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각자의 개성을 존중하고 다양성을 추구하는 현대 사 회에서는 고객들의 욕구, 필요 역시 과거와는 다르게 다 양해지고 세분화되었으며 빠르게 변화한다. 넓은 범위에 서 빠르게 변화하는 고객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물 류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만드는 것은 곧 비용 절감으로 이어지기에 이는 물류 분야의 큰 관심사가 되었다. 최근 드론의 가치가 부상함에 따라 Amazon이 드론을 물류 분 야에 적용한 사례도 있으나, 전통적인 의미에서 물류의 수송은 차량(Vehicle)으로 이루어진다.
1959년, Dantzig and Rasmer[2]가 차량 경로 문제를 제 시한 이후 해당 분야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전통적 인 차량 경로 문제는 하나의 출발지에 동일한 차량이 여 러 대 존재하며 수요지의 입장에서 한 번씩만 방문될 수 있도록 차량의 경로를 설정하고 각 수요지의 수요를 만 족시킨 후 출발지로 돌아오는 문제이다. 전통적인 차량 경로 문제는 현실 세계의 다양한 상황을 반영하기 위해 추가적인 제약식을 가지며 발전하였고 공급지에서 물건 을 수거하고 수요지에 이를 배달하는 차량 경로 문제도 등장하였다. 공급지에서 하나의 수요지에 대해 한 대의 차량을 할당한다면 이는 가장 빠르게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방법일 것이다. 그러나 이는 필연적으로 많은 비용이 필요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허브가 등장하 였다. 허브란 다른 노드들로부터 네트워크의 흐름이 모 이는 곳을 말하며 물류, 교통, 데이터 통신 등 다양한 many-to-many network에서 사용된다. 허브는 각각의 노 드들을 직접 연결하는 것보다 네트워크의 흐름을 특정 장소로 집중하는 것이 경제적이거나 서비스 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을 때 사용하는데 대량의 네트워크 흐름이 집 중되기에 이를 규모의 경제라고 한다. 허브를 사용하여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는 분야로는 항공, 우편/택배 시스 템, 전자 통신 시스템, 긴급 서비스 등을 예시로 들 수 있다[8].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효율적인 시스템 구성을 위해 서는 허브의 위치가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된다. 허브의 위 치를 선정하는 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는 p-hub median problem(pHMP)이며 허브와 허브에 할당 되는 비(非)허브 노드들은 전체 시스템의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결정된다. 둘째는 p-hub allocation problem (pHAP)로서 전체 시스템의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은 같지 만 허브 노드를 사전에 알고 있다는 점에서 pHMP와 차 이를 보인다[3]. 허브 위치 문제에서 고려할 비용 구조는 이동 거리에 따른 비용, 허브 운영 비용, 물건의 수집, 교 환, 배달 비용 등이며 각각의 항목은 다른 항목간의 비교 를 위해 비용 계수를 갖는다. 전체 비용은 각각의 항목에 비용 계수를 곱한 것의 합으로 계산한다.
허브와 관련된 기존 연구로는 먼저 Nagy and Salhi[11] 의 many-to-many location routing problem을 들 수 있다. Location 중 일부는 허브의 역할을 하는 터미널이며 그 이외의 location은 차량으로 방문하는 고객의 노드이다. 그들은 한 명의 고객은 최소 한 대의 차량이 방문하도록 하였으며 한 대는 수집, 한 대는 배달 차량으로서 최대 두 번까지 한 명의 고객을 방문할 수 있게 하였다. 그들 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리 모형과 휴리스틱 방법 을 제시하였다.
Wasner and Zapfel[13]은 노드-허브, 허브-허브, 허브- 노드뿐만 아니라 허브가 아닌 노드끼리의 연결을 포함한 경로를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Nagy and Salhi와는 달리 차량이 동시에 수집과 배달을 할 수 있도록 설정하 였다. 그들은 오스트리아의 우편 배달 시스템에 허브를 적용하였다. Cetiner et al.[1]도 유사하게 터키의 우편배 달 시스템에 허브를 활용하였다. 그들은 문제를 해결하 기 위해 먼저 직선거리를 활용하여 허브의 위치를 결정 한 뒤, 이를 바탕으로 경로 문제를 풀었다. 그 후, 거리를 단계적으로 수정하여 위의 두 단계를 반복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는 복수의 허브와 복수의 차량을 이 용, 각 경로의 시작과 끝을 허브 노드로 하는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실생활에서는 반드시 모든 차량들이 허브에서 출발하여 허브로 복귀하지는 않는다. 각각의 차량들은 서 로 다른 지점에서 경로를 시작하고 끝낼 수 있으며 각 노 드 별로 도착 시간의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같은 지 점을 여러 번 방문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시간 제약 하에서 여러 대의 차량이 고유의 출발 지를 갖고 허브를 제외한 노드들은 나뉘어서 한 번씩만 방문하는 각자의 경로를 마친 후, 고유의 출발지로 복귀 하는 차량 경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Sohn and Park [12]는 허브가 3개 이상인 차량 경로 문제일 경우 고정된 p-Hub에 노드를 단일 할당하는 문제의 NP-hardness를 증 명하였다. 경로 문제는 NP-Hard이며 NP-Complete 문제이 기에 Kang and Lee[7], Cagri Koc et al.[9], Moon and Park[10] 등 많은 선행 연구들이 다양한 휴리스틱 기법을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한 것을 확인할 수 있던 반면 최적 수리 모형은 많이 적용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ohn and Park[12]는 허브가 3개 이상일 때의 NP-hardness 를 보임과 동시에 허브가 2개 이하일 경우 polynomial time안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보였는데 본 연구는 한 개의 허브만을 다루기에 polynomial time안에 최적해 를 찾을 수 있다. 이에 휴리스틱 기법을 적용한 많은 선행 연구와는 달리 최적화 수리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 2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다루는 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최적화된 수리 모형을 제시한다. 제 3장에서는 제시한 수리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수치 실험과 그 결 과를 제시한다. 끝으로 제 4장은 요약과 결론으로 구성 된다.
2. 문제 정의 및 최적화 수리 모형
2.1 문제 정의
본 연구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는 단일 허브를 이용 한 시간 제약이 존재하는 수거 및 배달 경로 최적화 문제 이며 미국 동부의 식자재 배달 회사의 실제 데이터를 사 용하였다. 문제 상황은 다음과 같다. 어떤 임의의 지역에 는 다수의 농장과 식당이 있다. 농장은 대부분 도심 외곽 에 위치하며 식당은 대부분 시내 중심가에 위치한다. 임의 의 두 농장이 취급하는 물품은 같을 수 있으며 각 농장은 여러 식당에 물품을 납품할 수 있고, 식당 역시 여러 농 장에서 물품을 주문할 수 있다. 그런데 이로 인해 한 장 소를 여러 번 방문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는 여러 개의 식당에 납품하는 농장과 여러 개의 농장에서 주문하는 식당이 있으며 복수의 운전자가 배달하기 때문 이다. 이 현상은 농장보다는 식당에 큰 문제가 되는데 필 요한 물품들이 한 번에 도착하지 않아 식재료를 준비하 는 시간이 지연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런 비효율성으로 인해 운전자들은 종종 배달 시간을 준수하지 못하게 된 다. 약 한 달간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두 번 이상 방문 된 식당은 18%, 시간 내에 배달을 받지 못한 식당은 31% 에 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두 번 이상 동일한 장소를 방문하는 비효율성을 해결하고 시간 제약을 준수하기 위 해 허브의 개념을 제시한다. 허브의 위치 선정 문제는 먼 저 허브의 위치를 결정하는 pHAP 방식을 채택하였다. 다 음으로 경로 설정의 경우 허브는 모든 운전자가 한 번씩 방문하되 그 외의 노드는 모든 운전자 중 한 명의 운전자 에 의해 한 번만 방문된다. 다음으로 Cetiner et al. [1]과 달리 각 운전자들은 경로의 시작과 끝을 허브가 아닌 각 자의 집으로 한다.
경로 설정 문제에 유용한 네트워크 최적화 모형으로는 TSP(Travelling Salesman Problem)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 인 TSP 모델은 한 명의 Salesman이 출발지를 제외한 모 든 노드들을 한 번씩만 방문한 후 출발지로 돌아가므로 본 연구가 추구하는 바와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일반적 으로 TSP는 발생하는 전체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하는 반면, 본 연구는 운전자들이 한 개의 노드를 방문할 때마다 비용을 지불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따 라서 해당 일자에 방문해야 하는 노드가 정해져있으므로 전체 비용은 정해져있고 이에 전체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아닌 전체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모델은 여러 명의 Salesman, 즉 운전자 들이 허브 노드는 모두 방문하되 허브를 제외한 나머지 노드들은 나뉘어서 한 번씩만 방문하는 것이며 운전자가 방문하였을 경우 1, 그렇지 않을 경우 0의 값을 갖는 이 진변수를 활용하여 최적화된 수리 모형을 제시한다. 수 리 모형에 반영되는 기본 가정 사항은 다음과 같다.
-
1) 배달 회사는 각 농장들이 공급 가능한 물품을 모두 알고 있다.
-
2) 배달 회사는 각 식당들이 필요한 물품을 모두 알고 있다.
-
3) 배달 회사는 물품 배달을 할 운전자들의 목록을 가지고 있고 운전자는 회사가 원할 경우 항상 일할 수 있다.
-
4) 배달이 시작되기 전에 각 운전자들은 자신의 일정을 알고 있다.
-
5) 각 운전자들은 개인 차량을 이용하여 배달한다.
-
6) 각 운전자들은 7:00 a.m에 개인 집에서 출발하여 배달 을 마친 후 개인 집으로 복귀한다.
-
7) 각 운전자들의 개인 차량은 하루에 요구되는 배달량 을 모두 적재할 수 있다.
-
8) 각 식당으로의 배달은 3:30 p.m까지 마쳐야 한다.
2.2 허브 위치 선정
물류 허브는 일반적으로 각각의 노드들을 1대 1로 연 결하는 대신 특정 노드로 물류의 흐름을 집중시켜 효율 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 의 허브는 각 운전자들이 농장에서 가져온 물품들 중 자 신의 배달 스케쥴에 해당하지 않는 물품들을 다른 운전 자에게 인계하고, 다른 운전자가 자신의 배달 스케쥴에 해당하는 물품들을 가져왔을 경우 그를 인수하는 교환의 장소로 운영한다. 모든 농장과 식당을 허브의 후보지로 고려하였고 제 2.1절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대부분의 식 당은 시내 중심가에 위치하여 식당 간 거리가 멀지 않기 에 허브를 두 개 이상 운영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고 판 단하였다. 따라서 허브는 모든 농장과 식당 중 한 곳만을 선정하였다.
모든 농장과 식당을 대상으로 허브의 위치를 결정한 첫 번째 조건은 일정 기간 동안 많이 방문된, 즉 농장의 경우 물품을 많이 판매한, 식당의 경우 물품을 많이 구매 한 곳을 고려하였다. 이는 그 동안 많은 운전자들이 해당 장소를 중복하여 방문했을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 판단하 였기 때문이다. 그 결과 다른 장소들에 비해 20~30배 가 량 많은 방문 수를 기록한 식당을 두 곳 찾을 수 있었다.
두 번째 조건은 접근성이었다. 일반적으로 접근성이란 임의의 장소에 접근하기 용이한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허브의 위치가 도심에 너무 가까우면 교통이 복잡하여 여러 차량이 통행하기 어려울 것이라 판단하였고, 허브 의 위치가 도심에서 너무 멀면 이동 거리가 증가하여 Time Window를 만족하기 어려울 것이라 판단하였다. 이 에 따라 먼저 허브의 위치를 원형으로 도심으로부터 10 ~20km 떨어진 곳으로 설정하였으며 교통이 편리할 수 있도록 고속도로로부터 1.5km 안쪽의 농장과 식당을 선 정하였다. 그 결과 총 48개의 농장, 148개의 식당의 허브 후보군을 6개의 농장, 13개의 식당으로 줄일 수 있었으 며 13개의 식당에는 첫 번째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식 당이 한 개 포함되어 있었다.
위의 두 가지 조건과 허브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위 해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소를 파악하여 첫 번째 조건에 해당하는 식당 두 곳, 두 번째 조건에 해당 하는 식당 두 곳을 허브의 후보지로 결정하였다.
2.3 최적화 수리 모형
최적화 수리 모형은 식 (1)부터 식 (16)까지의 Mixed Integer Programming으로 제시한다. 제약식 중 일부는 Hwang and Kim[5], Jin and Kim[6]을 참고하였으며 표기와 결정 변수는 다음과 같다.
<표 기>
-
N : 전체 노드의 집합
-
F : 전체 농장의 집합
-
FH : 전체 농장과 운전자들의 집의 집합
-
Hub : 허브의 집합
-
R : 전체 레스토랑의 집합
-
D : 운전자들의 집합
-
Sk : 운전자 k의 Subtour의 집합
<결정 변수>
수리 모형의 목적함수 식 (1)은 전체 거리를 최소화하 는 것이며 거리 정보는 Google Map[4]을 활용하였다. 식 (2)는 모든 노드들이 1회 이상씩 방문될 수 있음을 뜻하 고 식 (3)은 모든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출발할 수 있는 횟수가 1회 이상임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TSP 모델에서 는 위의 식이 등호로 성립하나 본 연구의 경우 허브는 모든 운전자들이 방문하여야 함으로 부등호로 성립한다. 식 (4)는 경로의 연속성을 위한 제약식으로 임의의 노드 i에서 노드 p로 이동하였을 경우, 노드 p에서 임의의 노 드 j로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식 (5)는 모든 농장들 이 한 번만 방문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식 (6)은 모 든 농장에서 다른 장소로 갈 수 있는 것이 한 번으로 제 한되는 것을 의미한다. 식 (7)은 모든 운전자들이 자신 이 방문해야 할 농장들을 모두 방문한 뒤 허브로 이동 하는 것을 나타내고, 식 (8)은 모든 운전자들이 허브에 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다. 식 (9)는 모든 식당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것은 한 번으로 제한되 며 식 (10)은 모든 식당들이 한 번만 방문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식 (11)은 모든 운전자들이 자신의 집에 서 출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식 (12)는 모든 운전자들이 자신이 방문해야 할 노드들에 대한 Subtour-Elimination 제약식이다. 식 (13), (14)는 모든 운전자들이 각각의 노 드에 방문 가능한 시간대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식 (15)는 모든 운전자들이 허브에 도착하는 시간의 최대 편차가 30분으로 제한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임의의 운전자가 너무 오랜 시간동안 다른 운전자들을 기다리 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식 (16)은 현재 노드에서 다음 노드로 이동 시 다음 노드의 도착 시간은 현재 노 드에 도착한 시간으로부터 다음 노드로의 이동 시간과 물품을 인수, 인계하는 시간을 더한 시간 이후에 도착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idlek는 물품을 인수, 인계하 는 시간을 의미하며 M은 Big M method를 적용하기 위 한 임의의 큰 수이다.
3. 수치 실험 및 분석
3.1 경로 분석
본 장에서는 제 2장에 제시한 최적화 수리 모형을 검 증하고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한 수치 실 험 결과를 제시한다. 실험 예제는 배달 종료 시간이 3:30 p.m보다 늦었던 날을 선택하였으며 실험 예제의 최적해 는 Python-Gurobi를 활용하였다.
<Table 1>은 각 식당 별로 필요한 물품을 거래하는 농 장을 연결한 것이다. 각 식당은 여러 개의 농장으로부터 필요한 물품을 거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당 a는 농장 A, B, I로부터 필요한 물품을 거래하며 이때 한 개, 또는 두 개의 농장으로부터 필요한 물품을 모두 공급받을 수 는 없다. 즉, 식당 a는 필요한 물품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세 개의 농장 모두가 필요하다. 또한 한 개의 농장은 여 러 개의 식당에 물품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농장 I는 식당 a, m, n, o에 물품을 제공한다.
<Table 2>는 제 2.3절의 수리 모형을 적용한 결과이며 <Table 3>은 수리 모형을 적용하기 전의 결과이다. Travel Distance는 각 운전자의 집에서 출발하여 수거와 배달을 마친 후 집으로 도착할 때까지 소요 거리를 의미하며 End Time of Delivery는 경로를 마치고 집에 도착한 시간이 아 닌, 식당에 배달을 마친 시간을 의미한다. 반면 Required Time은 집으로 복귀하는 시간까지 포함한다. H1~H5는 각 운전자들의 집을 나타낸다. 허브 노드는 가장 방문이 많았 던 f지점으로 선택하였는데 이는 도로에 대한 접근성이 좋 은 타 허브 후보지와 비교를 하기 위함이다. 실험 결과 허 브를 제외한 모든 노드들은 운전자들이 나뉘어서 한 번씩 방문하였으며 허브 노드인 f는 모든 운전자들이 방문하였 다. 모든 운전자들은 자신에게 할당된 농장들을 모두 방문 한 뒤 허브로 이동하였으며 허브에서 물품을 교환한 후 자신에게 할당된 식당들을 방문하였다. Arrival Time at Hub는 11:30 a.m부터 12:00 p.m으로 최대 편차는 30분이며 가장 늦은 식당 방문 시간은 3:13 p.m으로 이는 수리 모형 에 반영된 기본 가정 사항의 Time Window를 모두 만족하 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aw Data와 비교한 결과 Total Travel Distance는 약 1200 km, Total Required Time은 약 8시간이 줄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Optimal Solution의 경우, 다른 운전자들이 허브에 도착하는 시간과 맞추기 위해 실제로는 7:00 a.m 이후에 출발하였더라도 모 두 7:00 a.m에 출발한 것으로 가정하였고 허브에서 다른 운전자의 도착을 기다리는 시간을 포함하기에 실제 Total Required Time은 39시간보다 적다. 약 한 달간의 Raw 데이 터와 비교한 결과 최적화 모형은 소요 시간 측면에서 13%, 이동 거리 측면에서 14% 우수하였으며 문제의 모든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가장 많은 노드를 방문하는 날은 약 45~50개 수준이었는데 60개의 노드로 실험한 결과 우수하게 해를 찾을 수 있었다.
다음으로 <Table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은 각 운 전자 별 방문 농장과 식당의 관계이다. 운전자 1의 경우 E 농장만 방문한다. 그런데 E 농장이 납품하는 식당은 j, o 식당이며 j 식당은 K 농장에서도 납품받아야 할 물건이 있다. 반면 운전자 4의 경우 C, D, K, L, M의 다섯 개의 농장을 방문한다. 운전자 1은 운전자 4와 허브에서 만나 필요한 물건을 받아 j 식당에 무사히 배달을 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일부 농장과 식당들이 중복 방문되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Figure 1(A)>, <Figure 1(B)>는 최적해 결과와 Raw Data에 해당하는 운전자들의 경로를 도식화한 것이다. 운 전자 1부터 5까지 차례대로 검은색, 빨간색, 초록색, 파란 색, 회색으로 각각의 경로를 표현하였다. 그림의 x축은 경도(Longitude), y축은 위도(Latitude)를 나타낸다. 각 노 드들의 좌표는 실제 좌표에서 임의의 수만큼 평행 이동하 여 나타내었다. 허브 노드의 좌표는 (1.99, 1.18)이며 모든 운전자들이 해당 노드를 방문하고 있다는 것을 그림으로 도 확인할 수 있다.
3.2 허브 위치 분석
허브는 가장 많은 방문 횟수를 기록한 식당을 기준으로 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비록 해당 장소는 허브의 두 번 째 선정 조건에는 벗어나지만 충분한 주차 공간과 냉장 시설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장소들보다 비교 우위를 가졌다. 제 2.2절에서 선정한 총 4개의 허브 후보군 에 대하여 제 2.3절의 최적화 수리 모형을 한 달 간의 데이 터를 입력한 결과 허브의 조건 1, 2를 동시에 만족하는 식 당은 기준 허브에 비하여 이동 거리를 3% 줄일 수 있었다. 반면 조건 2만을 만족하는 식당 두 곳은 기준 허브에 비하 여 이동 거리가 각각 2%, 3% 증가하였다. 이는 다른 두 식당은 매일 방문하지는 않았던 장소이기에 도로 접근성 이 기준 허브에 비해 좋음에도 매일 방문하는 허브로 쓸 경우 이동거리를 증가시킨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기준 허 브는 매일 방문하던 장소이기에 앞선 두 장소보다 이동거 리를 줄일 수 있던 것으로 분석된다. 허브의 조건 1, 2를 모두 충족한 식당은 가장 적은 이동 거리를 보였지만 이는 기준 허브의 비교 우위를 넘지 못한다고 판단하여 기준 허브를 가장 적합한 장소로 선정하였다.
4. 결 론
본 연구는 전통적인 차량 경로 문제를 실제 제약 사항 을 반영하여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수거/배달 최적 화 모형으로 발전시켰다. 주요 발전 사항으로는 첫째, 각 운전자들이 허브에서 모여 수거한 물품을 재분류하는 것 으로 허브를 제외한 노드들이 중복으로 방문되지 않게 하였다. 둘째, 시간 제약을 최적화 모형에 반영하여 각 노드를 방문할 수 있는 가장 늦은 시간을 설정하였다. 첫 번째와 두 번째 발전 사항을 통해 모든 식당은 안정적으 로 필요한 물품을 원하는 시간에 공급받을 수 있게 되었 다. 셋째, 전통적인 모델은 한 곳에서 출발하여 한 곳으 로 복귀하였다면 본 연구의 모형은 각 운전자들이 자신 의 고유한 출발지와 복귀지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제 3장에서의 수치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향후 연구로는 첫째, 본 연구의 경우 Hub의 위치를 이 미 알고 있는 pHAP를 적용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미리 선정한 Hub가 기대보다 덜 효율적일 수 있을 것이다. 따 라서 pHMP를 적용하여 이를 pHAP 모델과 비교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제시한 최적 모형은 거리만을 고 려하여 목적함수를 구성하였으나 비용 지불 구조가 변경 될 경우 거리 이외의 다른 고려 사항을 추가하여 복수의 목적함수를 갖는 모형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필요한 운전자 수를 모델이 직접 결정하도록 발전시키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모형이 물류 환경의 발전 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