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005-0461(Print)
ISSN : 2287-7975(Online)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ol.37 No.2 pp.62-69
DOI : https://doi.org/10.11627/jkise.2014.37.2.62

효과기반의 대기뢰전 무인화 체계 최적화 방안 연구

Sungpyo Hong*, Seonil Yoon**, Bongwan Choi*, Hyunseung Oh*
*Department of Industrial and Management Engineering, Hannam University
**LIG Nex1 Co., Ltd.
Corresponding Author : hsoh@hnu.kr
May 23, 2014 June 12, 2014

Abstract

The capability and cost effectiveness of UUV and USV bring to underwater survey, target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perations have been widely demonstrated and accepted in recent years. Future USV systems may deploy UUVs to gain the advantage of higher area coverage rates through multiple and simultaneous operations.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rchitecture of USV and UUV for mine countermeasure with results of measures on effectiveness.


A Study for Optimization Methodology of Unmanned System Architecture for Mine Countermeasure Based on Effectiveness

홍 성표*, 윤 선일**, 최 봉완*, 오 현승*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산업경영공학과
**LIG넥스원(주) Maritime연구소

초록


    1.서 론

    기뢰(Mine)는 적은 비용으로 획득이 가능한 경제적이 며 효과적인 무기체계로, 일반적인 수중유도무기처럼 표 적을 추적하지 않고 적이 기뢰에 접근할 때까지 기다리 기 때문에 위치확인이 어려운 무기체계다. 기뢰는 비용 대 효과의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부설에 비해 소해에서 훨씬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며 또한 위험이 동반되 는 전형적인 비대칭 위협이다. 그러나 현대의 해양전은 이러한 기뢰의 위협으로부터 지체될 수 없는 빠른 템포 의 기동전으로 패러다임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5].

    현대의 대기뢰전(MCM : Mine Countermeasure)은 효율 성과 기동력뿐만 아니라 안전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발전 하고 있으며 탐색용 자율무인잠수정(AUV :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기뢰제거용 원격제어잠수정(ROV : Remotely Operated Vehicle), 무인수상정(USV : Unmanned Surface Vehicle) 등이 활용되고 있다.

    1994년부터 2010년까지 군사용으로 개발된 무인잠수 정의 임무 비율을 분석한 결과 대기뢰전의 무인잠수정 활용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5, 11]. 대기뢰 전 임무 수행에 적합한 해군의 무인화 체계 개발을 위해 서는 운용개념, 체계 요구 성능 등에 M&S를 사용한 성 능 분석 및 효과도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3].

    본 논문에서는 대기뢰전 무인화 체계에 가장 적합한 무인잠수정(UUV : Unmanned Underwater Vehicle)의 운 용 속도, 시간, 음향센서 및 항법센서 등의 요구 성능을 효과도 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2.무인화 체계

    기뢰는 <Figure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화방식에 따 라 조종기뢰, 접촉기뢰 및 감응기뢰로, 부설위치에 따라 부유기뢰, 계류기뢰 및 해저기뢰로 그리고 부설수단에 의해 수상함, 잠수함 및 항공기부설기뢰로 분류할 수 있다[5].

    현대의 최신 기뢰는 성능향상을 통해 부설수심 증가, 탐지능력 향상, 파괴범위 확대, 대기뢰대항(MCCM : Mine Counter Countermeasure) 능력이 강화되어 자항, 복합화, 능동추척 운용개념의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다.

    또한 최신 기뢰의 발전에 따라 전통적인 기뢰대항전 체계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므로 무인잠수정, 무 인수상정 등의 무인화 체계를 이용하여 감시, 정찰, 탐지, 기뢰제거 등을 유기적으로 통합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인 명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무인잠수정과 무인수상정을 포함하는 무인해양정(UMV : Unmanned Marine Vehicle)은 <Figure 2>와 같이 크게 대 기뢰전과 해양안보 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8].

    2.1.무인잠수정

    무인잠수정은 수면을 기준으로 수중에서 임무를 수행 하며 모선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제어되 는 원격제어잠수정(ROV)과 주행경로를 자율적으로 설정 하고 주어진 임무를 주율성을 가지고 수행하는 자율무인 잠수정(AUV)으로 구분된다[6]. 무인잠수정은 다양한 플랫 폼에서 운용되며 다음과 같은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9].

    • 감시/정찰(ISR : Intelligenc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 대기뢰전(MCM : Mine Countermeasures)

    • 대잠전(ASW : Anti-Submarine Warfare)

    • 통신 및 항해 네트웍 노드(CN3 : Communication/Navigation Network Nodes)

    • 공격(TCS : Time Critical Strike)

    대기뢰전을 위한 무인잠수정은 매우 유연한 대응 능 력을 제공한다. 자율무인잠수정은 탐색용 고가의 장비를 탑재하여 기뢰를 탐색하고 원격제어잠수정은 저가로 기 뢰 근처에서 자폭하여 기뢰를 제거한다. 대기뢰전에는 수상함이나 헬기에 연동되어 운용되는 원격제어잠수정 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들 원격제어잠수정은 일반 케이블 또는 광섬유를 이용하여 운용자에 의해 조종된 다. 최근에는 무인잠수정이 기뢰탐색, 탐지, 분류, 제거 등 대기뢰전의 플랫폼으로 적용되고 있다. <Table 1>은 대기뢰전용 주요 무인잠수정에 관한 사항이다[7].

    2.2.무인수상정

    무인수상정은 네트웍 기반 전장환경에서 효과적이고, 중요한 무기체계이며 다음과 같은 주요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10].

    • 대기뢰전(MCM : Mine Countermeasures)

    • 대잠전(ASW : Anti-Submarine Warfare)

    • 해양안보(MS : Maritime Security)

    • 수상전투(SUW : Surface Warfare)

    무인수상정을 이용하면 안전한 작전 지역과 최단소해 항로(Q-Route)를 빠르고 넓게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무인 수상정을 무인잠수정과 동시에 운용하면 대기뢰전이 갖 는 위험한 임무에 적합하다. 이러한 무인화 체계 운용은 운용시간과 수중에서의 유연성을 제공하여 저비용으로 기뢰제거 능력과 소해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효과를 배 가시켜준다[10]. 또한 <Figure 3> 및 <Figure 4>에서 보 는 바와 같이 무인수상정은 무인잠수정의 진수 및 회수 에도 이용될 수 있다[1, 12]. 대기뢰전을 수행하는 무인 수상정은 <Table 2>와 같다.

    3.효과도 분석

    본 논문에서 목표로 하고 있는 대기뢰전 무인체계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효과도 분석은 공개되어있는 미 국 해군의 무인잠수정 기뢰탐색 작전 효과도 모델[2, 4] 을 기반으로 수행하였다. 미국 해군의 무인잠수정 기뢰 탐색 작전 효과도 모델은 ONR(Office of Naval Research) 로부터 지원을 받아 대기뢰전을 위한 다수 무인잠수정 의 운용 패러다임 범위를 정의하고 평가하기 위해 개발 되었다[2].

    대기뢰전 무인체계는 <Table 3>과 같이 구성하고 MATLAB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MCM1은 수상함에서 무인잠수정을 진수 및 회수를 하고 기뢰탐 색구역에서 무인잠수정 단독으로 기뢰탐색 작전을 수행 한다.

    관성항법(INS : Inertial Navigation System)은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로 구성되며, 이들 센서로부터 측정된 가 속도와 각속도를 이용하여 속도, 위치, 자세각 등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은 적분과정을 포함하기 때문에, 운 용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적분오차가 쌓이는 특성을 가 지고 있다. 따라서 관성항법 성능이 도달 오차에 영향 을 미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3]. 그러므로 MCM1은 관성항법과 DVL(Doppler Velocity Log)을 적용하기 때 문에 시간에 따라 항법오차가 증가하므로 주기적으로 위치보정을 위해 수면으로 부상하여 GPS 신호를 수 신한다.

    MCM2는 <Figure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인수상정 과 무인잠수정을 동시에 운용하는 개념으로 연동은 고속 수중통신 또는 광섬유를 이용한 유선통신을 적용한다. MCM2는 장시간 오차가 누적되지 않고 절대위치를 제공 하는 USBL(Ultra Short Base Line)을 적용하기 때문에 기 뢰탐색구역에서 무인잠수정은 주기적인 수면 부상을 하 지 않고 지속적으로 수중에서 기뢰탐색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USBL은 무인수상정에 장착된 트랜시버(transceiver) 와 무인잠수정에 탑재된 트랜스폰더(transponder) 로 구성되며 트랜시버는 펄스를 송신하고 트랜스폰더가 응답한 신호를 수신하여 무인잠수정의 거리와 방향을 측 정하여 위치를 계산한다. 무인수상정에 GPS, 자세측정장 치 등의 항법센서를 이용하여 트랜시버의 자세 및 위치 를 보상하면 보다 정확한 무인잠수정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MCM2 구성은 속도를 3노트와 5노트로 구분하여 효 과도분석을 수행하였다. MCM1은 항법오차 누적으로 인 해 주기적으로 수면으로 부상해서 GPS를 이용한 위치보 정을 일정 시간 동안 수행해야하기 때문에 MCM2와 비 교하여 탐색속도에서 큰 단점을 가지므로 MCM1은 3노 트 속도로 고정한다.

    효과척도(MOE : Measure of Effectiveness)는 임무수행 시간과 임무성취도를 선정하였으며 <Table 4>와 같이 Sub- MOE와 성능척도(MOP : Measure of Performance)의 관 계를 설정하였다. 임무수행시간은 Sub-MOE로 정의된 유 효 영역 탐색율로 체계 전체 운용 시 기뢰 탐지속도와 탐지구역으로 이동 속도를 적용하였으며 임무성취도는 탐색 수준과 위치 정확도 Sub-MOE를 적용하였다.

    기뢰탐색구역은 <Figure 6>과 같이 정의되며 Tmission은 진수 및 회수를 포함한 체계 전체 운용 시간을 의미한다.

    유효 영역 탐색율은 식 (1과 같으며,

    ACR eff = L search . W search T mission
    (1)

    식 (1에서 사용된 각 항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ACReff : Effective area coverage rate

    Lsearch, Wsearch : Search area

    Tmission : Total mission time

    임무성취도의 탐색 수준에 대한 sub-MOE와 MOP 관 계식은 아래 식 (2, 식 (3 및 식 (4와 같다.

    P search = 1 μ P imm 1 e MY
    (2)
    M = J . A . B D track
    (3)
    Y = 2 σ A . B . 0 ln 1 B . cnorm u + A 2 σ cnorm u A 2 σ du
    (4)

    위 식들에 표시되어 있는 각 항의 의미는 아래와 같다.

    Psearch : Percent search through identification

    μ : fraction of undetectable mines

    Pimm : probability of identifying a mine as mine

    M : Combined measure of area coverage level and detect/ class success

    J : number of runs per track

    A : sensor characteristic search width

    B : characteristic probability of detection/ classification

    Dtrack : ditance between tracks

    Y : Coefficient of MCM efficiency

    σ : std. of track keeping error

    cnorm : cumulativ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4.효과도 분석 결과

    예상되는 기뢰부설 위치를 식별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정형화된 탐색 패턴을 탐색 경로라고 정의 하고, 무인잠 수정의 기동 및 탑재 센서 특성을 고려한 탐색 패턴은 M자형, W자형, 4자형, 장방형, 정방형의 5가지 형태가 있다. 정밀탐색 시 최적의 탐색 패턴은 탐지율이 높은 장방형 패턴이다[6].

    본 논문에서는 탐색 경로가 겹치지 않고 단시간 내 탐 색을 완료할 수 있는 장방형(‘ㄹ’자) 탐색 패턴을 이용하 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기뢰탐색구역에서 탐색 트랙 간 거리를 결정하기 위 해 각 시스템 구성의 항법센서와 음향센서의 성능을 확인 하여야 한다. 음향센서는 측면주사소나(SSS : Side Scan Sonar)를 적용하여 200m 폭 이상으로 탐지 가능하며, 항 법성능은 10m이내 오차 조건으로 하여 무인잠수정이 트 랙을 벗어나지 않게 제한하였다.

    MCM1 시스템 구성은 수중에서 절대위치를 얻을 수 없고 주기적으로 수면 부상 후 GPS 보정을 수행해야 하 기 때문에 10m이내 위치오차를 가질 수 있는 주행 거리 를 확보해야 하며 이를 위한 시뮬레이션은 <Table 5>의 센서 성능을 가진 Honeywell 회사의 HG1700 전술급 RLG를 기준으로 수행하였다. DVL은 Teledyne RDI회사 제품을 적용하여 수중복합항법을 구성하였다.

    3kts 속도, 장방형 탐색 경로 주행 조건으로 MATLAB 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아래 <Figure 7>과 같이 위치오차 결과를 보였다. 10m CEP 성능을 가 지는 지점은 약 2,000m 주행 지점이며, MCM1 시스템은 2,000m 주행 마다 수면 위 부상하여 GPS 보정을 수행하 는 시나리오를 갖는다.

    효과도 분석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정하기 위해 필 요한 효과도 모델 인자들은 아래 <Table 6>과 같다.

    기뢰탐색구역은 1km×4km이며 MCM1 시스템은 아래 <Figure 8> 및 <Figure 9>과 같이 장방형 탐색 패턴을 주행 하면서 매 2,000m마다 수면 위로 부상하여 GPS 보정 후 다시 수심 20m로 이동하여 탐색을 계속한다. <Figure 10> 에서 무인잠수정이 GPS 보정을 수행하기 위해 수면으로 주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GPS 보정 후 잠항 전 수 면 부상하여 GPS 위치보정을 수행 시 기뢰탐색을 수행하 지 못한 트랙으로 되돌아가 모든 기뢰탐색구역을 빠짐없 이 탐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Figure 11>에서 무인잠수정 의 속도는 3kts임을 확인할 수 있다.

    MCM2 시스템은 <Figure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 인수상정이 수상에서 무인잠수정과 통신을 이용하여 USBL이 측정한 무인잠수정의 위치를 전송하여 위치오 차 1∼3m를 얻을 수 있다. 주행 시 무인수상정과 무인잠 수정이 일정 간격 유지해야 통신 및 USBL 성능을 보장 할 수 있다.

    아래 <Figure 13> 및 <Figure 14>에서 주행속도 3kts와 5kts를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5>는 속도에 따른 임무수행 시간 효과도 분석 을 나타내며 MCM2-5kt의 효과도가 가장 높다. <Figure 16>은 MCM1, MCM2에 측면주사소나를 공통으로 적용 하였기 때문에 운용방법과 관계없이 동일한 효과를 나타 낸다. <Figure 17>은 INS/DVL을 적용한 MCM1의 위치 오차가 USBL을 적용한 MCM2보다 큰 결과를 보였다.

    MCM1과 MCM2의 항법시스템 구성 시 최적의 성능과 비용을 고려한다면 <Table 7>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두 시스템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GPS, 압력센서, 항법컴 퓨터는 동일 제품을 적용한다.

    MCM1의 항법시스템은 <Figure 18>과 같이 Honeywell 회사의 전술급 IMU인 RLG타입의 HG1700와 RDI 회사 의 EXPLORER 시리즈를 이용하여 INS/DVL 항법필터 를 구성한다. MCM2의 항법시스템은 <Figure 19>와 같이 MicroStrain 회사의 AHRS인 3DM-GX3-25모델과 EVOLOGICS 회사의 S2CR 시리즈를 이용하여 INS/USBL 항 법필터를 구성하였다. MCM2의 무인잠수정은 절대값을 제공하는 USBL을 적용하고 추진전동기의 RPM 정보를 이용하면 고가의 관성항법장치나 DVL을 적용하지 않고 도 정확한 위치정확도를 얻을 수 있다.

    <Figure 20>은 MCM1과 MCM2의 항법시스템 구성 시 순수 비용과 시스템의 위치정확도를 나타내며 저가의 센서와 USBL을 적용한 MCM2가 저비용으로 우수한 성 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5.결 론

    본 논문에서는 해양기뢰 발전에 대응하기 위한 무인 수상정과 무인잠수정으로 구성된 대기뢰전 무인화 체계 운용개념 및 구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무인잠수정 단독 및 무인수상정과 무인잠수정 동시 운용에 대한 효과도 분석을 통하여 주행 속도에 따른 임무수행 시간과 항법 시스템 구성에 따른 위치측정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전통적인 대기뢰전 수행 시 많은 시간과 비용 소요 및 인명 손실 등 위험성을 무인수상정과 무인잠수정 등 무 인화체계를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운용시간 단축 및 저비 용으로 기뢰제거 능력과 소해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향후 과제로서는 측면주사소나(SSS) 이외 전방감시소 나(FLS : Forward Looking Sonar), 합성개구면소나(SAS : Synthetic Aperture Sonar)를 적용한 탐색임무성취도 분석 을 통한 무인체계의 제원 및 성능 도출 작업을 수행할 예정이다.

    Figure

    JKISE-37-62_F1.gif

    Types of Mine

    JKISE-37-62_F2.gif

    UMV by Mission Area

    JKISE-37-62_F3.gif

    Operation Concept of Single Sortie MCM consists of USV and UUV

    JKISE-37-62_F4.gif

    OwlII/ASH Deploying REMUS UUV

    JKISE-37-62_F5.gif

    UUV Navigation of MCM2

    JKISE-37-62_F6.gif

    Mine Search Area

    JKISE-37-62_F7.gif

    Position Error of INS/DVL

    JKISE-37-62_F8.gif

    Horizontal Trajectory of MCM1

    JKISE-37-62_F9.gif

    Search Trajectory of MCM1

    JKISE-37-62_F10.gif

    Vertical Trajectory of MCM1

    JKISE-37-62_F11.gif

    Velocity of MCM1

    JKISE-37-62_F12.gif

    Search Trajectory of MCM2

    JKISE-37-62_F13.gif

    Velocity of MCM2-3kt

    JKISE-37-62_F14.gif

    Velocity of MCM2-5kt

    JKISE-37-62_F15.gif

    Effective Area Coverage Rate

    JKISE-37-62_F16.gif

    Percent Search through Identification

    JKISE-37-62_F17.gif

    Position Error

    JKISE-37-62_F18.gif

    Navigation Sensors of MCM1

    JKISE-37-62_F19.gif

    Navigation Sensors of MCM2

    JKISE-37-62_F20.gif

    MOP vs. Cost for Case Two

    Table

    Example of Dedicated MCM UUV

    Example of MCM USV

    MCM System Configuration

    MOE-MOP Relationships

    Specification of Navigation Sensors

    Simulation Scenario Factor

    Configuration of Navigation Systems

    Reference

    1. Amit Motwani (2012) Survey of Uninhabited Surface Vehicles, Technical Report MIDAS SMSE,
    2. Gooding T (2001) Framework for Evaluating Advanced Search Concept for Multiple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AUV) Mine Countermeasures(MCM), MA, US : MIT,
    3. Hong S.P , Han Y.S (2013) Performance Analysis of Navigation System for Guidance and Control of High Speed Underwater Vehicle System , JKIICE, Vol.17 (2) ; pp.399-406
    4. Hwang A.R , Kim M.H , Lee S.Y , Yoon J.M , Kim C.K (2011) A Study on Unmaned Underwater Vehicle Operational Performance Analysis for Mine Search Operation , KIMST, Vol.14 (5) ; pp.781-787
    5. Lee K.Y (2011) An Analysis of Required Technologies for Developing Unmanned Mine Countermeasure System Based on the Unmanned Underwater Vehicle , KIMST, Vol.14 (4) ; pp.579-589
    6. Moon J.I (2014) A Study for Effective Methodology of The Search Pattern of AUV , Hannam University,
    7. Song K.S , Chu Peter C (2012) Conceptual Design of Future Undersea Unmanned Vehicle(UUV) System for Mine Disposal , IEEE SYSTEMS JOURNAL,
    8. DoD U.S (2013) Unmanned Systems Integrated Roadmap FY2013-2038,
    9. U.S. Navy (2004) The Navy Unmanned Undersea Vehicle (UUV) Master Plan,
    10. U.S. Navy (2007) The Navy Unmanned Surface Vehicle(USV) Master Plan,
    11. (2009) The World AUV Market Report 2010-2019, Douglas Westwood Ltd,
    12. Tom Swean Jr (2011) Enabling Revolutionary Naval Expeditionary Warfare Cap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