제가 있다[8]. 이로 인해 대다수 OEM/ ODM 화장품 제조기업들에서 MRP 시스템을 제대로 활 용하기 보다는 별도 수작업으로 업무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결과적으로 납기지연, 재고증가 등 생산원가 상승 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많은 기업들이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연구와 도입을 반복하고 있지만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서 일반적이고 표 준화된 시스템을 만들고 적용하기는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BOM(bill of material)의 특성에 따라 MRP 모듈을 구분 운영할 수 있는 분산형 MRP 시스템을 개발 하여 긴급상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생산계획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제안된 시스템은 국내 OEM/ODM 화장품 제조기업 환경을 대상으로 한다. 이에 따라 기존 MRP 시스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국내 OEM/ODM 화장 품 제조기업 환경의 특징을 고려하여 분산형 MRP 시스템 을 개발한다. 또한 이를 실제 사례기업에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한다. 본 논문의 이후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2장에서는 기존 연구를 고찰하고, 전통적인 MRP 시스템의 한계를 기술한다. 제 3장에서는 분산형 MRP 시스템의 특성 과 구동 프로세스를 정의한다. 제 4장에서는 분산형 MRP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제안하고, 이를 사례기업에 적용 함으로써 발생한 효과를 제시한다. 제 5장에서는 결론 및 향후 연구방향을 기술한다.

    2. 문헌 연구

    2.1 MRP 기반 생산계획

    1970년대 MRP는 무엇이(what), 언제(when), 얼마나(how much) 필요한지 계산하여 피드백하는 정도의 단순한 형태 의 자재소요계획이었다[13]. 이후 1980년대 MRP는 자재 조달, 우선순위, 설비능력, 작업자 등을 고려하여 생산 및 자재입고 일정을 계산하는 통합정보시스템의 개념으로 확 장하였으며, CRP(capacity requirements planning)가 포함된 MRPII(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로 발전하였다[14]. 이후 MRP 시스템은 수주에서 제품 출하 후 수금까지의 경영활동의 전 과정(즉, 수주, 생산, 발주, 입고, 대금지불, 출하 그리고 수금) 및 각 제품, 공정상의 원가를 자동 계산 하고 회계에 반영하여 모든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형태 의 전사적자원관리의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 스템으로 발전하였다.

    대부분의 전통적인 MRP 시스템은 단일 모듈로 구성되 어 특정 시점을 정해놓고 운영하여 유연성이 부족하다. 현 실적인 계산결과를 위해 여러 가지 수학적 기법을 적용하 거나 정보를 추가하여 복잡하고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MRP의 문제점은 이미 1976년 Whybark 와 Williams[17]에 의해 <Table 1>과 같이 불확실성의 범 주를 시점과 수량, 불확실성의 근원을 수요와 공급으로 구 분하여 정리한 바 있다. Whybark와 Williams는 수요와 공 급측면에서 시점과 수량의 불확실성이 항상 발생될 수 밖 에 없는 상황에서 MRP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재고에 근거한 버퍼링 기법으로 안전재고와 안전리드타임 확보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17]. 하지만 전통적 MRP 는 무한능력을 전제로 수행되기 때문에 현실적인 반영이 어렵고 제품의 수나 구성품이 많을수록 계산속도가 느려 져서 필요할 때 수시로 MRP를 수행할 수 없다.

    2.2 관련 연구

    본 연구에서는 MRP 시스템 관련 연구문헌들을 1)시 스템 개발, 2) 시스템 운영, 그리고 3) 시스템 개선으로 분류하여 고찰한다.

    시스템 개발과 관련한 연구들은 기존 시스템의 형태를 바꾸거나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어 적용 및 결과를 검증하 는 것을 다룬다. 김홍섭과 김판수[4]는 군 정비창의 효율적 인 MRP 운용을 위해 미국 공군에서 활용하고 있는 RFM (repairability forecasting model) 시스템을 대상으로 리드 타임(lead time)과 교환 수량의 불확실성에 효과적으로 대응 할 수 있는 적응적 재고관리 정책(adoptive inventory management policy)을 개발하였다. 정병호 외 5명[2]은 자동 차 생산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생산계획과 자 재관리, 영업관리, 인사관리, 중역정보에 이르는 총 5가지 모듈로 구성된 생산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서장훈[16]은 계약-협동 다이어그램(contract-collaboration)을 반영한 MRP 관리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즉, 계약-협동 다이어그램으 로부터 재사용이 가능한 컴포넌트를 추출하였고, 각각의 컴포넌트들을 EJB(enterprise java beans)기반의 PowerTier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구현하였으며, 컴포넌트 개발과 관련된 기대효과 및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연구를 수행하 였다. 이형곤 외 2명[9]은 많은 시간과 전산자원이 발생되는 MRP 시스템의 전개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단일 테이블 스키마 및 메인 메모리 가상 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하여 MRP 전개 속도를 감소시키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스템 운영 관련 연구는 두 개 이상의 시스템을 연계 및 통합하여 활용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다룬 다. 김수용 외 2명[6]은 MRP 시스템을 활용하여 C/SCSC (cost/schedule control system criteria)에 기반을 둔 EVMS (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의 관리계정계획(control account planning)을 수립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 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고시근과 김재환[7]은 생산시스템 에서의 TOC(theory of constraints)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DBR(drum buffer rope)에 대한 문제점을 고찰하고, JIT (just in time) 방식에서 성공적으로 활용되었던 간반(kanban) 을 제시하였다. 장병만[1]은 MRP와 TP(transportation problem) 기반의 MSPT(multi-product multi-site production and transportation scheduling problem) 모델을 연구하고, 공장 생산에서의 생산분배 및 수송계획 문제에 있어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검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스템 개선 분야는 기존 시스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완하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 적을 둔다. 김대석 외 5명[3]은 구조 BOM(bill of material) 및 디스플레이 BOM을 활용하여 의장 BOM의 관리 모델 을 제안하였다. 석진우와 정병묵[15]은 주문생산을 수행 하고 있는 중소제조기업에 적합한 MRP 시스템을 제안 하였다. 즉, 데이터베이스에 중복되거나 형식화되지 않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개체관리(entity relationship) 모델을 활용하여 제품, 생산자원, 주문정보, 재고의 개체 테이블(entity table)과 각각에 해당하는 관계 테이블 (relationship table)로 구성하였다. 이영규 외 2명[12]은 JIT 와 MRP가 결합한 CIM(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의 추진 사례에 대해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즉, MRP 시 스템의 고유 기능들을 활용하는 동시에 패밀리 BOM을 구축하였고, 로트(lot) 평준화 생산이 가능하도록 단계별 생산계획 수립 과정을 제안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광빈 [11]은 전통적인 MRP 시스템에서 발생되고 있는 정보 및 자재흐름을 방해하는 변동의 문제를 해결하고, 하드 코딩된 MRP 솔루션의 도입을 위해 디커플링으로 알려져 있는 DDMRP(demand driven MRP)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MRP의 종속성을 유지하면서 제품구조상의 가시성 과 리드타임을 단축시키고, MRP의 변동성을 감소시키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전통적인 MRP 시스템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시스템을 새롭게 설계하거나 각종 알고리즘을 활용 하여 시스템을 개선하는 다양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MRP 시스템을 통합적으로 고려하고 있어 시스템 내부에 존재하는 각각의 모듈 구성 까지는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결국 MRP 시스템의 효율 적인 활용은 실제 생산현장의 긴급한 상황들에 대해 즉각 적인 대응이 가능해야 하고,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지 원이 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제품의 각 구 성품별 특성을 파악하여 그룹화 시키고 MRP 모듈을 분산 화 하여 화장품 OEM/ODM 제조환경에서 다품종소량생 산, 짧은 리드타임 및 긴급주문 등에 신속하고 효율적으 로 대응을 할 수 있는 생산계획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3. 분산형 MRP 시스템

    3.1 시스템 개요

    분산형 MRP 시스템은 MRP의 기본적인 프로세스를 하나 이상의 모듈로 분산시키고, 필요에 따라 추가 적용 하여 동시에 수행하는 구조를 바탕으로 한다. 분산형 MRP 시스템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BOM의 구성품 특징에 따라 MRP 모듈을 구분 운영함 으로써 수행 시 필요한 시스템 리소스를 분산시켜 빠 른 속도로 처리가 가능하다.

    • ∙MRP 수행을 위한 특정 담당을 지정하거나 시점을 고 정시키지 않아서 필요할 때 수행하여 후공정 업무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다.

    • ∙구분된 MRP 모듈은 다른 구성품 그룹에 영향을 주지 않고 일정 및 재고관리를 위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실제로 MRP 시스템을 도입하지 않은 대부분의 기업들 이 MRP 시스템의 도입을 계획하면서도 쉽게 도입하지 않는 이유는 각 구매담당별로 엑셀 등을 이용하여 따로 관리하는 것이 더 현실적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에 분 산형 MRP는 각기 다른 속성으로 분야가 나누어지는 구 성품을 그룹으로 정의하고 MRP 모듈을 구분하여 운영함 으로써 각 구성품의 특성으로 발생할 수 있는 변동 상황 에 즉각 대응할 수 있다. MRP 수행 시 다른 그룹에 영향 을 주지 않으므로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 MRP 수행을 할 수 있다. 전통적 MRP와 분산형 MRP의 기본 프로세스는 <Figure 1>과 같이 비교할 수 있다.

    전통적인 MRP는 한 개의 MRP 모듈을 중심으로 MPS (master production schedule)의 데이터를 BOM으로 전개 하여 통합적으로 소요계획을 생성한다. 이후 구매발주 및 생산계획 수립이 진행되고 변동사항에 대한 피드백이 이 뤄진다. 하지만 통합적인 수행으로 상당한 시간과 조정이 필요하다. 반면 분산형 MRP는 생산 Capacity 등을 고려 하여 실행 가능한 생산계획을 전제로 하여 MRP가 수행 되고 BOM 구성품의 특성에 따라 MRP를 분산하여 빠른 횡전개가 가능하다.

    계획수립 측면에서의 차이점은 <Table 2>와 같다. MRP 수행을 위한 필요 입력요소 중 MPS는 수요수량과 필요 시점의 기초적인 정보만 입력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수 립된 계획의 정합성을 저해하는 원인이 된다[10]. 이에 분 산형 MRP 시스템에서는 납기, 재고, 생산 Capacity를 감 안한 최종 생산계획을 MRP 소요계획의 원천 데이터로 활용한다. 이는 짧은 납기 리드타임과 긴급생산으로 변동 이 많은 환경에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해준다. 또 한 각 구성품의 유형에 따라 발생되는 변동 상황에 대해 시점을 정하지 않고 각 모듈 별로 동시에 MRP를 수행하 여 즉각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다.

    전통적 MRP와 분산형 MRP의 재고관리 측면에서의 차이점은 <Table 3>과 같다. 전통적인 MRP 시스템은 고 정된 리드타임 가정과 생산능력의 미반영으로 부정확한 계획을 산출함으로써 품절 또는 과잉재고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변동 상황에 즉각적인 대응이 어렵다. 반면 분산 형 MRP는 생산능력의 제약을 감안한 생산계획을 전제 로 하고 수행 시점과 수행속도에 구애 받지 않음으로써 소요계획을 빠르게 수립할 수 있다. 즉, 실제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 재고를 운영할 수 있다.

    3.2 시스템 구동 프로세스

    생산계획은 고객의 수주 정보를 우선순위 정책을 통해 반영하며 재고의 가용성, Capacity에 의한 설비의 부하율 등을 감안하여 실제 실행 가능한 계획을 전제로 수립된 다. 이는 하위 구성품 들의 소요계획을 산출하기 위한 기 초 데이터로 활용된다. MRP는 제품 하위 구성품의 속성 에 따라 반제품, 자재, 원료 세 요소로 구분되며, 반제품, 자재는 최종 생산계획 MPS를 기초데이터로 하여 계산되 고 원료는 반제품 소요량을 기초데이터로 하여 MRP를 각각 수행한다. 이에 따라 분산형 MRP 시스템은 <Figure 2>와 같이 MPS에 해당되는 최종 생산계획과 각 구성품 의 특성에 따라 구분되는 반제품 MRP(M2), 자재 MRP (B1와 B2), 원료 MRP(B3)로 구성된다. 또한 분산형 MRP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계획 구간은 <Figure 3>과 같이 3개의 영역으로 나눈다. 생산 실행을 위한 자원의 확정으로 계획을 변경할 수 없는 확정구간(determined period), 관리 자가 반드시 확인하고 조정해야 하는 예시구간(exemplifying period), 고객으로부터 받은 수주가 변동될 수 있는 유동구간(undetermined period)으로 구분된다.

    분산형 MRP 시스템의 실행절차는 다음과 같다.

    • ∙Step 1 : 기본적으로 BOM 구성품의 가용재고, 리드타 임을 계산하고, 이때 작업장, 설비, 인원, 생산성 등을 고려하여 기존 계획에 할당된 자원의 부하상태를 감안 하여 항상 실제 실행 가능한 계획을 전제로 한 최종 생산계획을 수립한다.

    • ∙Step 2 : 반제품 MRP(M2) 모듈을 수행하여 생산계획을 바탕으로 반제품의 소요계획을 산출한다. 반제품 MRP 는 반제품에 대한 소요시점과 소요량만을 계산하여 최 종 생산계획의 스케줄과 차이가 있는 부분은 반복 수 행하여 조정하고 일정 구간 확정한다.

    • ∙Step 3 : 자재 MRP(B1, B2)는 최종 생산계획을 기초 데이터로 사용하여 자재의 소요계획을 산출하고, 동시 에 원료 MRP(B3)는 반제품의 제조계획을 기초 데이터 로 하여 원료의 소요계획을 산출한다. 구매품에 해당 되는 자재와 원료는 소요량을 근거로 구매발주를 하고 입고일정에 대해 확인하다. 최하위 구성품 원료는 반 제품에 종속되어 있으므로 반제품의 제조계획과 원료 입고일정을 확인하여 제조계획을 조정한다.

    • ∙Step 4 : 반제품 MRP(M2)의 반제품과 자재 MRP(B1, B2)의 자재 소요계획에 대한 일정정보를 최종 생산계 획에 피드백하여 가능한 스케줄은 확정하고 문제가 되 는 품목은 검토 및 조정한다. 납기의 지연이 예상되는 품목은 고객사에 알리고 납기 스케줄을 협의한다.

    • ∙Step 5 : 최종 생산계획의 타임 버켓(time bucket)별로 확정하고, 예시구간은 변경이 필요한 일정에 대해 협 의하여 조정한다. 계획의 조정 및 확정은 일단위로 진 행되며 이전 작업지시의 진행상황을 체크하여 이월되 는 작업에 대해 반영하고 작업인원의 변동, 설비부하 현황 등을 감안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계획을 확정한다.

    3.3 시스템 운영로직

    분산형 MRP는 각 품목별 총소요량, 입고예정량, 순소 요량을 일자별로 출력한다. 모듈별로 계산수행을 위한 기초 데이터는 일부 다를 수 있지만 계산항목과 로직은 같다. 예상 재고는 식 (1)과 식 (2)에 의해 산출된 순소요 량 값을 바탕으로 구할 수 있다.

    • 총소요량 = MPS 기준 생산계획량×하위품목 단위량

    • 순소요량 = 총소요량-이월재고-입고(생산)예정량

    상위 품목을 바탕으로 계산되는 MRP의 계산순서는 다음 과 같다.

    • ∙Step 1 : 생산계획수량에 1개당 단위량을 곱하여 총소 요량 계산한다.

    • ∙Step 2 : 품목별 총소요량에서 기초재고와 동일시점에 입고(예정)량을 차감하여 현시점의 순소요량을 계산한다.

    • ∙Step 3 : 현시점의 순소요량(음수허용)에 다음 날짜의 총소요량을 차감하고 동일시점의 입고(예정)량을 더하 여 다음 시점의 순소요량을 계산한다.

    • ∙Step 4 : 설정된 기간까지 날짜별 순소요량을 Step3의 계산로직으로 계산한다.

    • ∙Step 5 : 로트사이즈, 리드타임을 적용하여 발주(생산) 계획을 계산한다.

    • ∙Step 6 : 일자별 순소요량의 음수재고 또는 기준치 이 상의 수량이 감지될 경우 생산계획 또는 입고(생산)계 획을 조정한다.

    • ∙Step 7 : 수주변경(추가), 계획변경 등 생산계획시스템 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 발생시 Step6을 반복 수행 한다.

    4. 적용사례연구

    4.1 사례기업 현황

    본 연구의 사례기업은 화장품 연구개발 및 제조생산을 하는 화장품 OEM/ODM 전문기업이다. 국내외의 많은 기업들과 거래를 하여 다양한 유통채널을 접하면서 납기 및 재고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월간 수주 품목수 대 비 신제품의 비율도 월평균 30% 이상으로 계획 수립시 새로운 정보를 반영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계획 변동이 많다.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 ∙잦은 생산계획변경으로 제품의 납기지연

    • ∙과잉재고 발생으로 인한 재고증가

    • ∙자원운영의 비효율성 및 원가상승

    본 연구에서는 국내 OEM/ODM 화장품 제조기업의 짧은 리드타임과 긴급생산이 많은 특성을 고려하여 외부변동 사항에 즉각 대응이 가능하고 내부자원의 효율화를 높일 수 있는 생산운영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례기업의 생산운영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한 분산형 MRP시스템을 개발 및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한다.

    4.2 분산형 MRP기반의 생산관리 체계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분산형 MRP 시스템은 <Figure 4>와 같이 ERP 서버의 데이터를 MSsql, Visual Basic 등 을 이용하여 엑셀과 연계하여 구축하였다. 분산형 MRP 시스템의 적용을 위해 생산계획 모듈 1개, MRP 모듈 3개 로 총 4개의 모듈을 개발하여 ERP 시스템과 연계하였다.

    최종 생산계획은 납기회신과 작업지시를 위한 데이터 로 동시에 사용이 된다. 따라서 RCCP(rough cut capacity planning)와 CRP(capacity requirements plan)의 개념을 적 용하여 최초 생산계획 입력단계부터 실제 실현가능성을 전제로 계획을 수립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Figure 5>와 같이 ERP 시스템에서 기준정보, 재고정보, 생산실적, 수 주정보, 구매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엑셀과 연결하여 ERP 와 상시 동기화 되도록 구성하였다.

    엑셀에서는 일자별, 설비별 부하정도를 분석하여 실제 실현 가능한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반 복하게 된다. 또한 일일 생산계획대비 실적현황을 파악 하여 생산이 지연되거나 계획보다 당겨질 경우 자원운 영, 외주계획 등을 검토하여 생산계획을 조정한다. 이렇 게 엑셀에서 조정한 생산계획 데이터는 ERP시스템에 저 장되어 납기회신, MRP, 작업지시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 된다. 실제 생산계획 수립을 위한 화면은 <Figure 6>과 같이 개발 및 적용되었다.

    생산계획 수립을 위한 순서는 다음과 같다.

    • ∙Step 1 : 수주정보를 조회한다. 기본적인 수주정보와 현 재 진행현황이 표시되어 생산, 출고, 잔량이 표시된다.

    • ∙Step 2 : 수주정보를 조회하여 품목을 선택하면 해당품 목의 Capacity 정보가 조회되어 작업장, 라인, 인원, 생 산성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 ∙Step 3 : 해당 제품의 하위 구성 반제품(M1)이 표시된다. 경우에 따라서 세트 제품인 경우 다수의 반제품(M1)이 표시되며, 품목을 선택할 경우 Step 2에 해당되는 반제 품에 대한 Capacity 정보가 조회되어 표시된다.

    • ∙Step 4 : Step 1에서 제품(P1), Step 3에서 반제품(M1) 등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품목의 하위 구성품에 해 당되는 자재(B1, B2)와 반제품(M2)의 소요량, 재고량, 과부족 등의 가용 재고현황을 조회한다.

    • ∙Step 5 : 위 과정을 거친 후에 계획수량, 계획적용일자 등을 입력하면 해당 날짜, 해당라인에 부하율이 계산 되어 표시된다. 적용라인의 부하시간과 적용날짜의 공 수 등을 감안하여 수량 또는 일자를 적용하게 된다.

    • ∙Step 6 : 생산계획에 적용해야 할 품목을 모두 반영 후 에는 전체 계획을 조회하여 다시 한 번 부하율, 인원, 재고 등을 점검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 조정한다. 이후 작업지시 및 생산이 진행되며 계획보다 생산 진행이 빠르거나 지연되는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계획대비 실 적현황을 일일 체크하여 납기지연 방지를 위한 조치를 한다. 위 단계를 거쳐 각 모듈별로 MRP를 수행하게 되며 주간단위로 생산계획을 확정하게 된다.

    MRP 모듈은 <Figure 7>과 같이 반제품(M2), 자재(B1, B2), 원료(B3) 3개의 모듈로 구분된다. 불확실성에 대한 정보 및 진행결과에 따른 소요계획을 언제든지 시뮬레이 션하여 조정할 수 있도록 간소화하였다. 또한 MRP 수행 을 위해서 ERP 시스템에서 기준정보, 재고정보, 계획정 보, 구매정보 등을 엑셀과 실시간으로 연계한다.

    반제품 MRP(M2)는 <Figure 8>과 같이 최종 생산계획 을 기초로 하여 소요계획을 계산하는 전용모듈이다. 순소 요량에 음수는 부족량을 의미하며 이후 순소요량을 바탕 으로 반제품의 제조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최종 생산계획 을 위한 하위계획으로써 선행되기 때문에 최종 생산계획 과 충분한 동기화가 되어야 한다. 또한 반제품은 단위가 Kg으로 단위환산을 위한 기준정보가 중요하다. MRP 수 행을 위해서는 먼저 시작일자, 종료일자, 기준일자를 선 택해야 한다. 기준일자는 기초재고와 처음 계산이 되는 날짜로 현재일자가 기본적으로 적용된다. 시작일자는 현 재 일자에서 1주일이전, 종료일자는 현재일자에서 4주 이 후 시점까지를 기본으로 한다.

    구매품 MRP 수행을 위한 기본설정은 반제품 MRP와 같으며 <Figure 9>와 같이 조달 방식이나 고객사를 입력 하여 수행할 수 있다. 자재는 제품에 종속되어 독립적인 품목이 많으므로 제품에 종속된 자재 구성품은 세트로 관 리될 수 있도록 정렬되어 표시된다. 입고 스케줄 및 재고 관리는 일단위 순소요량을 바탕으로 과잉 또는 부족량을 파악하여 조정된다. 이때 일정기간의 순소요량을 병합 또 는 분할하여 발주하거나, 기존 입고예정량에 대해 일정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품목별 세부 내역으로 장기적인 수 요예측을 하여 필요할 경우 선 확보를 위한 조치를 한다.

    4.3 적용효과

    본 연구에서 제안된 분산형 MRP 시스템을 사례기업의 생산계획시스템에 적용하였다. 분산형 MRP 시스템의 도입 을 통한 기능적 개선 효과는 다음과 같다(<Table 4> 참조).

    • ∙계획수립 관점에서 납기와 재고수준, 생산용량을 동시 에 고려함으로써 생산계획의 신뢰성이 높다. 이월된 작업과 추가 작업을 조합한 일일 생산계획 확정이 가 능하여 계획 변동이 일평균 20% 감소하였다.

    • ∙MRP 수행에 필요한 시스템 리소스를 분산시킴으로써 계산시간이 단축되었다. 기존 통합처리 소요 시간이 4~5시간이었던 반면, 제안된 분산처리 시간은 30분 미 만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MRP 수행이 1일 3회 이 상 가능하며, 신속한 스케줄링으로 짧은 납기 리드타 임에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다.

    • ∙사례기업의 품목별 평균 납기관리 기준인 최소 60일 이상의 생산 및 납기계획 수립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생산능력의 부하상태를 사전에 모니터링 하여 생산자 원을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 ∙월말을 기준으로 예상재고를 계산하여 부족 또는 과잉 재고에 대하여 사전 조치할 수 있다. 계획기간 대비 일 자별 소요량에 따른 재고의 과부족 수량 파악이 가능 하여 세부적인 일정조정을 할 수 있고, 기간별 집계로 일정 기간의 수요 예측도 가능하다.

    분산형 MRP 시스템의 적용 효과를 주요 핵심성과지표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를 기준으로 정리하면 <Table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해당 핵심성과 지표는 다음 수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JKISE-43-4-133_EQ3.gif
    (3)

    JKISE-43-4-133_EQ4.gif
    (4)

    JKISE-43-4-133_EQ5.gif
    (5)

    납기대응율은 평균 15.6%P 향상되었고, 납기회신일도 기존 3일 이상에서 1일 이내로 최소 2일 이상 단축되었다. 납기의 변경이나 긴급대응에 대해 요구일로부터 1~2일 이내 즉시 대응함으로써 신속한 조율이 가능하다.

    계획달성율은 계획기간의 가시성 확보와 재고의 안정 적인 공급으로 19.3%P 향상되었다. 생산 실행을 위한 생산 능력과 재고의 동기화로 생산을 위한 자원의 공급이 안 정화되면서 대기로 인한 손실이 감소된 것으로 판단된다.

    재고회전일은 원료(raw material), 반제품(parts), 자재 (material)로 구분하였다. 먼저 원료는 재고회전일이 4일 단축되었고 자재는 9일로 크게 단축되었다. 자재는 완제 품에 직접 종속되어 품목 고유성의 특성에 따라 세트로 관리되어 크게 단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생산 공정에 해 당되는 반제품도 재고회전일이 10일로 크게 단축되었다. 반제품은 최종 생산계획의 신뢰성이 높아지고 계획변동 에 빠른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분산형 MRP 시스템은 OEM/ODM 제조기 업의 환경에서 생산효율화를 위한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5. 결 론

    전통적인 생산관리 시스템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많 은 한계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 하고자 많은 기업들이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연구와 도입 을 반복하고 있지만 갈수록 다변화는 현실에서 일반적인 표준화 시스템을 만들고 적용하기는 쉽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미래에 경제성장의 주력 업종으로 평가받으면 서 생산운영 시스템의 연구가 타업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화장품 OEM/ODM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분산형 MRP 시스템을 제안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완제품에 종속된 구성품의 특성을 분석하여 반제품, 자재, 원료 등 크게 3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즉 MRP 모듈을 3개로 분산하여 운영하는 개선 프로세스를 수립하였으며, MPS, 반제품 MRP, 자재 MRP, 원료 MRP, 4개의 모듈로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세 부분으로 구분된 각 MRP의 수행 을 위한 기준정보와 입력정보를 분류하고 프로세스를 정의 하였다. 또한 VBA 기반의 프로토타입 모듈을 개발하였으 며, 데이터 전송의 간극을 최소화하기 위해 MSsql을 이용하 여 ERP와 연계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끝으로 제안된 분산형 MRP 시스템을 사례기업에 적용함으로써 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내·외부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 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장기적으로 공급사슬관 리 측면에서의 비용절감과 경쟁력 강화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분산형 MRP 시스템의 적용이 화장 품 OEM/ODM의 생산 환경 외에 다른 업종 및 종류에서도 효과가 있는지는 검증을 못하였다. 또한 ERP와 엑셀을 연 결하는 이원화 시스템으로 안정성이나 보완관리에 취약한 부분이 있다. 향후에는 엑셀로 개발된 모듈을 ERP와 같은 시스템으로 통합하고 일반화하여 범용적인 적용이 가능하 도록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JKISE-43-4-133_F1.gif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MRP : Basic Process Perspective

    JKISE-43-4-133_F2.gif

    Distributed MRP System Process

    JKISE-43-4-133_F3.gif

    Planning Window of Distributed MRP System

    JKISE-43-4-133_F4.gif

    System Framework of MRP System Connected with ERP Via Excel Spreadsheets

    JKISE-43-4-133_F5.gif

    Collaboration Flow with ERP and Excel Spreadsheets

    JKISE-43-4-133_F6.gif

    User Interface for Production Planning

    JKISE-43-4-133_F7.gif

    Production Planning Process

    JKISE-43-4-133_F8.gif

    User Interface for Half-Finished Products MRP(M2)

    JKISE-43-4-133_F9.gif

    User Interface for Material MRP(B1, B2, B3)

    Table

    Sources of Uncertainty in MRP Systems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MRP : Planning Perspective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MRP : Inventory Management Perspective

    Functional Changes in MRP System of the Case Company

    Effects of Introducing a Distributed MRP System

    Reference

    1. Chang, B., Multi-product, multi-site production and transportation scheduling problem,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1993, pp. 36-45.
    2. Jung, B., So, Y., Huh, E., Lee, H., Cho, Y., and Kim, J., Development of a production information system for medium and small-sized enterprises,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1996, pp. 190-193.
    3. Kim, D., Lee, K.-H., Lee, J.-H., Lee, J.-M., Lee, K., and Kim, J.-H., Integration of ship outfitting BOM with lifecycle stages, Korean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2011, Vol. 16, No. 3, pp. 187-196.
    4. Kim, H. and Kim, P.,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for military maintenance depot,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14, Vol. 37, No. 4., pp. 24-34.
    5. Kim, M., A study of managing strategies for distribution channel in the cosmetic business: focusing on Chinese cosmetic market [master’s thesis], [Seoul, Korea] : Sungkyunkwan University, 2012.
    6. Kim, S., Lee, Y., and An, D., A control account planning using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in earned value project,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2, Vol, 3, No. 4, pp. 114-122.
    7. Koh, S. and Kim, J., Implementation of DBR system with Kanban in a production line of static demand, IE Interfaces, 2002, Vol. 15, No. 1, pp. 99-106.
    8. Kung, L. and Chern, C., Heuristic factory planning algorithm for advanced planning and scheduling, Computers and Operational Research, 2009, Vol. 36, No. 9, pp. 2513-253.
    9. Lee, H., Na, H., and Park, J., Study on performance enhancement of MRP explosion in ERP environment,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2005, pp. 40-40.
    10. Lee, J. and Shin, M., A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dispatching rule-based advanced planning and scheduling (APS) system,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15, Vol. 38, No. 3, pp. 78-86.
    11. Lee, K., Industry 4.0 and problems of MRP, Proceedings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Conference, 2017, pp. 2253-2270.
    12. Lee, Y., Shin, H., and Kim, M., CIM implementation through JIT and MRP integration, IE Interfaces, 1994, Vol. 7, No. 3, pp. 39-51.
    13. Orlicky, J., Materials requirements planning : the new way of life in production and inventory management, McGraw-Hill, 1975.
    14. Plossl, G.W. and Orlicky, J., Orlicky’s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McGraw-Hill, 1994.
    15. Seok, J.W. and Chung, B.M., An MRP system of small companies for order-based production, Proceedings of the KSMPE Conference, 2004, pp. 99-103.
    16. Suh, J., A case study on OOP component build-up for reliability of MRP system,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2004, Vol. 6, No. 3, pp. 211-235.
    17. Whybark, D.C. and Williams, J.G.,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under uncertainty, Decision Sciences, 1976, Vol. 7, No. 4, pp. 595-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