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서 론
기업경쟁력의 원천은 고객만족에 있으며 제품 또는 서 비스의 품질은 고객만족의 중요 요소 중 하나이다. 기업 은 제품 또는 서비스가 고객들의 품질 요구사항을 충족하 는 것을 확신시키기 위하여 체계적인 품질보증 활동을 하 고 있다. 품질보증 활동의 객관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 해 제 3자의 객관적인 평가가 필요하게 되었고 품질경영 시스템(QMS : Quality Management System) 인증제도가 도입 확산되었다. 기업에서는 기업의 특성에 따라 품질경영 시스템 뿐만 아니라 환경경영시스템(EMS :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과 안전 보건 경영시스템(OHSAS :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등 다 양한 경영시스템의 인증 획득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13].
국제표준화기구(ISO :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에서는 1987년에 최초로 품질경영시스템 ISO 9000시리즈를 제정하였으며, 변화하는 시장요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약 5년마다 규격의 적절성을 검토해왔다. 이후 ISO 9000 패밀리(현재는 시리즈 대신 사용됨)는 1994년, 2000 년, 2008년, 2015년에 네 차례 개정되었다. 최근 국내외 기업 경영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국내 대기업에서는 2017 년까지 조기 전환인증을 추진하고 있으며, 협력업체 및 이 해관계자들은 개정 규격에 따라 품질방침을 변경하고 실행 함으로써 규격의 전환인증을 획득하여야 하는 실정이다.
Kim et al.[13]은 ISO 9001의 2008년과 2015년 규격에 대한 차이점 분석(gap analysis)을 실행하고, 동남권 지역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제조업체의 특성과 2015년 개정 규 격과의 관련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2015년 개정 규격은 리스크(risk) 파악 및 기업 내․외부 경영환경을 고려한 위기관리 프로세스 구축과 운영 개선 및 조직, 인적자원들의 지식 공유․관리가 가 장 핵심적인 변화임을 강조하였다. ISO 9001:2015 개정 규격의 주요변화 가운데 가장 큰 특징은 다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12].
-
“리스크 기반 사고(RBT : Risk-Based Thinking)”에 근 거한 규격이다.
-
여러 가지 ISO 경영시스템 규격을 조직에 쉽게 적용하 기 위해서 동일한 핵심언어(identical core text)와 공통 용어(common terms and definitions)와 상위구조(HLS : High Level Structure)를 갖춘 Annex SL(부록 SL이란 의미)을 사용한 규격으로서 10개의 절(Clauses)로 구성 되어 있다-일반 사항 3개의 절(1. 적용범위, 2. 인용표 준, 3. 용어와 정의)과 조직적용을 위하여 구체화한 7개 의 절(4. 조직 상황, 5. 리더십, 6. 기획, 7. 자원, 8. 운영, 9. 성과평가, 10. 개선).
위에서 언급하는 리스크는 연구 분야에 따라 다양한 개념과 정의가 있으나 QMS와 관련된 리스크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
-
- ISO 3100:2009(리스크 관리 규격) : 목표에 대한 불 확실성의 영향
-
- ISO 9001:2015 서문(Foreword) : 긍정 또는 부정의 효과를 가지는 불확실성의 효과(the effect of uncertainty and any such uncertainty can have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한편 국제 표준화 기구의 기술위원회인 ISO TC/176/SC2 (www.iso.org/tc176/sc02/public)에서는 RBT를 언급한 후, RBT가 프로세스 접근법을 대체하며 예방조치에 대한 별 도의 절이 없음을 밝혔다. 현재까지 2015년에 개정된 ISO 9001의 규격과 관련된 학술적 연구는 문헌에서 찾아보기 가 어렵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ISO 9001:2015에서 강조한 RBT의 의미와 함께 리스크 평가 및 관리의 개념 을 검토하고 리스크 관리의 실행 전략을 제시하여 2015 년 개정 규격으로 전환 인증을 추진하는 기업의 품질경영 실무자 및 연구자들의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2장에서는 RBT의 기본적인 개념과 함께 리스크 기반의 QMS 도입 시 기대 효과를 예측하고 ISO 9001:2015 규격에서 리스크를 명 시한 절(Clauses)의 의미를 서술한 후, 조직의 현실적인 예를 들어 리스크 기반 사고의 6단계를 기술한다. 제 3 장에서는 위기분석학회(SRA; Society for Risk Analysis) 와 리스크 관리 규격 ISO 31000:2009와 연구문헌을 중심 으로 리스크의 평가, 척도화, 불확실성, 관리 전략, 프로 세스, 분석을 요약한다. 제 4장에서는 조직의 현실적 업 무에서 발생 가능한 구체적인 리스크를 열거한 후, 품질 경영 실무자들이 리스크 기반의 ISO 9001:2015를 실제 업무에 도입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 절차를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제 5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종합하 고 향후 연구방향을 서술한다.
2.리스크 기반 사고(RBT)
2.1.리스크 기반 사고 개요
전술한 바와 같이 ISO 9001:2015 개정 규격에서 가장 큰 특징 가운데 하나는 RBT를 강조한 것이다. 2008년 규격과 달리 개정 규격에서는 품질경영시스템의 요소들을 “예방 조치(prevention)”가 아닌 “리스크(risk)”의 개념으로 고려 하여 PDCA 사이클 속에 내재하는 품질경영시스템의 요 소들을 체계적으로 관리(systematic approach to risk)한다 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경영활동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RBT를 고려하지 않는 과정으로 적으면 <Figure 1>과 같다 :
RBT는 품질의 경영을 시작하는 설계부터 운용 후, 개 선하는 마지막 단계까지 시스템 전체 내부의 리스크를 식 별하여 고려하는 것을 의미한다. 시스템 내 모든 프로세 스의 리스크 수준이 동일하지 않으므로 각각의 프로세스 에 대한 리스크를 고려하여 세심한 주의와 체계적인 계획 과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리스크의 결과는 부정과 긍정 의 양면성을 갖고 있다. 즉, RBT는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 를 예방(prevent)하거나 감소(reduce)시키기 위하여 반응 (reactive)하는 것보다는 초기에 식별하고 조치함으로써 선행하여 조치(proactive)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신 년 매출 목표 수립에 대하여 RBT를 고려한 상황의 프로 세스는 <Figure 2>와 같다 :
그러므로 리스크 기반으로 QMS가 정립되었을 때는 예방조치는 이미 자동적으로 장착(built-in)되어 수행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RBT를 기반으로 한 QMS가 정착 되면 조직과 이해관계자들에게 다음의 기대효과를 예상 할 수 있다 :
2.2.ISO 9001:2015에 언급된 리스크 기반 사고
본 절에서는 리스크가 직접적으로 명시된 2015년 규 격의 각 절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가장 먼저 리스크가 나타나는 곳은 ISO 9001:2015 각 절에 대한 설명이 시작 되기 전 단계인 Introduction의 0.3 Process approach의 0.3.3 Risk-Based thinking 제목으로 명문화되어 있고 “조직은 위 기와 기회를 다루기 위한 조치를 계획하고 도입해야 한 다”라고 설명이 되어 있다.
다음으로는 4절부터 10절까지 리스크에 대하여 언급 되고 있는데 각 절에서 나타나는 리스크에 대한 설명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
-
4. Context of the organization(4절 조직상황)에서 조직은 QMS 운용에 요구되는 프로세스를 결정하고 리스크 및 기회를 다루어야 한다.
-
5. Leadership(5절 리더십)에서는 최고 경영자는 RBT의 식을 촉진하고 제품 및 서비스의 적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리스크 및 기회 그리고 고객만족을 증 진시키는 능력을 결정하고 다루어야 한다.
-
6. Planning(6절 기획)에서는 조직은 QMS를 기획할 때, 조직상황(4절)을 고려하여야 하며,
-
1) QMS가 의도된 결과를 달성할 수 있음을 보증,
-
2) 바람직한 영향의 증진,
-
3)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의 예방 또는 감소,
-
4) 개선달성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리스크 및 기회를 결정하여야 한다.
또한 조직은
-
-
7. Support(7절 지원)에서는 조직은 필요한 자원을 결정 하고 제공하여야 한다. 이 절에서는 리스크가 명시적 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는데 절의 설명 가운데 ‘적절 히(suitable or appropriate)’라는 표현이 있을 때는 리 스크가 암시적(implicit)으로 표현된 것을 의미한다.
-
8. Operation(8절 운영)에서는 조직은 6절 기획에서 결 정된 리스크 및 기회를 프로세스의 실행에 적용하여 야 한다.
-
9. Performance evaluation(9절 성과평가)에서는 조직은 리스크 및 기회를 다루기 위하여 취해진 조치의 효 과성을 모니터링, 측정, 분석 및 평가하여야 한다.
-
10. Improvement(10절 개선)에서는 조직은 바람직하지 않 은 영향을 시정, 예방 또는 감소하여야 하고 QMS를 개선하며 필요한 경우 리스크 및 기회를 계속적으로 갱신하여야 한다.
위에서 언급한 리스크의 설명에 이어 ISO 9001:2015 의 요구사항에서 “리스크(risk)”라는 용어가 직접 명시된 곳을 모두 열거하면 <Table 1>과 같고 표 안에 진한 글 씨로 risk를 나타냈다.
2.3.리스크 기반 사고의 6단계
ISO 9001:2015 규격은 조직에게 공식적인 리스크 관리 를 요구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ISO 31000:2009와 ISO 31010:2010 규격을 활용하면 리스크 사고를 기반으로 한 QMS 및 프로세스를 훨씬 더 체계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 [10, 11]. 리스크 기반 사고는 일반적으로 다음의 IUPICL 6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
위의 6단계에 따른 리스크 기반 사고를 예를 들어 설 명한다.
2.3.1.조직상황에 따른 리스크의 식별
식별 단계에서는 리스크는 조직에서 발생하는 상황에 따라 각각 다르게 다룰 수 있다. 앞의 예와 같이 신년 매출 목표 수립에 대한 리스크는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만 예견할 수 있는 리스크를 <Figure 3>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2.3.2.리스크의 이해 : 리스크 및 기회 간 균형, 리스크 분석 및 우선순위 설정
이해 단계에서는 리스크를 용인여부(acceptable or unacceptable) 로 분류하고 장단점(advantage, disadvantage)을 비교하여 이해한 다음, 목표를 정하고 우선순위를 부여 한다. 예를 들면 <Figure 4>와 같다 :
2.3.3.리스크 처리 계획
처리 계획 단계에서는 어떻게 리스크를 피하거나 제 거할 것인가? 또는 어떻게 리스크를 완화할 것인가? 등 의 계획을 수립한다. 예는 <Figure 5>와 같다 :
2.3.4.계획의 실행
실행 단계에서는 리스크를 처리하기 위하여 수립된 계획에 따라 실행한다. 예는 <Figure 6>과 같다 :
2.3.5.효과성의 확인
확인 단계에서는 리스크를 처리한 조치에 대하여 효 과의 유무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Figure 7>과 같다:
2.3.6.학습 및 개선
마지막 단계에서는 예상치 못한 다른 경제 사회적 환 경 변화에 따라 리스크 처리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여 지 속적으로 혁신적인 기회를 고려한다. 예를 들면 <Figure 8>과 같다 :
3.리스크의 관리
3.1.리스크 평가와 의사결정과학
리스크 평가와 관리는 1970년대 및 1980년대 이후 등장 하여 활발히 연구되고 있고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리스크 분석의 접근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전문가 그룹 으로서는 “Society for Risk Analysis”가 있다[20]. 리스크 의 중요한 연구 분야는 크게 다음 두 가지로 분류된다 :
-
특정 활동의 리스크 평가와 리스크 관리 연구
-
리스크의 이해, 평가, 특성화, 의사소통 및 관리를 위 한 개념, 이론, 프레임워크, 접근법 및 모형과 관련된 포괄적인 리스크의 연구.
Aven[5, 6]에서 위의 두 번째 포괄적인 리스크의 연구 는 첫 번째 연구인 특정 활동의 리스크 평가 및 관리에 사용되는 도구들을 포함하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Hansson and Aven[9]은 <Figure 9>의 사실과 가치 간의 연관성 모형을 통하여 리스크의 평가와 의사결정의 관계 를 설명하였다. 먼저, 어떤 현상에 관하여 실험 및 분석으 로 수집된 데이터와 정보는 증거로 활용된다. 관련 전문가 및 과학자는 증거를 연구와 분석과정을 통하여 지식으로 축적한다. 다음으로 증거와 지식을 활용한 심도 있는 연구 를 거쳐서 리스크 평가 단계에 도달한다. 의사결정자는 리 스크와 불확실성에 관한 가치를 고려하고 여러 가지 다른 주제의 정보를 종합하여 최종 검토와 결정 단계에 이른다. 위의 단계적 절차를 따라서 리스크에 대한 사실과 가치에 근거를 둔 최종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3.2.리스크의 정의와 척도화
SRA[18, 20]에서 발간한 전문용어집에는 다양한 기본 개념과 함께 전문용어의 질적 정의와 양적 측정을 분리하 여 수록하고 있다. 그 책자에는 리스크 개념에 초점을 맞 추어 확률, 취약성(vulnerability), 강건성(robustness) 및 탄 력성(resilience) 등의 용어로서 해설하고 있다. 또한 SRA 에서는 인간 가치의 관점에서 자연 현상을 포함한 시스템 운영 결과와 관련된 리스크를 정의하였다. 예를 들어 리 스크의 질적 정의를 사건 및 결과에 불확실성의 차원을 추가하여 다음의 일곱 가지로 표현하였다 :
-
불행 발생 가능성
-
원하지 않는 부정적 사건 결과의 실현 잠재성
-
불확실한 상황에 노출되어 손실 발생
-
활동의 결과와 관련된 불확실성
-
인간 가치의 관점에서 활동의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과 심각성
-
활동의 특정한 결과의 발생과 관련된 불확실성
-
기준 가치로부터의 편차와 관련된 불확실성.
국제표준화기구에서 발행한 리스크 관리에 관한 규격 인 ISO 31000:2009 Risk Management-Principles and Guidelines에서는 리스크를 “목표에 대한 불확실성의 영향”으 로 정의하고 있는데 이것은 위의 네 번째와 다섯 번째 정의의 좁은 의미로 볼 수 있다.
Aven[3, 6]는 리스크의 크기를 판단하기 위하여 리스 크를 측정하고 기술하기 위한 척도로서 다음의 두 가지 예를 제시하였다 :
Aven[6]은 리스크 정의를 다양하게 범주화하고 기술 하여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경우에 분석 방식이 의사결 정자를 잘못 판단하게 할 수 있으므로 기대 손실을 포함 한 의사결정 방법과 불확실성을 충분히 반영한 순수 확 률을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을 제안하고 있다.
3.3.리스크 평가에서 불확실성의 연구
불확실성의 변동 속에 내재된 우연 또는 불확실성에 대한 지식의 부족으로 인하여 리스크 분석에는 확률적 분석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Flage et al.[7]은 리스크를 평가할 때 불확실성을 표현하는 기술과 방향에 관한 연 구를 하였다. 여러 가지 확률적 접근 방법 가운데 불확실 성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베이지안 방법이 가장 보편적으 로 사용되고 구간 확률, 가능성 척도 및 질적 방법 등 다 양한 대안이 연구되고 있다[1, 2, 4, 15]. Lindley[15]는 임의의 리스크 A의 발생의 불확실성에 평가자의 주관적 인 확률을 부여하여 불확실성을 평가하는 직접 비교법을 사용하였다. 예를 들면 통계학 교재에 나타나듯이 P (A) = 0.3로 표현하였다. 이와 같이 불확실성에 대한 평가로서 전문가들은 주관적인 확률 또는 구간 확률을 활용하여 리스크를 평가한다.
한편, SRA[18]에서는 오늘날 불확실성에 대하여 비확 률적 표현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신 뢰성 있는 확률을 쉽게 결정할 수 없을 때 또는 불확실 성이 지나치게 큰 상황에서는 확률외의 다른 방법을 시 도한다. Avan and Nokland[1]는 불확실성 척도의 논리 적 근거로서 전통적인 중요도 척도와 개선 잠재성 및 Birmbaum 척도를 비교하는 새로운 형태 방법을 소개하 였다. Aven and Zio[2]는 리스크를 나타내는 모형에서 불확실성을 오류에 관한 불확실성으로 정의하고 함수의 형태로 g (x) - y로 표현하였다. 여기서 g (x)는 파라미터 x를 갖는 y의 모형, y는 평가하는 양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불확실성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 였다.
3.4.리스크 관리 전략과 프로세스
리스크 관리는 크게 두 범주인 리스크 관리 전략과 리 스크 관리 프로세스로 분류한다[18, 20]. 리스크를 관리 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다음의 세 가지 전략을 주로 사용 하고 대부분의 경우 세 가지 전략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
-
리스크 정보 활용(risk-informed) 전략
리스크 평가를 통해 리스크를 회피, 감소, 전달 및 보 유하여 리스크를 취급하는 전략
-
경계/예방(cautionary/precaution) 전략
대체품 개발, 안전 요인, 안전장치의 중복설계, 수단의 다양화 등의 대안을 갖는 시스템 설계와 비상 경영 등 적응을 위한 전략
-
광범위한(discursive) 전략
불확실성 및 모호성의 감소, 사실의 명확화, 영향을 받 는 사람들의 참여 등을 통해 신뢰를 구축하는 전략.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는 대부분의 리스크 분석 교재 나 ISO 31000:2009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다 음의 6단계로 구분한다 :
-
리스크 관리 활동 목적의 정의와 목표기준의 특정화
-
고려한 활동 및 정의한 목적에 영향을 주는 상황과 사 건의 식별-체크리스트, HAZOP(hazard and operability), FMEA(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등의 방법 할용
-
사건의 원인과 결과의 분석-FTA(fault tree analysis), ETA(event tree analysis), 베이지안 네트워크의 사용
-
사건과 결과의 가능성 판단과 리스크의 기술
-
리스크 중요도 판단을 위한 리스크의 평가
-
리스크의 취급
3.5.리스크 분석
리스크 분석의 일반적인 방법을 고려한다면 의사결정 분석의 도구인 C/B 분석, 비용과 효과성 분석, 다변량 분 석 등을 사용하여 리스크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방법들은 의사결정 대안의 장단점을 조직화하는 시스템 접근방법이지만, 명시적으로 비교문제에 어떤 요인들의 포함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리스크 분석 결과, 분석에서 누락된 문제들을 추가적으로 경영 검토와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신뢰성 공학의 교재[16, 17]나 ISO 31010:2009를 활용 하여 보다 과학적인 리스크 분석과 평가를 할 수 있다. 외국의 연구자들이 제안한 분석 방법으로서 Gilboa and Marinacci[8]는 의사 분석 접근법으로 리스크를 분석하였 는데 베이지안 기반의 불확실성하에서 의사결정에 대한 기대효용을 고려하였다. Klinke and Renn[14]은 리스크 형태와 관리 전략을 제시하면서 지연 효과, 피해의 분산, 리스크 이동의 잠재성 등을 고려한 불확실성과 피해의 측면에서 설명하였다. 각 리스크의 형태에 대하여 리스 크 관리 전략과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하여 전술한 세 가 지 주요 전략을 통합하였다.
4.리스크 관리의 실행
4.1.리스크 관리를 위한 준비
리스크 관리 전략은 각각의 조직의 상황에 적합하게 작성되고 효과적으로 리스크 관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지 속적으로 반복하여 보완하고 수정되어야 한다.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의 국제적 규격인 ISO 31000:2009는 리스크 관리의 프로세스가 조직의 지배구조, 전략 및 기획, 정 책, 가치와 문화에 맞도록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실행 하여 지속적으로 개선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리스크 관리를 조직에서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다 양한 양식이 있지만, <Figure 10>에 리스크 관리에 지침이 될 만한 영국의 글로벌 인증기관인 APMG International에 서 사용하는 리스크 관리 전략 양식을 제시한다. 주요 항 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4.1.1.목적(Purpose)
리스크 관리 기법 및 규격과 효과적인 리스크 관리 절 차를 얻기 위한 책임을 기술한다.
4.1.2.주의사항(Advice)
다음의 기준에 맞도록 프로젝트 개요, 업무 사례, 관리 층의 리스크 관리 가이드에서 도출한 리스크 관리 전략 을 명시한다 :
-
① 고객과 공급자가 이해할 수 있는 책임명시
-
② 이해가능한 리스크 관리 절차의 문서화
-
③ 명확한 척도, 기댓값, 접근성을 정의
-
④ 관리 수준을 위해 적절한 척도의 선택
-
⑤ 리스크 보고 요건의 정의.
4.1.3.개요(Introduction)
목적, 적용범위, 책임 및 권한을 명시한다.
4.2.맞춤형 리스크 관리 절차의 제안
조직에서 리스크 관리 절차를 전개하기 위해서는 리 스크 관리 업무 절차를 기술하고 조직의 관리에서 발생 하는 변동을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 ISO 9001:2015 해설 의 품질리스크경영과정의 개요에서는 일반적인 리스크 관리 절차를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다:
위의 개요에는 각 항목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과 함께 각 조직에 맞는 관리 방안을 실현하도록 명시만 하고, 구 체적인 절차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 현재까지 연구 문헌 에도 구체적인 실현 방법은 찾아보기 어렵고 다음의 일 반 사항만 나타난다 :
따라서 본 절에서는 RBT 기반의 ISO9001:2015를 효과 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조직의 업무에 따른 구체적인 리 스크들을 나열하고, 제 2.3절의 리스크 기반 사고 IUPICL 6단계를 근거로 다음과 같이 맞춤형의 실제적인 업무와 절차를 단계적으로 제안한다.
4.2.1.리스크의 식별(Identify)
리스크 식별 단계에서는 운영지원 책임자가 「조직상황 분석」 규정의 경영환경분석, 내․외부이슈 파악 절차로부 터 도출 가능한 중요 이슈와 이해관계자의 요구 및 기대사 항을 토대로 리스크를 파악해야 한다. 리스크 파악 대상은 조직의 업무 프로세스에서 수립 목표에 미달되거나 고객 불만족, 효율성의 저하, 자산/이익 측면의 손실 발생, 직원 안전 보건 또는 사기저하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모든 불완 전한 활동이 포함된다. 각 업무 별로 발생할 수 있는 중요 리스크의 구체적인 예를 <Table 2>에 제시하였다.
조직의 경영활동 중에 사업목표 달성 및 제품 및 서비 스, 프로세스 등 품질경영시스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 는 변경사항 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운영지원 책임자는 관련 업무의 책임자와 함께 리스크를 파악하여야 한다. 운영지원 책임자는 파악된 리스크에 대하여 각 업무별 리스크 내용에 따라 발생 원인과 영향을 구분하여 정리 하여야 한다.
4.2.2.리스크의 평가(Assess)
리스크 평가 단계에서는 발생되는 리스크에 대하여 리스크의 발생원인 및 영향을 분석하고 리스크의 수준을 평가한다.
-
① 리스크 발생원인 및 영향분석
운영지원 책임자와 각 부서 책임자는 리스크 항목별 로 리스크가 발생하거나 전개되는 과정(mechanism)을 파악한다. 또는 발생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 5W1H, 계통도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발생 과정과 원인의 연 계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리스크에 따른 영향과 결과에 다음을 포함하고 발생원인 및 영향에 대한 내용을 “위험”과 “기회”로 분류하여 「리스크 관 리대장」에 등록한다 :
-
② 리스크 수준의 평가
운영지원 책임자와 해당 부서의 책임자는 리스크의 영향과 발생 빈도에 대한 원활한 의사소통과 합리적 수준 평가로서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비즈니스 리스 크 행렬인 <Table 3>과 같은 리스크 심각성의 점수기 준에 따라 수준 등급을 정하고 점수를 부여한다.
또한 운영지원 책임자와 각 부서 책임자는 리스크의 원인에 대하여 발생 가능성을 추정하고 <Table 4>의 리스크 빈도의 점수화 기준에 따라 점수화 한 다음, 리스크 수준 평가결과는 「리스크 관리대장」에 기록 한다.
운영지원 책임자와 각 부서 책임자는 리스크 심각성 과 발생가능성 등급을 기준으로 <Table 5>를 이용하 여 리스크 등급을 결정한다. 등급 평가 결과 H 또는 S등급이거나 심각성 또는 발생 가능성 중 하나가 5등 급인 경우 중점 관리 대상으로 분류하고 대응 방안을 수립하여 관리한다. 리스크 분석 결과는 「위험 관리 대장」에 기록한다.
4.2.3.위험 대응방안의 수립(Plan)
위험 대응방안의 수립단계에서는 운영지원 책임자와 각 부서 책임자가 관리대상으로 등록된 리스크에 대하여 <Table 6>에 따라 대응방안을 수립한다. 운영지원 책임 자와 각 부서 책임자는 위험에 대한 대응방안이 “통제” 이거나 기회로서 대응이 필요한 경우, 구체적인 대응방 안을 수립하고 사업계획에 반영한다. 대응방안 수립 시 에는 적절한 기한 내에 완성되도록 하고 달성 가능한 방 안으로서 목표달성 여부의 측정 가능한 것이 되도록 한 다. 위험 대응방안 수립 결과는 「위험 관리대장」에 기록 한다.
4.2.4.위험 대응방안의 실행(Implement)
위험 대응방안의 실행단계에서 운영지원 책임자와 각 부 서 책임자는 다음을 포함하는 위험 대응방안을 실행한다.
운영지원 책임자와 각 부서 책임자는 대응방안의 실 행과정 및 완료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실행 결과를 최고 경영자에게 보고한다.
4.2.5.유지 및 관리(Communicate)
유지 및 관리단계에서 운영지원 책임자와 각 부서 책임자는 대응방안 실행 이후 잔여 위험의 존재 여부와 수준을 파악하고 그 수준을 평가한다. 잔여 위험이 감 내할 수준이 아닌 경우 리스크 분석 및 대응방안 수립 후, 다시 실행한다. 운영지원 책임자와 각 부서 책임자 는 위험 항목별로 사후 관리 필요 여부를 판단한다. 사 후관리가 필요한 경우 “위험 모니터링 포인트”를 수립 하고 「위험 관리대장」에 등록하며, 다음의 점검 및 조 치를 한다.
운영지원 책임자와 각 부서 책임자는 매년, 수시로 「위 험 관리대장」의 위험 처리 상태를 확인하여 예측하지 못한 중대 사고의 발생을 최소화 되도록 하여야 한다. 리스크 처리 이후 잔여 위험의 수준이 감내할 수준인 지 결정하여 감내할 수준이 아니면 감내할 만한 위험 이 남을 때까지 신규위험 처리방안을 수립하여 관리하 고, 처리의 효과를 확인하고 그 효과를 기초로 한 실행 관리 사항을 해당 프로세스에 기입하여 지속적으로 개 선한다.
4.2.6.기록(Records)
기록단계에서는 현재까지 발생한 리스크를 등록하고 기록한다. 관련된 모든 기록은 「품질기록관리」 규정에 의 거하여 기록하고 유지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맞춤형 리스크 관리의 모든 전개 과 정을 책임 및 권한, 설명과 함께 <Figure 11>에 리스크 관리 업무 흐름도를 요약하였다.
5.결 론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의 요구사항은 2015년에 개 정되어 현재 많은 조직들이 전환 인증심사를 추진하고 있다. ISO 9001:2015 개정 규격의 주요변화 가운데 가장 큰 특징은 “리스크 기반 사고(RBT: risk-based thinking)”에 근거하며 모든 ISO 표준들을 상위구조(HLS : high level structure)로 병렬화 한 것이다. RBT는 품질경영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을 “예방조치(prevention)”의 대상으로 고려 하지 않고 “리스크(risk)”의 개념으로 고려하여 PDCA 사 이클 속에 내재하는 품질경영시스템의 요소들을 시스템 적으로 선행적으로 관리한다는 의미이다.
ISO 9001:2015 개정 규격의 품질경영시스템을 도입하 려는 조직들은 RBT에 근거를 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개정 규격에서 리스크 단어가 나타나는 각 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의미를 살펴보았다. RBT는 바 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예방하는 것이 아니라 QMS의 설계 와 운용을 통해 처음부터 끝까지 통합적으로 리스크를 식 별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RBT의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 기 위하여 신년 매출 목표를 수립하는 예를 들어 (1) 리스 크 식별 → (2) 리스크 이해 → (3) 리스크 처리 계획 → (4) 계획의 실행 → (5) 효과성의 확인 → (6) 학습 및 개선의 리스크 기반 사고의 IUPICL 6단계에 맞추어 설명하였다.
리스크의 주요 주제인 리스크 평가와 의사결정과학, 리스크의 정의와 척도화, 리스크 평가에서 불확실성의 연구, 리스크 관리 전략과 프로세스, 리스크 분석에 관하 여 간략하게 언급하였다. 참고로 영국의 글로벌 인증기 관인 APMG-International에서 사용하는 리스크 관리 전 략의 양식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RBT에 기반한 ISO 9001:2015 규격을 도입하려는 조직의 품질경영 실무자들 이 실제로 활용 가능 하도록 발생 가능한 주요 리스크를 <Table 2>에 구체적으로 열거하고 <Table 3>~<Table 6> 에 리스크 수준의 결정과 대처 방안 등 맞춤형 리스크 관리 전개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품질경영 연구자와 실무자들에게 RBT의 개념을 확립시키고 리스크 관리를 적용할 수 있도록 ISO 9001:2015 규격의 (전환) 인증 사업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연구를 위해서는 현장에서의 조직상황에 맞는 리스크 관리에 대한 실태 조사 및 분석 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개별 실행에서 리스크 평 가 기법 및 도구들의 활용과 개발도 관심 있는 연구 주 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