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005-0461(Print)
ISSN : 2287-7975(Online)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ol.43 No.4 pp.107-115
DOI : https://doi.org/10.11627/jkise.2020.43.4.107

Generalized Support Vector Quantile Regression

Dongju Lee*, Sujin Choi**
*Industrial & Systems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Metal Mould Design, Korea Polytechnic
Corresponding Author : djlee@kongju.ac.kr
24/10/2020 15/12/2020 16/12/2020

Abstract


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is devised to solve the regression problem by utilizing the excellent predictive power of Support Vector Machine. In particular, the -insensitive loss function, which is a loss function often used in SVR, is a function thatdoes not generate penalties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value and the estimated regression curve is within . In most studies, the -insensitive loss function is used symmetrically, and it is of interest to determine the value of . In SVQR (Support Vector Quantile Regression), the asymmetry of the width of and the slope of the penalty was controlled using the parameter p. However, the slope of the penalty is fixed according to the p value that determines the asymmetry of . In this study, a new ε-insensitive loss function with p1 and p2 parameters was proposed. A new asymmetric SVR called GSVQR (Generalized Support Vector Quantile Regression) based on the new ε-insensitive loss function can control the asymmetry of the width of and the slope of the penalty using the parameters p1 and p2 , respectively. Moreover, the figures show that the asymmetry of the width of and the slope of the penalty is controlled. Finally, through an experiment on a function, the accuracy of the existing symmetric Soft Margin, asymmetric SVQR, and asymmetric GSVQR was exam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were shown through figures.



일반화 서포트벡터 분위수회귀에 대한 연구

이 동주*, 최 수진**
*공주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한국폴리텍대학 스마트융합금형과

초록


    1. 서 론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명시 적으로 정의되지 않은 패턴을 컴퓨터로 분석하고, 분석을 통해 학습하며, 학습한 내용을 기반으로 결과를 예측하는 학문 분야이다[6]. 머신러닝 기법 중 SVM(Support Vector Machine)은 이론적 근거가 명확하므로, 결과 해석이 편리 하고, 정확도가 높고 데이터 수가 적더라도 적용할 수 있 다는 장점이 있다. SVR(Support vector regression)은 기존 의 SVM이 가진 뛰어난 예측 능력을 활용하여 회귀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되었다[8, 10].

    SVR에서는 예측값과 실제값의 차이인 예측오차에 대한 벌점을 계산하는 손실함수(loss function)가 큰 역할을 차지 한다. 손실함수로는 -둔감함수(-insensitive loss function), 가우스 손실함수(Gaussian loss function), Huber 손실함수 (Huber loss function)이 자주 사용된다.

    첫째, -둔감함수는 실제값과 추정회귀곡선과의 차이가 이내이면 벌점을 발생시키지 않고 그 이상이면 절대오 차로 벌점을 계산하는 함수이다. Anand et al.[2], Takeuchi and Furuhashi[9]는 손실함수로 -둔감함수를 사용하고, 매개 변수 p를 도입하여 오차항인 과 벌금 기울기의 비대칭성 을 고려하였다. Wu et al.[11]은 지능형 운송관리 시스템 (ITS)에서 여행시간 예측을 위해 대칭적인 -둔감함수를 이용한 SVR을 적용하였다.

    둘째, Hwang[5]은 비대칭적인 SVR에서 손실함수로 오 차 제곱을 사용하는 가우스 손실함수를 사용하고, 그에 따른 해법을 제시하였다. Anagha et al.[1]은 비대칭적인 SVR에서 가우스 손실함수를 적용하여 2개의 이차계획법 문제로 나누어 푸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Li et al.[7]은 가 우스 손실함수를 이용하여 도심의 교통흐름량을 예측하 였다. 하지만, 가우스 손실함수는 예측치와 멀어질수록 벌점이 가중되고 일정 범위 이내의 오차를 허용하는 -둔 감함수와 달리 모든 오차에 대해 벌점을 부여한다.

    셋째, Balasundaram and Prasad[3]는 Huber 손실함수를 사용하고 SVR문제를 2개의 작은 문제로 나누어 푸는 Huber SVR을 제시하였다. Huber 손실함수는 예측오차의 일정범 위는 제곱오차를 벌점으로 사용하고 그 범위를 벗어나면 절대오차를 벌점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이상치(outlier)에 민감하지 않은 것이 장점이다.

    손실함수에 대한 연구 이외에도 SVR에 대해서는 다양 한 연구들이 있다. Xu et al.[12]은 υ-twin SVR을 제안하였 다. 기존의 상한과 하한의 경계를 결정하는 이차계획법문 제를 상한과 하한의 경계를 각각 구하는 2개의 이차계획 법문제로 나누어 풀기에 문제의 크기가 작아져 계산시간 이 작게 드는 것이 장점이다. 또한, Huang et al.[4]은 분류 를 위해 비대칭적인 -둔감함수를 사용하는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제안하고 그에 따른 모형을 제시하였다.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둔감함수가 손실함수로 사용되 었으며 오차허용 값인 을 얼마로 할 지, 오차허용 값을 초과하는 양(ξ)에 대한 벌금을 얼마로 할지, ξ를 좌우 대칭으로 할지 비대칭으로 할지 등이 주된 관심사항이었다. 특히 Anand et al.[2]은 ξ를 비대칭으로 하는 -둔감함 수를 바탕으로 하는 SVQR(Support Vector Quantile Regression) 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의 비대칭을 결정하는 p값 에 따라 ξ에 대한 벌금이 정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GSVQR(Generalized Support Vector Quantile Regression)이라는 새로운 비대칭적 SVR을 제시하고, -둔감함수를 사용하여 p1p2라는 2개의 매개변수를 도 입하였다. 이 매개변수들을 이용하여 의 폭과 벌금 기 울기의 비대칭성을 각각 조절하였다.

    이를 좀 더 살펴보면, 기존의 Soft Margin에서 사용되 는 -둔감함수는 오차의 폭()과 벌금의 기울기가 모두 좌우대칭이다.

    SVQR에서 사용되는 -둔감함수는 매개변수 0 < p < 0.5 이면 오차의 폭은 우측이 두텁고 좌측이 얇으며, 벌금의 기울기는 좌측은 경사가 급하며 우측은 경사가 완만하다. 0.5 < p < 1이면 반대이다. p = 0.5이면 오차의 폭과 벌금 의 기울기가 모두 대칭이다.

    제안하는 GSVQR은 0.5 < p1 ≤ 1이면 오차의 폭이 우측 은 두텁고 좌측은 얇으며, 0 ≤ p1 < 0.5이면 반대이고, p1 = 0.5이면 좌우대칭이다. 또한, 0.5 < p2 < 1이면 좌측은 벌 금의 기울기가 완만하고, 우측은 경사가 급하다. 0 < p2 < 0.5이면 반대이고, p1 = 0.5이면 좌우대칭이다. 즉, p1을 통 해 오차의 폭의 비대칭성을 조절하고, p2를 통해 벌금기울 기의 비대칭성을 조절하므로 써 좀 더 다양한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지는 제 2장에서는 기존의 -둔감함수와 수학모형 을 소개하고, 제 3장에서는 제안하는 GSVQR의 손실함수와 수학모형을 소개하였다. 또한, p1p2의 매개변수가 의 폭과 벌금 기울기의 비대칭성을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그림 으로 보여주었다. 제 4장에서는 함수를 이용하여 기존의 방법과 GSVQR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p1p2의 매개변 수 값에 따라 어떤 특징들을 보여주는지 살펴보았다. 마 지막으로 제 5장에서는 결론과 미래의 연구과제에 대해 언급하였다.

    2. 기존의 -둔감함수와 수학모형

    이번 장에서는 기존의 -둔감함수와 수학모형인 Soft Margin과 Anand et al.[2]이 제안한 SVQR을 소개하고자 한다.

    2.1 Soft Margin

    -둔감함수는 실제값(yi )과 추정회귀곡선(f(x) )과의 오 차가 이내이면 벌점을 발생시키지 않는 함수이다. u = y - f(x)라 할 때 -둔감함수( L 1 ( u ) )(1)는 다음과 같다.

    L 1 ( u ) = ( 0 , u u , u > u , u <
    (1)

    이러한 손실함수는 SVR 문제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둔감함수를 바탕으로 한 Soft Margin의 수학모형 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P : Minimize 1 2 ω 2 + C i = 1 l ( ξ i + ξ i * ) subject to y i ω T ϕ ( x i ) b + ξ i ω T ϕ ( x i ) + b y i + ξ i * ξ i , ξ i * 0

    원문제(P)에서 ξ i , ξ i * 를 구하기 어려우므로 원문제를 라 그랑주 쌍대 문제(DL)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D L : M i n 1 2 i , j = 1 l ( α i α i * ) ( α j α j * ) κ ( x i , x j ) i = 1 l ( α i α i * ) y i + i = 1 l ( α i + α i * ) s.t . i = 1 l ( α i * α i ) = 0 0 α i , α i * C

    여기서 α는 수학모형 P의 제약식들의 라그랑지안 변수 이다. 선형추정이 불가능한 현재 공간의 분포를 선형추 정이 가능하도록 한 차원 높은 공간으로 변환하기 위해 x ϕ ( x ) 로 둔다. 이때 변환 함수끼리의 스칼라곱인 ϕ ( x i ) T ϕ ( x j ) : = k ( x i , x j ) 들을 모아놓은 집합을 커널(kernel) 이라고 한다.

    2.2 SVQR

    Anand et al.[2]이 제안한 Support Vector Quantile Regression( SVQR)에서 제안한 -둔감함수( L ε 2 ( u ) )는 (2)와 같다.

    L 2 ( u ) = ( 0 , p u ( 1 p ) p ( u ( 1 p ) ) , u > ( 1 p ) ( 1 p ) ( u + p ) , u < p )
    (2)

    그러므로 원문제(P1)은 다음과 같다.

    P 1 : Minimize 1 2 ω 2 + C i = 1 l ( ξ i + ξ i * ) subject to y i ω T ϕ ( x i ) b ( 1 p ) + 1 p ξ i * ω T ϕ ( x i ) + b y i p + 1 1 p ξ i ξ i , ξ i * 0

    이를 정리하여 라그랑주 쌍대 문제(DL2)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D L 2 : M i n 1 2 i , j = 1 l ( α i α i * ) ( α j α j * ) κ ( x i , x j ) i = 1 l ( α i α i * ) y i + i = 1 l ( ( 1 p ) α i + p α i * ) s.t . i = 1 l ( α i * α i ) = 0 0 α i C p 0 α i * C ( 1 p )

    3. 제안하는 General Support Vector Quantile Regression Model(GSQVR)

    제안하는 GSQVR에서의 -둔감함수( L 3 ( u ) )는 (3)과 같다.

    L 3 u = 0 , 1 p 1 u p 1 p 2 u p 1 , u > p 1 1 p 2 u + 1 p 1 , u < 1 p 1 )
    (3)

    한편 제안하는 손실함수 L 3 ( u ) 는 SVQR의 손실함수인 L 2 ( u ) 를 일반화한 것이다.

    Theorem 1. SVQR의 손실함수인 L 2 ( u ) 는 GSVQR의 손 실함수인 L 3 ( u ) 의 특수한 경우이다.

    증명) L 3 ( u ) 에서 p1 = (1 - p) , p2 = p로 두면 L 2 ( u ) 와 동 일하다.

    Soft Margin의 손실함수( L 1 ( u ) )는 의 폭이 좌우대칭이 며, 허용한계인 ± 0.5을 벗어나는 ξ i , ξ i * 의 값에 따른 벌금 (penalty)의 기울기는 항상 좌우대칭이다. 한편, SVQR의 손실함수( L 2 ( u ) )는 의 폭은 동일하지만, p를 이용하여 폭 의 좌우 비대칭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허용한계인 ± 0.5을 벗어나는 ξ i , ξ i * 의 값에 따른 벌금(penalty)의 기울 기는 p에 의해 비대칭 정도가 정해진다. 반면, GSVQR의 손실함수( L 2 ( u ) 의 폭은 동일하지만, p1을 이용하여 폭의 좌우 비대칭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허용한계인 ± 0.5을 벗어나는 ξ i , ξ i * 의 값에 따른 벌금(penalty)의 기울 기는 p2에 의해 비대칭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Figure 1>~<Figure 3>에서는 = 1이고 의 폭이 좌우대 칭인 경우의 오차인 u = y - f(x)에 따른 손실함수 L 1 ( u ) , L 2 ( u ) , L 3 ( u ) 의 값들을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다만, = 1 로 동일하게 하기 위해 L 1 ( u ) 은 좌측으로 -0.5, 우측으로 +0.5로 하였다. <Figure 1>에서는 L 2 ( u ) 에서 p = 0.5로 하 였고, L 3 ( u ) 에서 p1 = 0.5, p2 = 0.99로 하였다. 가는 검정색 선은 L 1 ( u ) , 약간 굵은 파란색 선은 L 2 ( u ) , 굵은 빨간색 선은 L 3 ( u ) 을 나타낸다. L 1 ( u ) L 2 ( u ) 의 폭이 좌우 대칭인데, 을 벗어나는 오차에 대한 기울기도 좌우대칭 이다. 다만, 기울기는 L 1 ( u ) L 2 ( u ) 보다 급하다. L 3 ( u ) 의 경우 의 폭이 좌우대칭이지만, 좌측의 기울기는 거의 0에 가까워 벌금이 거의 없으며 우측의 기울기는 L 1 ( u ) 와 거의 동일하다.

    <Figure 2>의 경우에는 L 1 ( u ) L 2 ( u ) 는 <Figure 1>과 동일하지만, L 3 ( u ) 는우측의기울기는 L 1 ( u ) 와거의동일하고, 우측의 기울기는 거의 0에 가까워 벌금이 거의 없다. <Figure 3>의 경우에는 L 3 ( u ) L 2 ( u ) 와 정확하게 일치한다.

    <Figure 4>~<Figure 6>은 L 2 ( u ) L 3 ( u ) 의 폭이 비대 칭이고 기울기도 비대칭인 경우이다. L 1 ( u ) 는 폭과 기울기 가 항상 대칭으로 조정이 불가능하다. <Figure 4>는 L 2 ( u ) 에 서 p = 0.1로 하였고, L 3 ( u ) 에서 p1 = 0.9, p2 = 0.9로 하였다. L 2 ( u ) 의 폭이 좌측은 0.1, 우측은 0.9로 우측으로 비대칭 이며, 기울기는 좌측은 급하고, 우측은 완만하다. L 2 ( u ) 는 폭과 기울기 모두 p에 의해 동시에 결정되며, 따로 조절할 수는 없다. 한편, L 3 ( u ) 의 폭의 비대칭성은 L 2 ( u ) 와 동일하지만(p1 = 0.9), 기울기는 <Figure 4>에서는 좌측은 완 만하고 우측이 급하며(p2 = 0.9, <Figure 5>에서는 좌측은 L 2 ( u ) 보다 더 급하나, 우측은 L 2 ( u ) 보다 더 완만하다(p2 = 0.05). <Figure 6>에서는 기울기가 좌우대칭이다(p2 = 0.5). 즉, L 3 ( u ) 값에는 p1으로 의폭의좌우대칭을조절할수있고, p2로 기울기의 좌우 비대칭 정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

    L 3 ( u ) 를 제약식으로 나타내기 위해 다시 정리하면

    p 2 ( u p 1 ) ξ i p 2 ( y i ω T ϕ ( x i ) b p 1 ) ξ i y i ω T ϕ ( x i ) b p 1 + 1 p 2 ξ i

    동일한 방법으로

    ( 1 p 2 ) ( u + ( 1 p 1 ) ) ξ i * ( 1 p 2 ) ( ω T ϕ ( x i ) + b y i ( 1 p 1 ) ) ξ i * ω T ϕ ( x i ) + b y i ( 1 p 1 ) + 1 1 p 2 ξ i *

    그러므로 수학모형은

    P 3 : Minimize 1 2 ω 2 + C i = 1 l ( ξ i + ξ i * ) subject to y i ω T ϕ ( x i ) b p 1 + 1 p 2 ξ i ω T ϕ ( x i ) + b y i ( 1 p 1 ) ξ i , ξ i * 0

    P3를 라그랑주 승수법을 이용하여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L : 1 2 ω 2 + C i = 1 l ( ξ i + ξ i * ) i = 1 l ( α i ( ω T ϕ ( x i ) + b y i + p 1 + 1 p 2 ξ i ) ) i = 1 l ( α i * ( y i ω T ϕ ( x i ) b + ( 1 p 1 ) + 1 1 p 2 ξ i * ) ) i = 1 l ( η i ξ i + η i * ξ i * )

    α i , α i * , η i , η i * 는 라그랑주 승수(Lagrangian multiplier)로 비음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최적해가 되기 위해서는 1차 필요조건을 만족해야 한 다. 즉, L을 편미분하여 0으로 두면 다음과 같다.

    L ω = ω i = 1 n ( α α i * ) ϕ ( x i ) = 0
    (4)

    L b = i = 1 n ( α i α i * ) = 0
    (5)

    L ξ i = C 1 p 2 α i η i = 0
    (6)

    L ξ i * = C 1 1 p 2 α i * η i * = 0
    (7)

    1차 필요조건을 L에 대입하여 간단히 하고자 한다. 먼 저 식 L을 정리하면

    1 2 ω 2 + C i = 1 n ( ξ i + ξ i * ) i = 1 n ( α i p 1 + α i * ( 1 p 1 ) + α i 1 p 2 ξ i + α i * 1 1 p 2 ξ i * ) + i = 1 n ( α i α i * ) y i i = 1 n ω T ϕ ( x i ) ( α i α i * ) i = 1 l ( α i α i * ) b i = 1 n ( η i ξ i + η i * ξ i * )

    식 (3)에서 i = 1 l ( α i * α i ) = 0 이므로 i = 1 l ( α i α i * ) b = 0 이다. 또한, κ ( x i , x j ) = ϕ ( x i ) T ϕ ( x i ) 로 두고, 식 (4)에 의해 ω = i = 1 n ( α i α i * ) ϕ ( x i ) 이므로 이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 1 2 i , j = 1 n ( α i α i * ) κ ( x i , x j ) ( α i α i * ) + C i = 1 n ( ξ i + ξ i * ) i = 1 n ( α i p 1 + α i * ( 1 p 1 ) + α i 1 p 2 ξ i + α i * 1 1 p 2 ξ i * ) + i = 1 n ( α i α i * ) y i i , j = 1 n ( α i α i * ) κ ( x i , x j ) ( α i α i * ) i = 1 n ( η i ξ i + η i * ξ i * ) = 1 2 i , j = 1 n ( α i α i * ) κ ( x i , x j ) ( α i α i * ) + C i = 1 n ( ξ i + ξ i * ) i = 1 n ( α i p 1 + α i * ( 1 p 1 ) + α i 1 p 2 ξ i + α i * 1 1 p 2 ξ i * ) + i = 1 n ( α i α i * ) y i i = 1 n ( η i ξ i + η i * ξ i * ) = 1 2 i , j = 1 n ( α i α i * ) κ ( x i , x j ) ( α i α i * ) i = 1 n ( α i p 1 + α i * ( 1 p 1 ) ) + i = 1 n ( α i α i * ) y i i = 1 n ( 1 p 2 α i ξ i + 1 1 p 2 α i * ξ i * ) + C i = 1 n ( ξ i + ξ i * ) i = 1 n ( η i ξ i + η i * ξ i * )

    식 (6)과 식 (7)에 의해 C = 1 p 2 α i + η i , C = 1 1 p 2 α i * + η i * 이다.

    여기서

    i = 1 n ( 1 p 2 α i ξ i + 1 1 p 2 α i * ξ i * ) + C i = 1 n ( ξ i + ξ i * ) i = 1 n ( η i ξ i + η i * ξ i * ) = 0

    이다. 왜냐하면,

    i = 1 n ( 1 p 2 α i ξ i + 1 1 p 2 α i * ξ i * ) + ( 1 p 2 α i + η i ) i = 1 n ( ξ i + ξ i * ) i = 1 n ( η i ξ i + η i * ξ i * ) = i = 1 n ( 1 p 2 α i ξ i 1 1 p 2 α i * ξ i * + η i ξ i + η i * ξ i * ) + 1 p 2 α i ξ i + 1 p 2 α i ξ i * η i ξ i η i * ξ i * ) = i = 1 n ( 1 p 2 α i ξ i 1 1 p 2 α i * ξ i * + η i ξ i * + 1 p 2 α i ξ i + 1 p 2 α i ξ i * η i * ξ i * ) = i = 1 n ( 1 1 p 2 α i * ξ i * + η i ξ i * + 1 p 2 α i ξ i * η i * ξ i * ) = i = 1 n ( ( 1 p 2 α i + η i ) ξ i * - ( 1 1 p 2 α i * + η i ) ξ i * ) = i = 1 n ( C ξ i * C ξ i * ) = 0

    그러므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2 i , j = 1 n ( α i α i * ) κ ( x i , x j ) ( α i α i * ) i = 1 n ( α i p 1 + α i * ( 1 p 1 ) ) + i = 1 n ( α i α i * ) y i

    η i , η i * 0 이므로 식 (6)과 식 (7)에 의해

    C 1 e p 2 α i 0 = > α i C 2 p C 1 1 p 2 α i * 0 = > α i * C 2 ( 1 p )

    목적식을 Max에서 Min문제로 변환하여 라그랑주 쌍대 문제(DL3)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D L 3 : min α i , α i * 1 2 i , j = 1 n ( α i α i * ) κ ( x i , x j ) ( α i α i * ) + i = 1 n ( α i p 1 + α i * ( 1 p 1 ) ) i = 1 n ( α i α i * ) y i s.t . i = 1 n ( α i α i * ) = 0 0 α i p 2 C , i = 1 , n 0 α i * ( 1 p 2 ) C , i = 1 , n

    DL3을 풀어 α i , α i * 의 최적해를 구하면 ω = i = 1 n ( α i α i * ) ϕ ( x i ) 이므로 이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ω T ϕ ( x i ) = i = 1 n ( α i α i * ) κ ( x i , x j )

    편의항 b를 구하기 위해 0 < αi < p2C , 인 i를 찾는다. 이 데이터 i는 상한의 경계(support vector)에 있는 데이터 이므로 식 (9)를 만족한다.

    j = 1 n ( α i α i * ) κ ( x j , x i ) + b + = y i
    (9)

    이다. 또한, 0 < α i * < ( 1 p 2 ) C i를 찾는다. 이 데이터 i는 하한의 경계(support vector)에 있는 데이터이므로 식 (10)을 만족한다.

    j = 1 n ( α i α i * ) κ ( x j , x i ) + b = y i
    (10)

    식 (9)과 식 (10)을 이용하여 b를 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tube의 중심을 지나 는 식은 (11)과 같다.

    f ( x ) = j = 1 n ( α i α i * ) κ ( x j , x i ) + b
    (11)

    4. 실 험

    실험에서 고려하는 커널함수(kernel function)는 R.B.F. (radial basis function) 커널로 함수는 exp( γ | x y | 2 )이며 매개변수는 γ이다. 실험을 위해 사용된 함수는 아래와 같다.

    f ( x ) = 1 + s i n ( x ) + 0.1 × [ χ 2 ( d f = 4 ) 4 ] x [ 0 , π ]

    이때 한쪽으로 편향된 무작위성을 고려하기 위해 왼 쪽으로 치우친 분포인 카이제곱(χ2 분포를 사용하였다. 자유도가 4인 경우 평균이 4이므로 평균을 0으로 하기 위해 4를 빼주었다. 이때 총 400개의 데이터를 생성하였 다. 또한, 사용되는 매개변수인 γ, C의 값을 최적화하기 위해 γ = 2-3, 2-2, 2-1, 20, 21, 22, 23, C = 1, 10, 100, 1000, 10000의 값들 중에서 RMSE를 최소화하는 값을 선정하 였다. 정확도를 위해 사용되는 RMSE(Root Mean Squared Error), MAE(Mean Absolute Error), MAPE(Mean Absolute Percent Error)는 식 (12), 식 (13), 식 (14)와 같이 정의 된다.

    RMSE = i = 1 n ( y i y ^ i ) 2 n
    (12)

    MAE = i = 1 n | y i y ^ i | n
    (13)

    MAPE = 100 × i = 1 n | y i y ^ i y i | n
    (14)

    여기서 n은 데이터의 개수, yii번째 데이터의 실제값, y i ^ i번째 데이터의 예측값이다.

    먼저 <Table 1>에서는 Soft Margin에 대한 결과이며 그 에 대한 추정식은 <Figure 7>과 같다.

    <Table 2>는 SVQR의 정확도이다. p = 0.5일 때는 GSVQR 의 p1 = 0.5, p2 = 0.5일 때와 동일한데, p1에 의해 의 폭이 좌우대칭이고 p2에 의해 벌금의 기울기도 좌우대칭이다. SVQR의 p = 0.1일 때는GSVQR의 p1 = 0.9, p2 = 0.1와 동 일한데, 의 폭은 좌측으로는 0.1 우측으로는 0.9이며, 좌 측으로는 벌금의 기울기가 급하고 우측으로는 기울기가 완만하다. p = 0.9일 때는 p = 0.1일 때와 반대이다. p = 0.1 일 때 가장 좋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Figure 8>에 이들에 대한 추정식이 주어져 있다. p = 0.9일 때 추정식이 데이터의 위쪽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p = 0.1일 때 추정식이 비교적 아래쪽에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C = 1일 때 곡선이 평탄하며, C = 10,000일 때 곡선이 데이터를 따라 굴곡이 심한 것을 알 수 있다.

    <Table 3>은 GSVQR의 정확도를 보여주고 있다. p1의 폭의 좌우의 비대칭성을 나타내고, p2는 벌금의 기 울기의 좌우비대칭성을 나타낸다. p1 = 0.1, p2 = 0.1일 때 는 추정식이 비교적 데이터의 아래쪽에 p1 = 0.9, p2 = 0.9 일 때는 위쪽에 자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C값이 작을 때 곡선이 평탄하며, C값이 클 때 곡선이 데이터를 따라 굴곡이 심한 것을 알 수 있다.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비대칭적SVR에 대해 다루었는데, 기존 의 방법인 SVQR은 매개변수 p로 오차의 폭과 벌금의 기울기의 좌우비대칭성을 모두 조절하다보니 한계가 존 재하였다. 즉, 오차의 폭이 좌측이 두터우면서 벌금의 기 울기가 좌측이 급하거나, 오차의 폭이 우측이 두터우면 서 벌금의 기울기가 우측이 급한 경우 등을 나타낼 수 없다. 또한, 오차의 폭과 벌금의 기울기가 모두 p값에 따 라 연동되어 변하기에 다양한 값들을 고려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GSVQR이라는 새로운 비대칭적 SVR을 제시하고, p1p2의 매개변수로 오차의폭과 벌금의 기울 기의 비대칭성을 각각 조절하였다. GSVQR은 SVQR을 일반화한 것으로 비대칭성이 필요한 문제의 경우 p1p2 의 다양한 조합을 적용해 볼 수 있다. 미래 연구과제로는 GSVQR의 적용이 필요한 문제들을 발굴하여 GSVQR을 통해 새로운 특징들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Figure

    JKISE-43-4-107_F1.gif

    = 1, p = 0.5 for L∈2(u), p1 = 0.5, p2 = 0.99 for L∈3(u)

    JKISE-43-4-107_F2.gif

    = 1, p = 0.5 for L∈2(u), p1 = 0.5, p2 = 0.01 for L∈3(u)

    JKISE-43-4-107_F3.gif

    = 1, p = 0.5 for L∈2(u), p1 = 0.5, p2 = 0.5 for L∈3(u)

    JKISE-43-4-107_F4.gif

    = 1, p = 0. 1 for L∈2(u), p1 = 0.9, p2 = 0.9 for L∈3(u)

    JKISE-43-4-107_F5.gif

    = 1, p = 0.1 for L∈2(u), p1 = 0.9, p2 = 0.05 for L∈3(u)

    JKISE-43-4-107_F6.gif

    = 1, p = 0.1 for L∈2(u), p1 = 0.9, p2 = 0.5 for L∈3(u)

    JKISE-43-4-107_F7.gif

    Predicted Function of Soft Margin for γ = 22, C = 100

    JKISE-43-4-107_F8.gif

    Predicted Function of SVQR

    JKISE-43-4-107_F9.gif

    Predicted Function for GVQR

    Table

    Accuracy Results for Soft Margin

    Accuracy Results of SVQR

    Accuracy Results of GSVQR

    Reference

    1. Anagha P., Balasundaram, S., and Meena, Y., On robust twin support vector regression in primal using squared pinball loss, Journal of Intelligent and Fuzzy Systems, 2018, Vol. 35, No. 5, pp. 5231-5239.
    2. Anand, P., Rastogi, R., and Chandra, S., A new asymmetric e-insensitive pinball loss function based support vector quantile regression model, Applied Soft Computing Journal, 2020, Vol. 94, pp. 1-14.
    3. Balasundaram, S. and Prasad, S.C., On pairing Huber support vector regression, Applied Soft Computing Journal, 2020, Vol. 97, Part B, pp. 1-16.
    4. Huang, X., Shi, L., and Suykens, J., Support Vector Machine Classifier with Pinball Loss,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2014, Vol. 36, No. 5, pp. 984-997.
    5. Hwang, C.H., Asymmetric least squares regression estimation using weighted least squares support vector machin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11, Vol. 22, No. 5, pp. 999-1005.
    6. Lee, J.Y. and Kim, J.G., Extracting Specific Information in Web Pages Using Machine Learning,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18, Vol. 41, No. 4, pp. 189-195.
    7. Li, M.W., Hong, W.C., and Kang, H.G., Urban traffic flow forecasting using Gauss-SVR with cat mapping, cloud model and PSO hybrid algorithm, Neurocomputing, 2013, Vol. 99, pp. 230-240.
    8. Smola, A.J. and Scholkopf, B., A tutorial on support vector regression, Statistics and Computing, 2004, Vol. 14, pp. 199-222.
    9. Takeuchi, I., Sears, Q.V., and Smola, A.J., Nonparametric quantile estim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2006, Vol. 7, No. 45, pp. 1231-1264.
    10. Vapnik, V., Statistical Learning Theory, New York, NY : Wiley, 1998.
    11. Wu, C.H., Ho, J.M., and Lee, D.T., Travel-Time Prediction with Support Vector Regression, IEEE Transactions 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2004, Vol. 5, No. 4, pp. 276-281.
    12. Xu, Y., Li, X., Pan, X., and Yang, Z., Asymmetric υ-twin support vector regression, Neural Comput. and Applic., 2018, Vol. 30, pp. 3799-3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