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005-0461(Print)
ISSN : 2287-7975(Online)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ol.38 No.3 pp.78-86
DOI : https://doi.org/10.11627/jkise.2015.38.3.78

A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Dispatching Rule-Based Advanced Planning and Scheduling (APS) System

Jae-yong Lee, Moonsoo Shin†
Department of Industrial and Management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shinms@hanbat.ac.kr
July 17, 2015 August 28, 2015 September 7, 2015

Abstract

Up-to-date business environment for manufacturers is very complex and rapidly changing. In other words, companies are facing a variety of changes, such as diversifying customer requirements, shortening product life cycles, and switching to small quantity batch production. In this situation, the companies are introducing the concept of JIT (just-in-time) to solve the problem of on-time production and on-time delivery for survival. Though many companies have introduced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s and MRP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systems, the performance of these systems seems to fall short of expectations. In this paper, the case study on introducing an APS (advanced planning and scheduling) system based on dispatching rules to a machining company and on finding a method to establish an efficient production schedule is presented. The case company has trouble creating an effective production plan and schedule, even though it is equipped with an MRP-based ERP system. The APS system is applied to CNC (computer numerical control) machines, which are key machines of the case company. The overall progres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we collect and analyze the master data on individual products and processes of the case company in order to build a production scheduling model. Second, we perform a pre-allocation simulation based on dispatching rules in order to calculate the priority of each order. Third, we perform a set of production simulations applying the priority value in order to evaluate production lead time and tardiness of pre-defined dispatching rules. Finally, we select the optimal dispatching rule suitable for work situation of the case company. As a result, an improved production schedule leads to an increase in production and reduced production lead time.


디스패칭 룰 기반의 Advanced Planning and Scheduling (APS) 시스템 활용 사례연구

이 재용, 신 문수†
한밭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초록


    Hanbat National University

    1.서 론

    오늘날 국내 제조업체들의 경영환경은 매우 복잡하며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기업들은 고객의 요구수준 다양화, 제품수명주기 단축, 다품종 소량생산체제로의 전환 등 다 양한 변화에 직면해있다. 그런데 치열한 경쟁 환경으로 인해 납기지연 비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어 재고수 준관리 중심의 생산계획 운영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하 지만 이는 재고 유지비와 잔업 인건비 등의 비용 상승을 초래하여 원가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소한의 재고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계획 및 일정관리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많은 기업들이 정시생산과 정시납 기를 시현하기 위해 JIT(just-in-time)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8]. 또한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시스템이나 MRP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시스템과 같은 계획시스템 을 도입함으로써 기업운영에 대한 통찰적 시각을 제공하 고 있지만 그 성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 는 대부분의 ERP 시스템은 생산과정을 통제하는 생산관리 프로세스로 기존의 MRP 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데 MRP 시스템을 통해 도출되는 계획은 여러 가정으로 인해 현장 적용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MRP 전개 과정에서 설비능력이 무한하다고 가정하며, 리드타임(lead time)이 고정되어 있고, 고객, 자재 및 제품들이 중요성 측면에서 모두 동일하다고 가정한다[13]. 따라서 MRP 시 스템이 수립한 생산계획은 자원의 실제 능력을 반영하지 않고 있으므로 실제 현장의 상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APS(advanced planning and scheduling)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15]. 그러나 소규모로 운영되는 중소제조기업의 경 우 APS의 도입을 통해 경쟁력 제고를 희망하고 있으나, 열악한 정보화 인프라 및 부족한 IT 기술의 활용도 등의 문제로 시스템 도입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스패칭 룰(dispatching rule)에 기초한 APS 시스템을 사례기업에 도입 및 적용하고, 실제 사례 기업의 마스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제 제품 생산라인에 서의 효율적인 계획 수립과 운영을 도모한다. 궁극적으 로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 시스템과의 비교분석을 실 시한다. 본 논문의 이후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2장에서 는 APS 시스템에 관련한 국내 연구동향을 살펴본다. 제 3장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사례기업에 실제 적용한 디스 패칭 룰 기반의 APS 시스템을 소개하고, 제 4장에서는 사례기업의 현황과 일정계획 시스템 구축 과정 및 기대 효과를 제시한다. 제 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 하고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기술한다.

    2.문헌 연구

    2.1.APS 시스템의 개요

    APS 시스템은 1990년대 전통적 MRP 시스템의 한계점 을 보완해 주는 대안적 도구로서 등장하였다 APS 시스템 은 전체적인 재고수준의 감축 및 재고회전율 향상을 도모 하고, 기업의 비용절감 및 생산성 증대를 목적으로 하는 자동화된 의사결정도구라고 할 수 있다[15]. APS 시스템 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급변하는 기업 환경에 서 여러 가지 현장의 요건들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변화된 상황에 따라 신속하게 계획을 수정 반 영할 수 있는 시스템적 지원체계의 역할을 제공한다[11]. 둘째, 각종 자재의 가용여부, 가공 및 처리를 통한 고객의 수요를 충족시켜주는 과정에서 작업장의 설비능력과 여 러 제약요건들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다[11]. 셋째, 인공 지능형 최적화 알고리즘 등이 탑재되어 생산현장의 기초 현황 정보를 기반으로 복잡한 생산계획 시나리오를 실시 간 비교분석 할 수 있는 what-if 시뮬레이션 기능을 갖추 고 있다[12]. 이러한 APS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환경에 효과적이다[11]. 1) 가용자원이 한정적이고, 고객의 주문 에 대한 납기가 중요한 환경, 2) 자본집약형 생산방식의 작업환경, 3) 작업순서가 중요한 연속생산 시스템 환경.

    2.2.APS 시스템 관련 연구동향

    최근 국내에서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생산계획 및 스 케줄링을 지원할 수 있는 APS 시스템의 구축 및 적용연 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20]. 특히 전자, 전기, 기계 등의 산업에 중점적으로 적용되어 왔으며 섬유, 화학, 소 비재 등의 분야로 다양하게 확산되고 있다[12]. <Table 1>은 최근 15년 동안의 APS 시스템 관련 국내연구 논문 을 다음 3가지 분류기준에 따라 요약한 것이다. 1) 시스 템 개발, 2) 현장 적용, 3) 시스템 분석.

    첫째, APS 시스템의 개발 분야 연구로는 정남기 외 [10]가 DBR(drum-buffer-rope)기반의 APS 시스템을 상세 히 설명하고, 모델링 내용을 제시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철민[9]은 유전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일정계획문제의 해 를 구하고 실제 자동 및 수동 생산일정계획을 위한 APS 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를 하였다. 유환주[21]는 선형계 획법 모델링에 대한 엔진과 제약 전파 알고리즘을 사용한 최적 탐색 알고리즘 엔진이 반영된 새로운 APS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둘째, APS 시스템의 현장 적용 연구로서 박문원 외[18] 는 주문형 반도체 생산 공장이나 인쇄회로기판의 제조공 장과 같은 매우 길고 복잡한 생산시스템에 대해 APS 시 스템의 일정계획 모듈을 제시하고, 시뮬레이션에 근거한 일정계획 모듈을 가지고 있는 APS 시스템에서의 납기산 정을 다루었다. 이상복 외[14]는 APS 시스템을 활용하여 주문생산환경 중심의 자동차 유리 제조업체에 적합한 스 케줄링 방법을 개발하였다. 조호진 외[4]는 공급사슬관리 (supply chain management) 환경에서의 APS 시스템 적용 연구를 진행하였다. 배상윤[1]은 중소기업의 정보화를 통 한 생산성, 납기 및 제조원가와 관련된 목표를 개선시키기 위한 APS 시스템의 활용방법을 제안하였다. 배상윤[2]은 ERP 시스템과 APS 시스템의 현장 적용성과 일정계획 모 듈의 효율성을 높이는 연구를 하였다. 하귀룡 외[5]는 조립 시스템에서의 총 납기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작업들 간 의 생산순서 결정을 위한 일정계획 문제를 다뤘다. 차동진 [3]은 공정관리시스템을 도입한 기업의 생산관리상의 특 징을 고찰하고 APS 도입이 공정관리시스템 구축에 영향 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신문수 외[19]는 중소제조기 업 환경을 고려한 시스템 개발 요구조건을 도출하고, 중 소제조기업의 맞춤형 생산스케줄링모형을 제안하였다.

    셋째, APS 시스템의 분석 연구로서 나홍범 외[16]는 APS 시스템 및 스케줄링 소프트웨어 개발을 목적으로 산 업별로 공정의 형태를 분석하고 그 특징들을 템플릿 형 태로 분류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강성룡[11]은 APS 시스 템의 개념, 기능 및 특성을 요약 및 정리하고, APS 시스 템의 응용사례들을 소개하여 APS 시스템의 동향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정훈 외[6]는 계층적 분석기법(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을 이용하여 다양한 APS 기능에 대한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도출하고 필수적 기능과 부가 적 기능을 구분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황덕형 외[7]는 정보시스템의 개선 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해 APS 시스 템을 적용하였으며, 다기준 의사결정법 기반의 요인 분 석 및 설계된 프로세스를 변압기 제조공정에 적용하여 분석연구를 진행하였다. 노경호 외[17]은 철강기업에서 운영 중인 APS의 구조와 성과에 대한 사례를 통한 설문 조사연구를 실시하였으며, SCM 성과에 대한 인지모형을 구축 및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처럼, 최근 15년 동안 APS 시스템 연구동향을 살펴 보면 주로 시스템 관리자들을 위한 연구와 APS 시스템 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대기업이 아닌 중소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한 보편화된 APS 시스템의 현장 적용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APS 시스템이 중소 제조기업에 유효한 스케줄링 시스템 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는 추세이다.

    3.디스패칭 룰 기반 APS 시스템

    3.1.기본 구조 및 특징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APS 시스템은 시간제약(timing constraints)을 기반으로 작업을 할당하는 디스패칭 알고리 즘을 탑재하고 있다. 제품의 공정경로를 기준으로 시작 가능 시점 및 납기를 단위작업에 순차적으로 전파(propagation) 하고, 각각의 단위작업을 주어진 시간제약에 따라 생산자원에 할당한다.

    <Figure 1>은 제시된 APS 시스템의 정보처리 프레임워 크를 나타내고 있다. 첫째, 주요 기준정보로는 생산자원 (resource), 제품(product), 부품(part), 생산자원 별 공정수행 능력(qualification) 정보와 공정정보가 있다. 공정정보는 제품 생산을 위한 단위공정(operation)과 제품별로 존재하 는 공정흐름도(BOP bill of process)로 구성되며, 공정별 작업시간 및 택트타임, 셋업시간 등의 시간 정보를 포함 한다. 부가적으로 불량률과 공정별 단위비용 등이 기준정 보에 포함된다. 둘째, 주요 입력정보로는 수주, 재공 및 재고 정보, 예약작업 정보 등이 있다. 셋째, 주요 산출정 보로는 공정별/설비별 작업일정과 시간별 작업 처리량에 대한 예측, 재공/재고 수준예측 및 설비/물류구간 별 부하 예측 등이 있다.

    제시된 APS 시스템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직관 적인 룰을 바탕으로 결과물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2) 빠 른 연산을 통해 상황에 따른 리스케줄링(rescheduling)이 용이하다. 3) 다양한 성능평가 인자를 통해 생산 스케줄 을 평가함으로 상황에 맞는 디스패칭 룰을 설정할 수 있다. 4) 공정흐름도의 편집 기능과 다양한 공정 라우팅(routing) 에 대한 시뮬레이션 분석기능을 제공한다. 5) 해당 단위 작업을 처리하는 생산자원이 복수일 경우에는 최적의 자 원을 선택할 수 있다.

    3.2.일정계획 수립

    본 연구가 제시하는 일정계획 수립 모형은 다음과 같 은 가정과 기호를 따른다.

    • 각 주문은 하나의 제품으로 구성되며, 동일한 제품에 대한 주문은 납기일이 서로 다르다.

    • 단위작업은 하나의 단위공정을 처리한다.

    • 공정흐름도를 기준으로 단위공정간에 선후행 관계가 존 재한다.

    • 동일한 단위공정도 제품에 따라 처리시간이 다르다.

    • 모든 설비는 상이한 원자재를 동시에 투입할 수 없고, 작업이 완료되기 전까지 중단하지 않는다.

    • 일정계획 시점 이후에 발생하는 설비의 고장은 고려하 지 않는다.

    • 일정계획 시점 이후에 발생하는 긴급발주는 고려하지 않는다.

    i : 제품번호(i = 1~I)

    ji : i 번 제품의 공정번호(j = 1~Ji)

    k : 주문번호(k = 1~K)

    m : 설비번호(m = 1~M)

    ik : 주문 k의 제품번호

    wk : 주문 k의 주문수량

    dk : 주문 k의 납기일

    sij : 제품 ij번 공정의 셋업시간

    nij : 제품 ij번 공정의 배치(batch) 크기

    pij : 제품 ij번 공정의 단위 처리시간

    bij : 제품 ij번째 공정의 단위 배치 처리시간

    Pkj : 주문 kj번째 공정의 총 처리시간

    Skj : 주문 kj번째 공정의 총 셋업시간

    Bkj : 주문 kj번째 공정의 총 배치 처리시간

    본 연구는 주문생산 방식을 기반으로 배치(batch)생산 형태의 제조 공정을 다룬다. 작업의 단위배치는 제품의 단위공정을 처리하기 위한 묶음단위를 의미하며, 배치단 위를 기준으로 셋업시간(sij)이 발생한다. 공정의 단위배치 처리시간은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한다.

    b ij = s ij + n ij × p ij
    (1)

    각각의 주문정보는 다음 항목으로 구성된다. 1) 제품정 보(ik), 2) 주문수량(wk), 3) 납기(dk). 제품 i에 대한 주문 k 의 단위공정 j에서의 총 공정처리시간(Pkj)과 총 셋업시간 (Skj), 총 배치 처리시간(Bkj)은 각각 다음과 같이 구한다.

    P kj = w k × p i kj
    (2)
    S kj = c k × S i kj
    (3)
    B kj = P kj + S kj
    (4)

    ckj는 주문 k의 처리를 위해 단위공정 j에서 발생한 셋 업 횟수를 의미하며, 이는 수립되는 일정계획에 따라 달 라진다.

    본 연구는 주문별 납기지연과 제조리드타임 단축을 목 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경험적 해법을 통해 총 셋업시간 (Skj)을 감소시키는 일정계획을 탐색한다. 일정계획 수립 절차는 주문별 우선순위 산출을 위한 선할당 시뮬레이션 과 주문별 우선순위를 반영한 디스패칭 룰 기반의 작업 할당 과정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기본 디스 패칭 룰은 다음과 같다. 1) EDD(earliest due date), 2) SPT (shortest processing time), 3) LPT(longest processing time), 4) LBPT(longest batch processing time). LBPT룰은 총 배 치처리시간(Bkj)이 가장 긴 작업부터 설비에 할당한다.

    선할당 시뮬레이션은 주문별 우선순위산출 문제를 단 순화하기 위해 병목이 발생하는 핵심 공정만을 대상으로 하며, 디스패칭 룰에 의해 주문별 작업 할당을 수행한다. SPT룰을 적용할 경우 선할당 시뮬레이션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먼저 병목공정에서의 총 공정처리시간(Pkj)이 짧 은 주문부터 가용 설비에 할당한다. 총 공정처리시간이 동일한 경우 단위 셋업시간(sij)이 짧은 주문부터 할당한다. 할당된 각 주문들에 대해서 총 셋업시간(Skj)과 총 배치 처리시간(Bkj)을 계산한다. 모든 주문에 대한 선할당이 종 료되면, 총 배치처리시간이 짧은 주문부터 높은 우선순 위를 부여하며, 총 배치처리시간이 같을 경우에는 총 셋 업시간이 짧은 주문에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우선 순위는 서수형 정수값으로 표현한다.

    선할당 시뮬레이션을 통해 주문별 우선순위가 산출되 면, 우선순위를 기준으로 디스패칭 룰에 따라 전체 공정 에 대한 작업할당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순위가 높은 주문부터 재공과 재고를 차감한 생산수량을 산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단위작업을 생성한다. 모든 단위작업은 작업가능시점과 납기 등의 시간제약을 가지며, 디스패칭 룰에 따라 가용 생산자원에 순차적으로 할당된다. 본 논 문에서 제시된 APS 시스템은 주문별 우선순위 값을 관 리자의 판단에 따라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4.사례연구

    4.1.사례기업의 현황

    본 연구는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선반을 이 용하여 자동차 및 전자식 계량기 관련 초정밀 샤프트를 개발하고 제작하는 중소 제조기업을 사례기업으로 선정 하여 수행되었다. 사례기업은 국내 완성차 제조기업의 3 차 협력업체로서 납기준수를 생산관리의 핵심 기준으로 삼고 있으며, 다량의 안전재고를 운용하고 있다. 이로 인 해 재고관련 비용이 매우 높은 실정이며, 재고수준 저감 을 시급한 과제로 설정하고 있다. 기존에는 공정처리시 간과 셋업시간이 각 제품별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생산계 획과 일정계획에 이를 반영하지 않고 있어 정확한 계획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계획에 대한 불 확실성이 높아 안전재고 수준을 낮추기 어려운 실정이 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효율적인 생산관리를 수 행하기 위해서는 계획에 대한 정합성 제고를 바탕으로 안전재고 수준의 감소가 시급하며, 효과적인 생산계획 및 일정계획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디스패칭 룰 기반의 APS 시스템을 사례기업 에 도입 적용함으로써 계획의 정합성과 작업할당의 효율 성 제고를 목표로 한다. 특히 사례기업이 보유한 핵심 설 비인 CNC 선반의 효율적인 일정계획수립 문제를 다룬다.

    4.2.일정계획 시스템 구축

    본 연구에서는 제시된 APS 시스템에 사례기업 환경에 최적인 디스패칭 룰을 적용함으로써 효과적인 일정계획 수립 체계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디스패칭 룰에 대한 시뮬레이션 분석을 실시한다. 즉 디스패칭 룰에 따 라 주문별 우선순위를 산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일정계 획을 수립한다. 수립된 일정계획은 평균 리드타임과 납 기지연 수준을 기준으로 평가하여 최적의 일정계획을 도 출한 디스패칭 룰을 시스템에 적용한다. <Figure 2>는 전 반적인 일정계획 시스템 구축 과정을 보이고 있으며, 주 요 과정은 다음 4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 1단계 : 데이터 모델링

    • 2단계 : 우선순위 산출

    • 3단계 : 일정계획 수립 시뮬레이션

    • 4단계 : 디스패칭 룰 선정

    4.2.1.데이터 모델링

    사례기업은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을 도입하여 제한적인 수준의 생산관리와 자재 및 출하관리 시스템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9기의 CNC 설비를 중심으 로 POP(point of production) 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시간 생산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그러나 POP에서 수집된 정보가 계획시스템으로 자동 연계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OP를 통해 수집된 생산 이력정보를 분석 함으로써 공정별 작업시간과 택트타임, 셋업시간 등을 추 출한다. POP가 구축되지 않은 이외 공정에 대해서는 현 장에서 실측한 값을 반영한다. 또한 BOP 구축을 위해 사 례기업에서 기존에 관리하던 BOM(bill of material) 정보 를 기준으로 공정간 연계 관계를 분석 적용한다. <Table 2> 는 2013년 9월 생산실적을 기준으로 추출한 CNC 공정의 시간 기반의 주요 기준정보를 보이고 있다.

    4.2.2.우선순위 산출

    우선순위 산출을 위해 선할당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이때 사례기업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몇 가지 가정을 추가 적용한다. 먼저 일정계획 수립시점에 모든 제품의 재공과 재고는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를 통해 연산을 단순화할 뿐만 아니라 재공과 재고의 정확한 수량 관리 가 어려운 한계를 해소한다. 또한 핵심 병목공정으로 CNC 선반 가공을 설정하며, CNC 설비의 기구적 특성에 따라 셋업시간과 배치구성을 조정한다. 사례기업이 보유한 CNC 설비는 둥근 막대 형태의 원재료를 가공하여 제품을 생 산한다. 원재료의 종류에 따라 셋업시간이 결정되며, 동 일한 원재료가 계속 사용될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셋업시간을 각각 1시간과 2시간으로 가정한다. 하나의 원재료에서 가공되는 수량은 제품에 따라 다르며, 그 수 량이 하나의 배치를 구성한다. 로딩(loading) 모듈의 특성 상 한번에 여러 단위의 원재료가 묶음으로 투입되어 연 속배치 생산이 이루어지며, 묶음으로 투입된 배치 간에는 셋업시간이 소요되지 않는다. 따라서 식 (1)을 다음과 같 이 바꾸어 적용한다.

    b kj = S ij + r ij × n ij × p ij
    (5)

    이때 rij는 제품 ij공정에서 원재료의 1회 투입 시의 묶음 수량을 의미한다.

    선할당 시뮬레이션을 통해 산출한 주문별 우선순위 값 은 <Table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이는 2013년 9월 기 준 실제 주문을 대상으로 다양한 디스패칭 룰에 따라 산 출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EDD룰을 SPT, LPT 그리고 LBPT룰과 조합하여 적용하였다. 기본적으로 납기준수가 매우 중요한 상황인데 주문별 납기가 동일한 경우가 많 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EDD(SPT)룰은 납기가 동일할 경우 공정처리시간이 짧은 주문을 우선 할당한다.

    4.2.3.일정계획 수립 시뮬레이션

    최적의 디스패칭 룰을 선정하기 위해 주문별 우선순 위 값을 적용한 일정계획 수립 시뮬레이션을 실시한다. 특히 APS 시스템을 통한 일정계획 수립 체계 구축의 효 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례기업의 현행 생산관리 모형을 개발하여 분석한다. 현행(as-is) 모형과의 비교분석을 통 해 기존의 생산관리 체계에서 반영하지 않던 다양한 시 간기반 기준정보 들이 추가적인 제약요소로 반영됨으로 써 계획의 성능이 오히려 저하되는 착시효과를 배제하기 위함이다. 현행 모형은 주문별 납기준수만을 목적으로 관리하는 현장의 특성을 반영하여 주문별 우선순위는 특 정하지 않고 EDD룰을 통해 일정계획을 수립한다. 각각 의 디스패칭 룰을 적용해 수립한 일정계획은 제조리드타 임과 납기지연 관점에서 분석, 평가한다. 이는 사례기업 이 납기준수를 생산관리의 핵심 기준으로 삼고 있으며, 긴급사건에 대한 납기 대응력 제고를 위해서는 리드타임 감소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Figure 3>은 APS 시스템을 통한 일정계획 수립 결과 로써 단위작업 간의 선후연계 관계를 보이고 있다. <Table 4>는 시뮬레이션 로그파일을 분석하여 산출한 주문별 납기지연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4.2.4.디스패칭 룰 선정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사례기업 환경에 최적인 디스패칭 룰을 선택한다. <Table 5>는 디스패칭 룰별로 평균 제조 리드타임과 평균 납기지연시간을 나타내고 있 으며, <Figure 4>는 현행 모형에서의 결과를 기준으로 산 출한 디스패칭 룰들의 제조리드타임 감소율과 납기지연 시간 감소율을 보이고 있다. 적용한 모든 룰에서 현행 모 형 대비 제조 리드타임 측면의 개선효과가 확인되었으며, 납기지연 측면에서는 SPT, LPT, LBPT, EDD(SPT), EDD (LBPT) 5개의 룰을 적용하였을 경우 현행 모형 대비 개선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EDD(LBPT) 룰은 제조 리드타임과 납기지연 측면에서 각각 6.74시간(8.53%)과 1.00시간(6.86%) 감소되는 효과를 보였으며, 이는 각각의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개선효과다. 따라서 EDD(LBPT) 룰 이 사례기업의 2013년 9월 환경에서 가장 적합한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EDD룰 고유의 납기 준수 지향성을 바탕으로 하며, 셋업시간을 포함하는 총 배치 처리시간이 짧은 작업을 우선 처리함으로써 셋업시 간을 최소화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4.3.기대효과

    본 연구를 통해 사례기업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 된 EDD(LBPT)룰을 적용할 경우 각 주문별로 제조 리드 타임이 감소됨에 따라 현재보다 시간당 작업 처리량이 증 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주문별 시간당 평균 작업 처리량은 현행 모형 기준의 일정계획에서는 242.74개이 고, EDD(LBPT)룰을 적용하였을 경우에는 260.61개이다.

    이때 주문별 시간당 평균 작업처리량은 각 주문들의 작 업처리수량을 주문별 제조리드타임으로 나누어서 산출 하였다. 따라서 각 주문별로 시간당 평균 작업처리개수 가 현행 모형 대비 약 17.87개(7.36%)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사례기업은 계획의 정합성 향상을 전제로 안전재 고수준의 30% 절감을 계획하고 있다. 이 경우 재고관리 및 이에 관련한 인건비 지출 등에서 매월 약 372만 원 절 감이 기대된다. 기존 재고수준의 자산가치는 월 단위로 약 2억 원 수준이며, 재고의 관리비용은 이의 2% 수준으 로 추산되어 매월 약 4백만 원에 이른다. 따라서 매월 약 120만 원 가량의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에 재 고관리를 위해 매월 700시간 가량의 초과근무가 발생하 였으며, 시간 당 초과근무 비용은 1.2만 원이다. 재고수준 이 30% 절감됨에 따라 초과근무 소요 시간이 동일한 비 율로 감소할 경우 252만 원의 초과근무비용 절감이 가능 하다.

    5.결 론

    오늘날 국내 제조업체들의 시장 속 경쟁은 점점 치열 해지고 있다. 그 동안 국내외 많은 기업들은 ERP 시스템 이나 MRP 시스템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그 성과 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디스패칭 룰에 기초한 APS 시스템을 절삭가 공업체인 사례기업에 도입, 적용해봄으로써 효율적인 생 산일정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한 APS 시스템의 도입 과정은 다 음과 같다. 첫째, 효율적인 일정계획을 구축하기 위해 대상 기업의 각 제품별 및 공정별 마스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각 데이터들의 환산 및 모듈화 작업을 실시한다. 둘째, 각 주문별 작업우선순위 산출을 위해 디스패칭 룰을 적용한 선할당 시뮬레이션을 실시한다. 셋째, 최적의 디스패칭 룰 을 선정하기 위해 대상 기업의 각 주문별 우선순위 값을 적용한 일정계획 수립 시뮬레이션을 실시한다. 끝으로, 제 조리드타임과 납기지연 관점에서 대상 기업의 작업상황 에 적합한 최적의 디스패칭 룰을 선정한다. 이러한 진행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선정된 EDD(LBPT)룰을 대상 기 업의 제품생산에 적용할 경우 각 주문별 평균 작업처리 량이 7.36% 상승할 것으로 기대되며, 제조리드타임과 납 기지연시간의 감소가 기대된다. 또한 잔업시간 및 재고 유지비 감소 등을 통해 연간 약 4,464만 원의 비용이 절 감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이 디스패칭 룰 기반의 APS 시스템을 중소 제 조기업에 도입 및 적용하게 되면 각 기업들의 생산환경을 자세히 분석할 수 있으며, 특히 기업의 목적에 맞게 여러 디스패칭 로직을 설계하고, 시뮬레이션 비교분석을 통한 최적의 룰을 선정할 수 있다. 다만 디스패칭 룰은 주어진 환경에 따라 적용 결과가 다르므로 향후연구를 통해 다 양한 주문 특성에 대한 비교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중소 기업의 특성상 생산현장의 모든 상황을 전산화하여 관리 하기 어려운 실정이므로 향후 연구주제로서 APS 시스템 과 기존의 생산계획시스템(ERP 등)과의 연계를 통한 적 정재고 수준 결정, APS 시스템 관련 데이터 입력양식 개 발, CNC 설비 인력배치관리, 셋업시간 감소 방안 연구가 필요하다.

    Figure

    Information Processing Framework[19]

    Production Scheduling Procedure

    Task-Based Gantt Chart

    Reduction Ratio

    Table

    Classification of Researches on APS System

    Time-Based Master Data of CNC Operation

    Priority Values from Pre-Allocation Simulation

    Tardiness Level of Individual Orders(hours)

    Experimental Results(hour)

    Reference

    1. Bae SY (2005) Practical Goals and Approaches for the Informatization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ol.28 (4) ; pp.41-47
    2. Bae SY (2006) The Information of Dispatching Rules for Improving Job Shop Performance ,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ol.29 (4) ; pp.107-112
    3. Cha DJ (2007)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ERP, MESand APS Solution-purposed to Present a Selection Guidefor Production Control Solution. [master’s thesis]. [Korea] :Department of Management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4. Cho HJ , Park SM , Nam HK (2004) The Application of APS(Advanced Planning and Scheduling) based on DBR(Drum-Buffer-Rope) in SCM Environment , Journal of the Korean Supply Chain Management, pp.83-91
    5. Ha GR , Park HJ , Yoon SH (2007) Minimizing Total Tardiness in a Two Stage Assembly-type Flow Shop Scheduling Problem , Proceeding of Spring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Conference, Vol.19 (5) ; pp.683-689
    6. Ha JH , Lee YG , Ok CS (2011) An Improvement on The Advanced Planning and Scheduling u sing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ol.34 (3) ; pp.123-133
    7. Hwang DH , Nam SD , Cho YW , Oh SI , La SH , Kang KS (2012) A Study on the Process Design of Advanced Planning and Scheduling for Transformer Operation Improvement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Vol.14 (2) ; pp.159-166
    8. Ji YJ (2004) TOC/JIT/MRPintegration model for flexible productionscheduling under dynamic manufacturing environment.[master’s thesis]. [Gimhae, Korea] : Departmentof Broadb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je University,
    9. Joo CM (200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APS System for Job Shops , Proceeding of Spring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Conference, Vol.16 ( 2) ; pp.64-66
    10. Jung NK , Choi JK , Jung SH , Kim SJ (2001) A Study of APS System Design based on the TOC DBR , Proceeding of Spring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Conference, Vol.13 (4) ; pp.490-493
    11. Kang SR (2010) APS Concept and Applications , Review of Industry and Management, Vol.22 (2) ; pp.61-75
    12. Kang YS , Lee HJ , Moon KW , Noh SK , Lim HW (2002) Advanced Planning System : A Prerequisite for Achieving Build-to-Order Environment , Proceeding of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Vol.10; pp.93-96
    13. Kung L , Chern C (2009) Heuristic Factory Planning Algorithm for Advanced Planning and Scheduling , Computers and Operational Research, Vol.36 (9) ; pp.2513-253
    14. Lee SB , Jung IS , Wang GN (2004) The Implementation of Scheduling System Under MTO(make to order) Production System , Proceeding of Autumn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Conference, Vol.15 (11) ; pp.424-429
    15. Musselman KJ , Reilly O , Duket S (2002) The Role of Simulation in Advanced Planning and Scheduling , Proceeding of Winter Simulation Conference, Vol.2; pp.1825-1830
    16. Na HB , Seo JW , Park CK , Park JW (2008) A Study on Developing Scheduling Software According to Industrial Characteristics , Proceeding of Spring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Vol.6; pp.917-918
    17. No GH , Park ST , Kim TU (2014) Analysis of the Structure and Impact of SCM Advanced Planning System : Lessons from POSCO Cas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 pp.145-155
    18. Park MW , Choi SH , Lee GC , Kim YD (2002) An Order Promising Procedure for Simulation-based Scheduling Systems , Proceeding of Spring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Vol.14 ( 5) ; pp.103-108
    19. Shin MS , Bae SM , Choi SW , Lee HJ (2013) Development of Dispatching Rule-based Production Scheduler for Small and Medium Sized Manufacturing Company , Proceeding of Autumn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Technology Engineers Conference, Vol.10; pp.335-335
    20. Steinaecker JV , Kuhner M (2001) Supply Chain Management- Revolution oder Modewort?, The Publisher Vieweg+Teubner Verlag,
    21. Yoo HJ (2010) SyncPlant APS Overview , Proceeding of Autumn the Korean Science and Financial Engineering Conference, Vol.10; pp.330-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