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005-0461(Print)
ISSN : 2287-7975(Online)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ol.43 No.3 pp.179-190
DOI : https://doi.org/10.11627/jkise.2020.43.3.179

Barriers to Success of Project Management

A-yeon Lee*, Kyung-mi Moon**, Seung-chul Kim**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Hany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sckim888@hanyang.ac.kr
24/08/2020 21/09/2020 22/09/2020

Abstract


As the business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with globalization and complexity of information flows, the uncertainty is also very increased for project environment.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find out the critical factors for project success, there still exist different views to define project success. Furthermore, implementing success formula for one project does not necessarily guarantee a success for another project since there are other elements that impede the success of project. In this regards, it is imperative to examine what are the barriers to project succes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barriers that impede the success of project. Past literature was thoroughly reviewed to collect and develop a preliminary list of elements that affected project performance negatively. Experts were interviewed to refine the list and the final list of the measurement items were developed.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ith the final list of measurement items,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ractitioners with project experience. After the surve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final list to extract the component dimensions which in turn formed the group of project barrier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rovided ten factors, which are difficulty of process management, failure of project feasibility analysis, cost overruns and lack of cost benefits, unclarity project plan, strategic consistency error, stakeholder conflict, inaccuracy of requirement definition, disturbance of communication, technical environment change, negative attitude of top management.



프로젝트 관리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요인

이 아연*, 문 경미**, 김 승철**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양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DEAP-B158906-01

    1. 서 론

    급변하는 산업 기술에 따라 프로젝트를 둘러싼 환경 또한 불확실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불확실성으로 인한 위험요소는 프로젝트 관리자에게 프로젝트 성공에 대한 위협과 기회를 판단할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며,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프 로젝트의 규모에 관계없이 위험요소를 효과적으로 관리 할 수 있어야 한다[12].

    프로젝트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기업 및 조직은 프로젝트 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복 잡화․대형화 되어가는 프로젝트의 특성상 프로젝트 규 모에 따른 성공률의 차이가 극심하며 The Standish Group Chaos Report에 따르면 2015년 기준 프로젝트의 성공률 은 29% 수준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프로 젝트의 성공률이 고무적이지 않고, 여전히 많은 프로젝트 들이 실패를 경험하고 있어[7] 프로젝트 관리는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

    프로젝트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으로 각 분야에서 핵심성공요인(Critical Success Factors)을 찾기 위한 연구들 이 오랜 기간 진행되어 왔으나, 프로젝트의 규모, 프로젝트 의 특성, 프로젝트의 유형에 따라 성공을 바라보는 기준이 상이하여 서로 다른 수준의 프로젝트관리 성숙도를 지닌 조직에서 각 수준에 적합한 리스크관리 방법을 각각 적용할 수 있는 접근 방법을 제시[19]하는 등의 노력도 이어져 오고 있지만, 프로젝트의 성공이 반드시 보장될 수는 없다.

    프로젝트의 실패를 야기하는 수많은 리스크 요인들을 사전에 식별해 내어야 하고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동안 이 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15]. 이에 효과적인 프 로젝트의 수행을 저해하는 요인들을 찾아 사전에 제거하거 나 보다 효율적으로 통제․관리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성공 을 확보하는 보다 더 직접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젝트 수행의 성공요인뿐 아니라 프로젝트의 수행을 저 해하는 장애요인들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 문헌들을 통해 밝혀진 프로젝트의 성 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장애요인에 대해 산업 분야 등에 한정하지 않고 총망라하여 이를 바탕으로 장애요인 이 속성에 따라 분류되는 구성차원을 밝혀보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프로젝트 성공

    프로젝트 성공에 관련한 연구는 오랜 기간 동안 다양 한 차원에 기반하여 프로젝트의 성공을 분석하는 것을 목 표로 해왔다. 프로젝트 성공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은 일 반적으로 철의 삼각형이라 불리는 시간, 비용 및 품질 목 표[3]를 충족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각기 다른 프로젝트를 동일한 관점으로 절대적인 기준을 통해 측정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프로젝트의 규모, 성격, 및 복잡성 등의 차이로 인해 프로젝트 성공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은 프로젝트마다 다르며[24], 프로젝트 성공에 대한 일반적인 기준은 합의되기 어렵기 때문에[32] 프로젝트 성공의 새로운 차원에 대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 다. Muller and Jugdev[23]는 ‘프로젝트 성공이란 다차원 적이고 네트워크적인 구조’라고 하였으며, 성공에 대한 인식과 성공 차원의 상대적 중요성이 개인 성격, 국적, 프 로젝트 및 계약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고 주장하였다.

    2.2 프로젝트 장애요인

    장애요인의 개념은 Haddon[9]에 의해 제안되었고, 후에 장애요인 분석에서 Trost and Nertney[31]의 Management Oversight and Risk Tree(MORT) 시스템과 통합되었다. 장 애요인은 관련 문헌들에서 일반적으로 장벽(Barrier) 혹은 장애(Obstacle) 등의 용어로 사용되며 원활한 수행 등을 방 해하는 요소의 의미로 사용된다.

    효과적인 프로젝트의 수행을 방해하고, 사전에 제거되 거나 적절한 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프로젝트의 성 과 측면에 분명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식별․대응 등의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리스크’와 유사한 개념 으로 볼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리스크와 장애요인에 대해 각각 다른 개념으로 정의하여 용어의 구분을 두었다.

    Lauridsen et al.[17]는 장애요인보다 하위개념으로 위해 (hazard)라는 개념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위해요소의 식별 을 통해 장애요인을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장애요 인에 대한 관리를 리스크 관리의 하위영역으로 보았으며 리스크와 구분되는 장애요인의 특징으로 보다 쉬운 식별, 실시간 데이터의 성격을 띠는 것 등을 제시하였다.

    전 세계 프로젝트는 구현에 있어 많은 장애요인을 경 험했고 해결책으로써 프로젝트 모니터링 및 평가를 프로 젝트 성과 향상의 핵심 요소로 삼았으며, 이러한 장애요 인들은 조치 방법과 관행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6].

    규모가 크고 복잡한 프로젝트의 경우 개발 및 구현에 영향을 미치는 서로 다른 요소들이 직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경제, 기술, 규제, 사회, 법률 및 환경 등에 의 해 각각 다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여러 문헌에서 언급 된 주요 장애요인의 다양성은 여러 유형의 장애요인에 대해 조사할 필요성을 보여주며, 대형 프로젝트일 경우 장애요인에 대해 더욱 광범위한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하 고 있다[27].

    그러나 철의 삼각형으로 대표되는 시간, 비용 및 품질 목표에 의한 프로젝트 성공의 측정은 환경적, 사회적, 경 제적 영향을 함께 보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평가가 없다 는 지적을 받고 있기도 하다[30].

    2.2.1 IT 프로젝트의 장애요인

    IT 프로젝트 분야에서는 주요 장애요인의 파악을 통해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를 보다 거시적으로 바라볼 수 있고, 보다 현실적으로 현안을 확인할 수 있는 점검 포인 트로서의 역할을 통해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 써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구현을 달성할 수 있다고 제언 하고 있다. 또한 2008년 세계 금융 위기로 인해 보다 더 큰 통제 체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진 금융 서비스 산업에 서 IT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은 IT 거버넌스가 예측 가능 한 프로젝트 관리 성공률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요한 통제 메커니즘으로 간주되었는데, 프로젝트 관리 성공에 기여하기 위해 구현된 IT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적용을 가로막는 장애요인에 대해 정리한 바 있다[29].

    2.2.2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의 장애요인

    프로젝트 관리에서 높은 수준의 위험요소들은 프로젝 트 성공에 큰 걸림돌로 여겨진다[33]. 프로젝트는 자주 위험요소들에 노출되기 때문에 다양한 이해관계자로부 터 리스크 관리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많은 연구 에서 리스트 관리는 프로젝트 관리의 필수적인 부분이라 고 결론 내리고 있다.

    여러 분야에서 영향력이 큰 장애요인으로 ‘시간 부족’ 이 꼽히는 가운데, 리스크 관리가 적절하게 적용되는 프 로젝트일수록 프로젝트의 지연 비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12]. 그러나 리스크 관리 프레임워크의 개발이 어렵다는 점에서 프로젝트 담당자는 리스크 관리 적용을 필수 요소로 인식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 한 상황들을 모두 리스크 관리의 장애요인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실제로 리스크 관리를 구현하는 데 공통적으 로 작용하는 장애요인들을 식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 단된다.

    이 외에도 다양한 분야의 프로젝트에서 프로젝트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요인들을 식별하고 관리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프로젝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장애요인들에 대한 이해를 높여 관리 프로세스에 기여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3. 연구 방법

    3.1 문헌조사

    3.1.1 프로젝트 장애요인 탐색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로젝트의 성공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을 탐색해보고자 한양대학교 백 남학술정보관 웹사이트를 통해 국내․외 학술 DB를 활용 하여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장애요인 탐색을 위한 검색 키워드는 본 연구 주제를 포괄하는 “프로젝트”, “장애요인”, “프로젝트 장애요인”, “프로젝트 성공”, “Project”, “Barriers”, “Project barriers”, “Project success”를 사용하였고, 검색 결 과를 통해 2018년 2월 기준, 2010년도부터 당시까지의 프 로젝트 장애요인과 관련된 논문을 조사하여 국가와 산업을 한정하지 않고 장애요인을 총망라하여 수합하였다.

    관련 문헌으로 IT 프로젝트 분야 16개 연구,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 분야 11개 연구, PPP 프로젝트 분야 6개 연 구, 연구개발(R&D) 프로젝트 분야 3개 연구, 그 외 스마 트시티 및 에너지 관련 프로젝트 등의 메가 프로젝트 분 야 연구 등 약 40여 편의 문헌에서 언급된 장애요인을 활용하였다.

    3.1.2 프로젝트 장애요인 정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1차적으로 2010년대 관련 연구에 서 사용된 프로젝트 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수합된 640여 개 장애요인에 대해 단어의 일치성, 내용의 중복성, 의미의 중첩성 정도를 확인하여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요인을 삭제하였다. 또한 특정 산업이나 분야에 지나치게 한정된 지엽적인 요인들 역시 삭제하는 과정을 통해 2차적으로 장애요인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장애요인 탐색으로 수합 된 요인 640여 개가 270여 개의 요인으로 재정리되었고, 보다 압축된 장애요인 목록을 만들기 위하여 주요 키워드 별로 임의적으로 카테고리를 나누어 앞서의 과정을 반복, 135개의 장애요인을 추출하였다. 이 과정에서도 최대한 주관적인 판단을 배제하기 위하여 키워드를 중심으로 장 애요인을 설명하는 특정 단어가 가지는 의미를 기준으로 중복되는 요인들을 삭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와의 관련성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장애요인 탐색을 위한 키워드 검색을 통해 살펴본 약 7~8년간의 논문들 중 해당 키워드를 포함하였더라도 연구의 내용과 방향에 있어 관련성이 낮은 논문들은 제외하였다. 프로 젝트 수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장애요인이라 할지라도 특 정 국가의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된 연구에서는 고유의 정치적․문화적 상황과 조건이 개입되어 있어 장 애요인이 지나치게 한정적인 의미로 쓰인 경우 등을 고 려하였다. 이와 같은 장애요인들은 우선적으로 삭제하여 보다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프로젝트 장애요인을 취합하 고자 하였다.

    특정 단어를 키워드로 하는 범주로서 구분하고 그에 해 당하는 장애요인들을 비교, 의미가 중복되거나 넓은 의미 에서 같은 것을 뜻하는 장애요인들을 삭제하는 과정을 거 쳤으며, 그 예시는 <Table 3>과 같다.

    3.2 전문가 조사

    본 연구에서는 관련된 선행연구의 문헌조사를 통해 프로젝트의 성공을 저해하는 장애요인 135개를 초기 평 가항목으로 추출하였다. 그러나 장애요인 대한 용어 및 설명이 의미가 불분명하다거나 포괄적일 경우 내용타당 성 등을 위한 평가항목으로써 부적절할 수 있다. 따라서 문헌조사를 통해 추출된 초기항목에 대하여 의미가 모호 하거나 함축적인 용어에 대한 수정․보완, 비슷한 의미 를 가지거나 중복된 요인에 대한 통합, 적합하지 않은 요 인의 삭제 등 정제 작업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프로젝 트 실무 전문가를 대상으로 산업계 전문가 집단을 구성 하고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다.

    3.3 설문조사

    본 연구에서는 앞선 전문가 조사 결과 도출된 65개 장 애요인을 최종 측정항목으로 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이에 프로젝트의 성공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을 탐색해보 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장애요인 65항목, 프 로젝트 성공 4항목으로 69개 설문 문항에 대해 리커트 5 점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표본의 파악을 위 하여 설문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및 산업군, 프로젝트 수 행 경험 및 규모 등에 대한 14개 설문 문항을 구성하고 명목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전문가 조사 결과 도출된 장애요인에 대한 설문조사 는 프로젝트 수행 경험 및 프로젝트 관리 경험이 있는 경우를 응답 대상자로 선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자료 수 집을 진행하였다.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 배포를 통해 2018년 9월 14일부터 2018년 10월 19일까지 약 35일 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기간 내 회수된 224부 중 불성 실한 응답 혹은 미응답이 존재하는 설문 응답지를 제외 한 213부를 유효케이스로 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 22.0을 통해 분석․처리하였다. 표본의 파악 및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과 관련한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을 실시하였고, 프로젝트 장애요인과 프로젝트 성공 변 수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정을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은 수집된 자료에 근거하여 요인구조를 탐색하고자 탐색적 요인분석을 사용하였다.

    4. 분석 결과

    4.1 문헌조사 결과

    장애요인을 설명하는 핵심 단어를 기준으로 15개 범 주를 만들어 <Table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해당 과정 을 반복하여 최종으로 135개의 장애요인을 도출하였다. 2~3년 내의 비교적 최근 연구를, 그리고 해당 연구자의 후속 연구를 중심으로 정리한 내용은 <Table 4>와 같다.

    4.2 전문가 조사 결과

    4.2.1 전문가 집단의 일반적 특성

    전문가 조사를 진행하기 위하여 산업별로 프로젝트의 특징이 조금씩 차이를 보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가 급적 다양한 산업군의 전문가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이에 정보통신기술(ICT), 제조 및 방위산업, 건설․플랜트․엔 지니어링, 제약 및 바이오, 연구개발(R&D), 컨설팅 분야 프로젝트 전문가를 패널로 선정하였다. 또한 프로젝트와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하는 조사인 만큼 실무 경력 8년 이상의 산업계 전문가들로 구성하였다.

    4.2.2 전문가 조사를 통한 측정도구 개발

    탐색된 장애요인들이 속성에 따라 유형이 분류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용타당성 검정을 위한 분석에 사용할 장애요인은 최종 적으로 70여 개를 갖추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프로젝트 수행 경험 등의 실무 경력이 있는 프로젝트 관리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Table 4>의 초기항목 135개 장애요인 에 대한 검토를 통해 그 결과로써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에 1차 전문가 조사 결과, 기존의 135개 장애요 인에 대해 높은 점수를 받은 상위 장애요인 59개를 선별 하고 기존의 요인 외에 추가 의견으로 제시된 6개 장애요 인을 더하여 총 65개 장애요인으로 정리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조사 실시를 통해 항목 을 정제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 설문항목을 도출하였다. 1차 전문가 조사 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 불필요한 요인을 삭제하고 중복되거나 중첩되는 의미를 재정립하였으며, 전 문가가 평가한 각 장애요인별 점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전문가별로 각 장애요인에 대해 1점부터 7점까지 중요도를 평가하여 산출된 평균 점수는 최댓값 6.50, 최솟값 3.00으 로 나타났으며 각 평균값들의 평균 점수 5.05를 기준으로 5.05 이상의 평균값들을 가지는 장애요인 59개를 측정항목 으로 추출하였다. 이는 <Table 6>에서 보는 바와 같다.

    평균 점수 5.05 이상의 값을 가지는 5.07점까지의 59 개 장애요인과 더불어 전문가 패널이 추가 의견으로 제 시한 장애요인들에 대한 검토를 거쳐 ‘불명확한 사업 범 위 설정’, ‘경제석 분석 실패’, ‘고객의 프로젝트 결과에 대한 부정적 인식’, ‘발주처의 강한 의지 부족’, ‘프로젝 트 관리 전문 조직 및 부서의 부재’, ‘프로젝트 이해관계 자의 비윤리성’의 6개 요인을 종합하여 65개의 프로젝트 장애요인을 선별하였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65개 프로젝 트 장애요인을 설문항목으로 도출하여 내용타당성 등의 분석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4.3 설문조사 결과

    4.3.1 표본의 일반적 특성

    표본의 파악을 위한 설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 펴보면 <Table 7>과 같다. 총 유효표본 213부를 대상으 로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의 경우 남성이, 연령대 의 경우 30대가, 직급의 경우 부장 및 차장급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3.2 타당성 검정

    측정항목의 개념이 얼마나 정확히 측정되었는가를 파 악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존 선행연구에 서 체계화 되어 있지 않은 프로젝트 장애요인에 대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장애요인을 구성하는 차원을 알 아보고자 한다.

    <Table 6>의 59개 문항 및 전문가 조사 결과 추가된 6 개 요인을 포함하는 총 65개 문항 중 요인적재치 0.7 이 하의 값을 가지는 27개 문항을 제거한 38개 문항이 10개 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설명된 총분산 역시 74.348%로 전체 요인들을 설명하기에 무리가 없다고 판단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측정항목들의 구성에 따라 <Table 9>와 같이 10개 요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명명하 였다.

    프로젝트에 대한 장기적인 지원 부족, 미성숙하거나 비 체계적인 프로세스 관리, 기능과 역할에 대한 잦은 조정 및 변화, 정기적인 평가 및 감사의 부족 등은 결과적으로 프로젝트 프로세스의 체계적인 관리를 어렵게 하고 프로 세스 상에서 새로운 이슈가 발생하거나 문제점을 발견했 을 때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는 점에서 ‘프로세스의 통제의 어려움’으로 명명하였다.

    정확하지 않은 경제성 분석, 적절하지 않은 비즈니스 케이스, 조직 내 프로젝트 목표에 대한 인지 부족, 비상 계획(contingency plan)의 부재, 리스크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은 프로젝트가 진행되기 이전 단계에서 프로젝트에 대 한 적절한 준비를 불가능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고 볼 수 있다.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파악하고, 예기치 못한 문제에 직면했을 때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혹은 대안 등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면 결과적으로 성공적인 프로젝 트의 완료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 라 프로젝트가 진행되기 이전 단계에서의 ‘프로젝트 타 당성 분석 실패’로 요인을 명명하였다.

    높은 구현 비용, 구현 비용에 비해 낮은 편익, 계획된 프로젝트 비용 외에 추가되는 비용(hidden cost), 재정적 편익에 대한 불확실성 등은 모두 프로젝트의 비용과 그 에 따른 실현 가능한 편익에 대한 설명으로 ‘편익 실현 의 부족’으로 명명하였다.

    명확하지 않은 사업 범위, 명확하지 않은 프로젝트 목 표, 명확하지 않은 프로젝트 계획 수립, 명확하지 않은 예산 계획 등은 프로젝트의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로써 ‘프로젝트 계획의 불명확성’ 으로 명명하였다.

    장기적인 전략 계획의 부재, 조직의 잘못된 미션과 비전, 프로젝트 실행의 일관성 부족, 계획의 결함 등은 프로젝트 가 진행되는 동안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정확하게 제시해주 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프로젝트 수행 조직뿐 아니라 전체 사업을 관장하는 조직의 부적절한 핵심가치는 결과적으로 프로젝트의 성공 가치를 훼손할 수 있다.

    조직 차원의 장기적인 전략 계획이 존재하지 않거나 부실할 경우 프로젝트의 목표 달성 및 일관성 있는 프로 젝트의 진행을 방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략적 일관성 오류’로 요인을 명명하였다.

    이해관계자 간 입장 조율의 어려움, 이해관계자 간 협 력 부족, 이해관계자 간 상이한 목표, 발주처의 약한 의 지 등은 모두 프로젝트 수행의 이해관계자관리와 관련되 어 있기 때문에 ‘이해관계자 간의 갈등’으로 명명하였다.

    프로젝트 요구사항에 대한 초기의 잘못된 정의, 요구 사항과 설계(계획) 간의 불일치, 명확하지 않은 요구사 항, 프로젝트 결과물에 대한 요구사항의 변경 등은 프로 젝트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고객의 요구사항과 관련된 것으로 고객의 요구사항과 프로젝트 수행사가 이해한 요 구사항 간의 간극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들이 있다. 애초에 고객의 요구사항이 명확하지 않았다거나, 최종 결과물에 대한 변경을 요구하는 등의 문제들로 인 해 프로젝트의 성공이 저해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요구 사항 정의의 부정확성’이라고 명명하였다.

    프로젝트 참여자 간의 정보 공유의 부족, 프로젝트 참여자 간의 협업 부족, 효과적이지 않은 의사소통, 투 명하지 않은 정보 전달 등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동안 참여자들 간의 원활하지 않은 커뮤니케이션으로부터 야 기되는 문제점들이라고 할 수 있다. 참여자들 간 정보 가 투명하게 공유되지 않는다거나 업무 및 과제를 수행 하는 데 있어 적절한 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수 월한 프로젝트의 수행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해 당 항목들에 대하여 ‘의사소통의 장애’라고 요인을 명 명하였다.

    기술 개발이 중단될 수 있다는 우려, 기술적 문제 해 결의 어려움, 신기술의 등장 등은 조직의 내․외부에서 직면할 수 있는 기술적 변화와 관련된 개념들로써 ‘기술 적 환경 변화’로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최고경영층의 지원 부족, 최고경영층의 부 정적 태도는 프로젝트 및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상부 조 직의 무관심 등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위험요인들로 써 ‘최고경영층의 부정적 태도’로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신뢰성 검정 결과 크론바흐 알파 계수가 모두 0.7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성이 확보되었다 판단하 였다.

    5. 결 론

    5.1 연구 결과의 요약

    프로젝트 수행의 성공요인뿐 아니라 효과적인 프로젝 트의 수행을 저해하는 요인들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관점 하에 본 연구는 기존 문헌들을 통해 밝혀진 프로젝 트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장애요인을 탐색해보고 자 하였다. 프로젝트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적인 장 애요인들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있지만, 변수로 서의 프로젝트 장애요인에 대한 구성개념을 제시해주는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어떠한 요인이 프로젝 트의 성공을 저해하는 주요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하는지 알아보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프로젝트 장애요인의 차원을 검정해보고자 하였다.

    장애요인의 탐색 및 정제 과정을 통해 구성 차원을 확 인한 결과 10개의 공통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각 요인 을 설명하는 측정항목들을 바탕으로 프로세스의 관리 및 통제, 프로젝트 타당성 분석 실패, 비용 초과 및 편익의 실현 부족, 프로젝트 계획의 불명확성, 전략적 일관성 오 류, 이해관계자 간의 갈등, 요구사항 정의의 부정확성, 의사소통의 장애, 기술적 환경 변화, 최고경영층의 부정 적 태도 등으로 요인명을 명명하였다.

    5.2 연구의 시사점

    성공적인 프로젝트의 수행을 위하여 여러 분야에서 다 양한 방법을 통해 핵심성공요인(Critical Success Factor)을 찾아내고, 프로젝트에 존재하는 리스크를 식별하여 효과 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 어 오고 있지만 실제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프로젝트의 성공에도 영향을 미치는 프로젝 트 장애요인에 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여러 프로젝트 사례에서 당면했던 실제 프로젝트 장애요인들을 수합하여 정리하고, 속성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는지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프로젝트 장애요인이라는 변수의 구성개념을 제시 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으며, 이를 통해 프로젝트의 성공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으로서 향후 성공변수 등과 같 은 기타 변수와의 실증연구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이론 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있다.

    또한 과거의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프로젝트 장애요인 을 총망라 하여 새로운 차원의 프로젝트 장애요인을 구 성하고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자체로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지표를 제공하고 있다. 성공 요인을 좇는 것도 중요 하지만 성공을 저해하는 요소들을 파악하고 사전에 제 거․통제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성공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10개 요인으로 설명되는 프로젝 트 장애요인은 기업 및 조직이 프로젝트 수행 중에 직면 할 수 있는 위험요소들을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끔 해주었다. 개별적인 장애요인들을 수합하고 이를 바 탕으로 측정항목을 개발하여 변수를 도출했기 때문에 학 문적 의미에서만 사용되는 개념이 아닌 그 자체로 지표 로써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의의가 있다.

    5.3 연구의 한계점

    보다 포괄적이고 많은 장애요인을 포함하도록 하는 개별항목의 구성이 필요하다. 그간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지 않았던 프로젝트 장애요인에 대해 새로운 차원의 프로젝트 장애요인을 도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나, 프로젝트 성공에 분명한 영향을 미치지만 미처 포함되지 않았을 장애요인들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어느 정 도 불완전하다고 할 수 있다. 수합된 장애요인을 바탕으 로 새로운 구성개념을 제시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타당 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장애요인을 포함하도록 하는 개별항목의 구성을 통해 확장된 연구를 진행할 필 요가 있다.

    프로젝트 장애요인의 도출을 위해 실시한 설문 조사 는 65개 항목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적지 않은 문항 수임에도 불구하고 설문 조사를 통해 회 수된 유효케이스는 213부였다.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 하고 보다 정확한 요인분석을 위해서는 이론적으로 문항 수의 3∼5배수의 표본을 활용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그에 비해 표본이 작았기 때문에 향후 모형을 통한 가설검정 시 결과에 대한 일반화 가능성에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충분한 크기의 표본 확보를 통해 더욱 정밀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새롭게 구성된 프로젝트 장애요인의 차원을 감소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프로젝트 장애요인의 체계를 확 립하고, 실증연구에 더욱 용이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도출된 10개 요인의 상위차원을 다시 한 번 나누어보는 접근의 후속 연구를 통해 이론적 근거를 보 강해주는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

    This work is supported by the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KAIA) grant fund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Grant 20DEAP-B158906-01).

    Figure

    Table

    Barriers in the Field of IT Projects

    Categories of Barriers to Risk Management

    An Example of the Process of Clearing Up Barriers

    Project Barriers by Research

    General Characteristics of Focus Group

    Project Barriers Selected by FGI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Eliminated Item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Factor Analysis & Factor Naming

    Reference

    1. Ali, U. and Kidd, C., Barriers to effective configuration management application in a project context : an empirical investig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2014, Vol. 32, No. 3, pp. 508-518.
    2. Andersson, A., Communication barriers in an interorganizational ERP-project,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ing Projects in Business, 2016, Vol. 9 No. 1, pp. 214-233.
    3. Atkinson, R., Project management : cost, time and quality, two best guesses and a phenomenon, its time to accept other success criteria,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1999, Vol. 17, No. 6, pp. 337- 342.
    4. Bhanota, N., Rao, P.V., and Deshmukh, S.G., Enablers and barriers of sustainable manufacturing : results from a survey of researchers and industry professionals, Procedia CIRP, 2015, Vol. 29, pp. 562-567.
    5. Bufoni, A.L., Oliveira, L.B., and Rosa, L.P., The declared barriers of the large developing countries waste management projects : the star model, Waste Management, 2016, Vol. 52, pp. 326-338.
    6. Callistus, T. and Clinton, A., Evaluating barriers to effective implementation of project monitoring and evaluation in the Ghanaian construction industry, Procedia Engineering, 2016, Vol. 164, pp. 389-394.
    7. Dai, C.X. and Wells, W.G., An exploration of project management office featur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roject suc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2004, Vol. 22, No. 7, pp. 523-532.
    8. Fonseca, F., Letouze, P., Pompeu, R., Garcia, L., Regina, S., and Franca, G., Barriers in information technology project management, IEEE Technology & Engineering Management Society Conference, 2017, pp. 370-375.
    9. Haddon, W. Jr., Energy damage and the ten countermeasure strategies, Journal of Trauma, 1973, Vol. 13, No. 4, pp. 321-331.
    10. Hadjinicolaou, N. and Dumrak, J., Investigating association of benefits and barriers in project portfolio management to project success, Procedia Engineering, 2017, Vol. 182, pp. 274-281.
    11. Harclerode, M.A., Macbeth, T.W., Miller, M.E., and Gurr, C.J., Early decision framework for integrating sustainable risk management for complex remediation sites : drivers, barriers, and performance metric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2016, Vol. 184, No. 1, pp. 57-66.
    12. Hwang, B.G., Zhao, X., and Toh, L.P., Risk management in small construction projects in singapore : status, barriers and impact,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2014, Vol. 3, No. 1, pp. 116-124.
    13. Hwang, B.G., Zhu, L., and Tan, J.S.H., Green business park project management barriers and solution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2017, Vol. 153, pp. 209-219.
    14. Jadhav, J.R., Mantha, S.S., and Rane, S.B., Analysis of interactions among the barriers to JIT production : interpretive structural modelling approach, Journal of Industrial Engineering International, 2015, Vol. 11, pp. 331- 352.
    15. Jang, H.S., Choi, S.Y., and Lee, M.H., Priority analysis of project stage-wise risk factors : focusing on new product development projects in ICT industry,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18, Vol. 41, No. 3, pp. 72-82.
    16. Kim, M.J. and Kim, H.S., Barriers of CM performance during construction stage in public CM projec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and Construction, 2014, Vol. 30, No. 8, pp. 63-70.
    17. Lauridsen, O., Lootz, E., Husebo, T., and Ersdal, G., Barrier management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echnical, operational and organizational barrier elements, SPE International Conference and Exhibition on Health, Safety, security, Environment and Social Responsibility, 2016, Stavanger, Norway, pp. 11-13.
    18. Masrom, M.A.M., Rahim, M.H.I.A., Ann, S.C., Mohamed, S., and Goh, K.C., A preliminary exploration of the barriers of sustainable refurbishment for commercial building projects in malaysia, Procedia Engineering, 2016, Vol. 180, pp. 1363-1371.
    19. Min, T.G., On the application of risk management by levels of project management maturity,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11, Vol. 34, No. 2, pp. 19-29.
    20. Mohammad, A. and Abdolshah, S., Barriers to the implement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in iranian institutions, International Transaction Journal of Engineering, Management, and Applied Sciences and Technologies, 2011, Vol. 2, No. 2, pp. 173-182.
    21. Mosannenzadeh, F., Bisello, A., Diamantini, C., Stellin, G., and Vettorato, D., A case-based learning methodology to predict barriers to implementation of smart and sustainable urban energy projects, Cities, 2017, Vol. 60, Part A, pp. 28-36.
    22. Mosannenzadeha, F., Nucci, M.R.D., and Vettorato, D., Identifying and prioritizing barriers to implementation of smart energy city projects in europe : an empirical approach, Energy Policy, 2017, Vol. 105, pp. 191-201.
    23. Muller, R. and Jugdev, K., Critical success factors in projects : pinto, slevin, and prescott-the elucidation of project suc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ing Projects in Business, 2012, Vol. 5, No. 4, pp. 757-775.
    24. Muller, R. and Turner, R., The influence of project managers on project success criteria and project success by type of project, European Management Journal, 2007, Vol. 25, No. 4, pp. 298-309.
    25. Nasseri, H.A. and Aulin, A., Enablers and barriers to project planning and scheduling based on construction projects in oman, Journal of Construction in Developing Countries, 2016, Vol. 21, No. 2, pp. 1-20.
    26. Okumus, F., Bilgihan, A., Ozturk, A.B., and Zhao, X.R., Identifying and overcoming barriers to deploy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projects in hotels, Journal of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2017, Vol. 30, No. 5, pp. 744-766.
    27. Sara, J., Stikkelman, R.M., and Herder, P.M., Assessing relative importance and mutual influence of barriers for CCS deployment of the ROAD project using AHP and DEMATEL methods, International Journal of Greenhouse Gas Control, 2015, Vol. 41, pp. 336-357.
    28. Terlizzi, M.A., Meirelles, F.D.S., and Moraes, H.R.O. C.D., Barriers to the use of an IT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in A large financial institu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2016, Vol. 34, No. 3, pp. 467-479.
    29. Terlizzi, M.A., Albertin, A.L., Moraes, H.R.O.C., IT Benefits management in financial institutions : practices and barrier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2017, Vol. 35, No. 5, pp. 763-782.
    30. Toor, S.U.R. and Ogunlana, S.O., Beyond the ‘iron triangle’ : stakeholder perception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KPIs) for large-scale public sector development proj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2010, Vol. 28, No. 3, pp. 228-236.
    31. Trost, W.A. and Nertney, R.J., Barrier analysis, System Safety Development Center, United States, 1985.
    32. Westerveld, E., The project excellence model 1 : linking success criteria and critical success fac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2003, Vol. 21, No. 6, pp. 411-418.
    33. Zwikael, O. and Sadeh, A., Planning effort as an effective risk management tool,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2007, Vol. 25, No. 4, pp. 755-7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