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005-0461(Print)
ISSN : 2287-7975(Online)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ol.37 No.4 pp.63-71
DOI : https://doi.org/10.11627/jkise.2014.37.4.63

Optimal Machine Operation Planning under Time-based Electricity Rates

Inho Kim, Changsoo Ok†
Industrial Engineering, Hongi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okcs@hongik.ac.kr
August 29, 2014 October 8, 2014 October 8, 2014

Abstract

As power consumption increases, more power utilities are required to satisfy the demand and consequently results in tremendous cost to build the utilities. Another issue in construction of power utilities to meet the peak demand is an inefficiency caused by surplus power during non-peak time. Therefore, most power company considers power demand management with time-based electricity rate policy which applies different rate over time. This paper considers an optimal machine operation problem under the time-based electricity rates. In TOC (Theory of Constraints), the production capacities of all machines are limited to one of the bottleneck machine to minimize the WIP (work in process). In the situation, other machines except the bottleneck are able to stop their operations without any throughput loss of the whole manufacturing line for saving power utility cost. To consider this problem three integer programming models are introduced. The three models include (1) line shutdown, (2) block shutdown, and (3) individual machine shutdown. We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IP models through diverse experiments, by comparing with a TOC-based machine operation planning considered as a current model.


시간대별 차등 전기요금을 고려한 최소비용 장비운용계획

김 인호, 옥 창수†
홍익대학교 산업공학과

초록


    Hongik University

    1.서 론

    해마다 전력수요는 증가 하고 있다. 2000년 이후로는 최대 전력수요량이 발전설비 증설속도 보다 빠르게 증가 하면서 전력수급에 여유분이 점점 감소하고 있다. 2000 년~2011년 기간 중에 하계 전력수요는 연평균 5.3% 증 가하고 있고, 동계 최대 전력수요는 5.7% 증가한 반면에 발전설비용량은 연평균 4.6% 증가하는데 그쳤다[15]. 실 례로 2010년 겨울 예비율이 최저 404만kw, 5.5%까지 떨 어져 피크시간 대 전력부족으로 인한 블랙아웃의 가능성 해마다 전력수요는 증가 하고 있다. 2000년 이후로는 최대 전력수요량이 발전설비 증설속도 보다 빠르게 증가 하면서 전력수급에 여유분이 점점 감소하고 있다. 2000 년~2011년 기간 중에 하계 전력수요는 연평균 5.3% 증 가하고 있고, 동계 최대 전력수요는 5.7% 증가한 반면에 발전설비용량은 연평균 4.6% 증가하는데 그쳤다[15]. 실 례로 2010년 겨울 예비율이 최저 404만kw, 5.5%까지 떨 어져 피크시간 대 전력부족으로 인한 블랙아웃의 가능성

    이와 같은 피크 시간대의 전력부족 문제는 다음 두 가 지 방안을 통하여 해결될 수 있다. 먼저, 발전설비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여 충분한 최대 발전량 확보하고 이를 통하 여 피크 시간대의 전력 수요에 대비하는 방법이다. 그러 나 이러한 접근방법은 막대한 건설비용이 요구되고 피크 시간 이외의 시간대에 발생하는 잉여전기로 인한 비효율 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5]. 두 번째는 시간대별 차등가 격을 적용하여 부하가 많은 시간대의 전력 수요를 다른 시간대로 분산시키는 방법이다[1]. 계절별로 차등 요율을 적용하거나 심야 할인을 통한 심야전력 사용을 유도하는 방법, 미리 약정을 통하여 일정기간 일정량의 전력을 줄 이면 요금을 경감해주는 제도도 여기에 해당된다. 미국 등 여러 나라에서 시간대별 차등 요금제와 피크타임 요금제 를 도입으로 최대 전력수요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으 며 최근 실시간요금제의 도입도 적극 검토되고 있다[7].1

    우리나라에서도 수요관리의 활성화와 실효성 강화를 위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4, 9, 14]. 하계휴가나 설비보 수기간을 최대전력량이 예상되는 기간에 시행하여 일정 전력량 이상 사용량을 줄이면 보상금을 주는 제도를 시행 하여 이 효과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었다[6, 13]. 또한 이 지원제도의 지원금에 따른 기업의 참여도가 달라진다는 연구결과도 있다[12]. 이와 함께 시간대별 차등 요금제에 대한 적극적인 도입도 함께 고려되고 있다[9, 14].

    이와 같은 시간대별 차등 요금체계는 많은 전기를 사 용하는 제조공장 입장에서 전기요금 절감을 위한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고 이는 적절한 장비운용계획을 통해 달 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공장은 피크타임 또는 전 기 요금이 비싼 시간대에 생산량을 낮춰 전력사용을 줄 이고, 전기요금이 싼 시간대에 생산을 늘리면 생산 비용 을 줄이면서 생산량을 유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 많은 제조업체에서 활용 하고 있는 제약이론의 DBR 기법이 적용된 공장을 대상 으로 시간대별 차등 전기요금 체계가 주어졌을 때 최소 전력 비용 장비 운영계획 문제를 다룬다. 다시 말해, 시 간대별 차등 요금 체계가 주어졌을 때 산출량을 유지하 면서, 전기요금을 포함한 생산비용을 최소화 하는 수리 모형을 제안하고 그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2.Drum-Buffer-Rope(DBR)

    Theory Of Constraints(TOC)는 Eliyahu M. Goldratt에 의해 제안된 기법으로 1984년에 출판한 Eliyahu M. Goldratt 의 The Goal에서 처음 소개되었다. TOC는 시스템의 목 표를 달성하는데 제약이 되는 요인을 개선함으로써, 단 기간에 가시적인 경영성과가 얻고, 장기적으로는 지속적 인 경영개선을 추구하여 시스템의 전체 최적화를 달성하 는 프로세스 중심의 경영혁신 기법이다[2].

    DBR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드럼(Drum) : 제약공정에 해당한다. 작업여부를 알려 주는 역할을 한다.

    • 버퍼(Buffer) : 제약공정 앞에 위치하며 완충역할을 한다.

    • 로프(Rope) : 작업시기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TOC를 적용하는데 사용하는 기법 중 하나인 Drum-Buffer- Rope(DBR)은 전체 생산 흐름을 병목공정에 맞추어 중간 에 불필요한 재고를 갖고 있지 않게 만든다. <Figure 2>는 일렬의 공정에서 C가 병목공정일 경우에 Drum, Buffer, Rope의 위치를 나타낸 예시이다. 병목공정이 드럼이 되 어 작업이 진행됨을 알리고, 버퍼가 일정수준 이상 차게 되면 로프를 이용하여 공정의 투입량을 조절한다. 이를 통 해서 전제공정 안의 재고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성 향상과 생산 리드타임 감소, 재공품재고 감소 등 의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3]. 기존의 DBR에서 로프 부분을 JIT(Just In Time)의 Kanban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JIT에서 재공품 재고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 는 Kanban을 이용하여 DBR에서 로프가 하는 역할을 대 신 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8].

    이러한 연구 외에도 버퍼를 드럼 앞에만 설치하는 것 이 아니라 드럼 뒤에도 설치해서 병목공정 뒤의 공정에 도 여유를 주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일렬의 공정에서 병목공정 뒤에 버퍼를 추가함으로써 병목공정 이외의 모 든 공정들의 생산 유연성을 확보하여 탄력적인 요금에도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하게 한다[11].

    3.시간대별 차등 전기요금을 고려한 장비운용 계획 모형

    시간대별 차등 전기요금제가 실시되면 어떤 시간에 제품을 생산하는 지에 따라 생산비용이 달라질 수 있으 므로 이를 고려한 새로운 장비운용계획이 필요하다. 따라 서 시간대별 차등 전기요금이 주어진 경우 산출량은 유지 하면서 생산비용 최소화를 위한 장비운용계획 모형을 제 안하고 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Figure 3>과 같은 일렬 제조 공정을 고려한다.

    본 논문에서는 단순한 제조공정을 대상으로 모형을 수립하고 있으나 모형과 결과에 변화 없이 보다 현실적 인 다양한 제조 공정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장비운용 계 획 모형의 수립을 위하여 다음을 가정한다.

    • 모든 제품은 순차적으로 전 기계를 거쳐 완성된다.

    • 특정시간 동안 가공 완료된 재공품은 로트단위로 후속 공정으로 전달되어 그 다음시간에 가공된다. 따라서, 후속 공정들은 즉시 가동 시작을 위하여 일정량의 기 본 재고를 보유하고 이 재고량은 각 회사에서 채용하고 있는 재고 정책에 따라 결정된다.

    • 고려하는 생산라인은 TOC 기법을 도입하여 재고량 최 소화를 위해 모든 기계는 병목공정의 생산능력만큼 생 산한다.

    • 전기 사용 비용은 장비의 기동 시 고정비가 발생하고 생산량에 비례하여 변동비가 발생한다. 이 전기 비용 모형은 장비 전력 소비 패턴에 따라 다른 모형으로 대 체될 수 있다.

    • 최종재고는 초기 재고와 같다. 산출량을 유지하면서 비 용 최소화하기 위해 재고를 활용하는 의사결정을 방지 하기 위하여 장비 별로 최종 재고를 초기재고와 같도록 하여 순수 생산량을 통해 산출량을 유지하도록 한다.

    주어진 가정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체 라인의 산출량을 유지하면서 비용을 최소화하는 문제를 다음 세 가지 모형으로 고려한다. 첫 번째는 라인 셧다운 모형으 로 어떤 시간 동안 병목공정을 제외한 라인 전체가 정지 할 것인지와 정지시간 동안 산출량 손실을 만회하기 위 한 기계별 생산량을 결정하는 모형을 제시 한다(제 3.1 절). 두 번째는 공정 블록 제어 모형으로 전체 공정을 병 목 전 공정과 병목 후 공정으로 나누어진 각 그룹에 대 한 정지시간 및 생산량을 결정하는 모형을 제안한다(제 3.2절). 마지막은 개별 기계 제어 모형으로 생산라인의 모 든 장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장비 별로 정지시간과 생 산량을 결정하는 모형을 제시한다(제 3.3절).

    3.1.라인 셧다운 모형

    라인 셧다운 모형(Line Shutdown Model, LSM)은 생산 비용 절감을 위하여 병목공정을 제외한 모든 공정이 동 시에 가동 혹은 정지되는 모형이다. 이 모형에서는 산출 량의 유지하기 위해 병목공정은 계속 생산을 유지하는 반면 병목공정을 제외한 모든 공정 기계들이 동시에 정 지하는 것을 고려한다.

    3.1.1.

    최적화 모형 수립을 위해 필요한 변수와 파라미터 정 의는 다음과 같다.

    Ij, k : 기계 j의 기간 k말 재고량

    Pj, k : 기계 j의 기간 k동안 생산량

    PCj : 기계 j의 최대생산용량

    Yk : 기간 k의 병목공정을 제외한 기계의 가동 여부

    SCk : 기간 k의 준비작업 발생 여부

    TUCj, k : 기계 j의 기간 k의 발생 전력 비용

    UCPj, k : 기계 j의 기간 k의 제품당 발생 전력비용

    UCk : 기간 k의 기계 가동시 발생 전력비용

    TT : 목표 산출량

    3.1.2.재고량

    최종공정기계를 제외한 기계 j의 기간 k의 재고량 Ij, k는 기계 j의 이전 기간 k - 1의 재고량 Ij, k-1과 기계 j의 이번 기간 k의 생산량 Pj, k와 합에서 다음기계 j + 1의 이번 기간 k의 생산량 Pj+1,k를 빼서 결정한다.

    I j , k = I j , k 1 + P j , k P j + 1 , k for j = 11 , 2 , ..., m 1 , k = 1 , 2 , 3 , ..., t
    (1)

    3.1.3.완성품재고

    최종공정기계 m의 기간 k의 기말재고 Im,k는 최종공 정기계 m의 기간 k의 생산량 Pm,k와 최종공정기계 m의 이전기간 k - 1의 재고 Im,k-1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최종공정기계의 기간별 기말재고는 그 기간까지의 전체 공정의 산출량 또는 완성품 재고를 의미한다.

    I m , 0 = 0 I m , k = P m , k + I m , k 1 for  k = 1 , 2 , ..., t
    (2)

    3.1.4.생산량 제약조건

    모든 장비는 활용 가능한 재고보다 많이 생산할 수 없으 므로 기계 j의 기간 k의 생산량 Pj, k는 선행 기계 j - 1의 기간 k - 1의 기말 재고량 Ij-1,k-1보다 작거나 같다.

    P j , k I j 1 , k 1 for j = 2 , 3 , ..., m , k = 2 , 3 , ..., t
    (3)

    병목기계는 기본 가정에 따라 항상 생산용량 PCb만큼 생산한다. 또한 기계 j의 기간 k의 생산량 Pj, k는 생산여 부 Yk에 따라 0에서 기계 j의 생산용량인 PCj까지만 생 산할 수 있다.

    P j , k = PC b fork = 1 , 2 , ..., t y k P j , k PC j . Y k for j = 1 , 2 , ..., m , k = 1 , 2 , ..., t
    (4)

    3.1.5.준비비용

    첫 기간에 생산준비가 필요한지를 나타내는 SC1은 기 계들이 첫 기간에 생산 하는지를 나타내는 Y1를 따른다. 이후 기간 k에 기계들이 생산준비가 필요한지여부 SCk는 기간 에 가동을 했는지 여부 Yk와 이전기간 k - 1에 가 동을 했는지 여부 Yk-1와의 차를 통해서 알아 낼 수 있고, 이를 제약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SC 1 = Y 1 , SC k Y k Y k 1 for k = 2 , 3 , ..., t
    (5)

    3.1.6.생산비용

    생산비용은 앞에서 가정한 바와 같이 제품의 생산량에 따라 발생하는 가변 전력비용과 기동 시 발생하는 고정 비용의 합으로 정의 한다. 제품의 생산량에 따라 발생하 는 전력비용은 기계 j의 기간 k에 생산단위당 들어가는 비용 UCPj, k와 생산량 Pj, k의 곱으로 나타내고, 기동 시 발생하는 비용은 기간 k에 가동 시 발생비용 UCk와 기간 k에 생산했는지 여부 Yk의 곱으로 나타낸다. 이 두 비용 을 합하면 기계 j가 기간 k에 발생한 전력비용 TUCj, k를 구할 수 있다. 병목기계 b의 경우는 모든 기간 k에 대해 서 생산을 한다고 가정했기 때문에 병목기계 b의 전력비 용은 단위당 발생하는 비용 UCPb,k와 생산량 Pb,k의 곱과 기간 k에 기동 시 발생비용 UCk의 합으로 나타낸다.

    TUC j , k = UCP j , k P j , k + UC k Y k forj b , j = 1 , 2 , ..., m , k = 1 , 2 , ..., t TUC b , k = UCP b , k P b , k + UC k for k = 1 , 2 , ..., t
    (6)

    3.1.7.초기재고량

    초기 재고량은 후행 기계가 바로 작업을 시작할 수 있 도록 보유하는 재공품 재고로써 회사에서 채용하는 재고 정책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모형에서는 기계 j의 초 기재고량 Ij,0을 기계 j가 불가피하게 생산을 하지 못하는 경우 다음기계 j + 1이 최대생산력으로 n기간 동안 생산 할 수 있는 양으로 설정하고, 다음기계 j + 1의 생산용량 PCj+1와 기간 n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I j , 0 = n PC j + 1 for j = 2 , 3 , ..., m
    (7)

    모든 기간이 종료 된 후에 각 기계 j가 가져야 할 재 고 Ij,t는 기계 j의 초기재고량 Ij,0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I j , t I j , 0 for j = 1 , 2 , ..., m 1 , k = 1 , 2 , ..., t
    (8)

    3.1.9.산출량제약

    산출량을 보장하기 위하여 모든 기간이 종료된 후에 재고 Im,t , 라인의 최종 생산량은 원하는 목표 산출량 TT 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I m , t TT
    (9)

    3.1.10.정수모형

    앞에서 설명한 제약조건하에서 생산비용과 준비비용의 최소화를 목적함수로 하는 정수모형을 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Minimize j = 1 m k = 1 t TUC j , k + 라인셋업비용 k = 1 t SC k

    subject to I j , k = I j , k 1 + P j , k P j + 1 , k for j = 1 , 2 , ..., m 1 , k = 1 , 2 , 3 , .., t I m , 0 = 0 I m , k = P m , k + I m , k 1 for k = 1 , 2 , ..., t P j , k I j 1 , k 1 for j = 2 , 3 , ..., m , k = 2 , 3 , ..., t P j , k = PC b . BT k , BT k = 1 for k = 1 , 2 , ..., t Y k P j , k PC j Y k for j = 1 , 2 , ..., m , k = 1 , 2 , ..., t SC 1 = Y 1 , SC k Y k Y k 1 BTSC 1 = BT 1 , BTSC k BT k BT k 1 for k = 2 , 3 , ..., t TUC j , k = UCP j , k P j , k + UC k Y k for j b , j = 1 , 2 , ..., m , k = 1 , 2 , ..., t TUC b , k = UCP b , k P b , k + UC k for k = 1 , 2 , ..., t I j , 0 = n PC j + 1 for j = 2 , 3 , ..., m I j , t I j , 0 for j = 1 , 2 , ..., m 1 , k = 1 , 2 , ..., t I m , t TT Y k , SC k , BT k , BTSC k : binary for all k
    (10)

    3.2.공정 블록 제어 모형

    두 번째로 공정 블록 제어 모형(Block Shutdown Model, BSM)은 병목기계를 기준으로 전후 공정을 각각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동시에 제어하는 모형이다. 라인 셧다운 모형과 다른 점은 정해진 시간에 병목기계를 제외한 모 든 기계가 정지하는 것이 아니라 병목 이전그룹과 이후 그룹이 공정 상황에 따라 그룹별로 그룹 내의 모든 기계 가 정지 혹은 가동을 결정하는 모형이다.

    3.2.1.Notations

    공정 블록 제어 모형을 위하여 추가로 다음의 변수를 도입한다.

    BtPk : 기간 k의 병목 이전그룹 가동여부

    BtNk : 기간 k의 병목 이후그룹 가동여부

    BtPSCk : 기간 k의 병목 이전그룹 준비작업 발생여부

    BtNSCk : 기간 k의 병목 이후그룹 준비작업 발생여부

    3.2.2.생산량 제약조건

    기계 j의 기간 k의 생산량 Pj, k는 생산여부 BtPk, BtNk에 따라 0에서 기계 j의 생산용량인 PCj까지만 생산할 수 있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BtP k P j , k PC j BtP k for j = 1 , 2 , ..., b 1 , k = 1 , 2 , ..., t BtN k P j , k PC j . BtN k forj = b + 1 , ..., m , k = 1 , 2 , ..., t
    (11)

    3.2.3.준비비용

    첫 기간에 생산준비가 필요한지를 나타내는 BtPCS1, BtNSC1은 첫 기간에 생산 하는지를 나타내는 변수 BtP1, BtN1을 따른다. 블록 별로 기간 k에 생산준비가 필요한 지는 블록이 이전기간 k - 1에 가동을 했는지, 기간 에 가동을 했는지를 통해서 알아 낼 수 있다. 이를 식 (5)를 변형하여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BtPSC 1 = BtP 1 , BtPSC k BtP k BtP k 1 BtNSC 1 = BtN 1 , BtNSC k BtN k BtN k 1
    (12)

    3.2.4.생산비용

    제품의 생산량에 따라 발생하는 전력비용은 기계 j가 기간 k에 생산 단위당 발생하는 전력비용 UCPj, k와 생산 량 Pj, k의 곱으로 나타내고, 기동 시 발생하는 전력비용은 기간 k에 가동을 하면 기본적으로 들어가는 비용 UCk에 기계 j가 기간 k에 생산 했는지 여부기계 제어 모형에서 추가로 사용되는 BtPk, BtNk의 곱으 로 나타낸다. 이 두 비용을 합하면 기계 j가 기간 에 생 산하면서 발생한 전력비용 TUCj, k를 구할 수 있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TUC j , k = UCP j , k P j , k + UC k BtP k for j = 1 , 2 , ..., b 1 , k = 1 , 2 , ..., t TUC j , k = UCP j , k P j , k + UC k BtN k for j = b + 1 , ..., m , k = 1 , 2 , ..., t TUC b , k = UCP b , k P b , k + UC k BT k for k = 1 , 2 , ..., t
    (13)

    3.2.5.정수모형

    라인셧 다운 정수모형에 식 (11)~식 (13)을 대체하여 공 정 블록 제어를 위한 정수모형을 수립하면 다음과 같다.

    Minimize j = 1 m k = 1 t TUC j , k + 병목전 그룹 셋업비용. k = 1 t BtPSC k + 병목후 그룹 셋업비용 k = 1 t BtNSC k

    subject to I j , k = I j , k 1 + P j , k P j + 1 , k for j = 1 , 2 , ..., m 1 , k = 1 , 2 , 3 , ..., t I m , 0 = 0 I m , k = P m , k + I m , k 1 for k = 1 , 2 , ..., t P j , k I j 1 , k 1 for j = 2 , 3 , ..., m , k = 2 , 3 , ..., t BtP k P j , k PC j BtP k for j = 1 , 2 , ..., b 1 , k = 1 , 2 , ..., t BtN k P j , k PC j BtN k for j = b + 1 , ..., m , k = 1 , 2 , ..., t TUC j , k = UCP j , k P j , k + UC k BtP k for j = 1 , 2 , ..., b 1 , k = 1 , 2 , ..., t TUC j , k = UCP j , k P j , k + UC k BtN k for j = b + 1 , ..., m , k = 1 , 2 , ..., t I j , 0 = n PC j + 1 forj = 2 , 3 , ..., m I j , t I j , 0 for j = 1 , 2 , ..., m 1 , k = 1 , 2 , ..., t I m , t TT BtP k , BtN k , BtPSC k , BtNSC k : binary for all k
    (14)

    3.3.개별 기계 제어 모형

    개별 기계 제어 모형(Individual Machine Shutdown Model, IMSM)은 각각의 기계가 자유롭게 원하는 시간에 정지 또는 작업을 할 수 있는 모형으로 각 기계는 자신의 정지 또는 가동을 결정한다.

    3.3.1.Notations

    개별 기계 제어 모형에서 추가로 사용되는 변수는 다 음과 같다.

    Xj,k : 기계 j의 기간 k의 가동 여부

    SCj,k : 기계 j의 기간 k의 준비작업 발생 여부

    Sj : 기계 j의 셋업 비용

    3.3.2.생산량 제약조건

    라인 셧다운 모형의 식 (3)과 식 (4)를 수정하여 생산 량 제약조건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기계 j의 기간 k의 생산량 Pj, k는 생산여부 Xj,k에 따라 0에서 기계 j의 생산용량인 PCj까지만 생산할 수 있다.

    X j , k P j , k PC j X j , k for j b , j = 1 , 2 , ..., m , k = 1 , 2 , ..., t
    (15)

    3.3.3.준비비용

    기계별 기동 시 준비비용을ㄴ 계산하기 위하여 식 (5) 를 수정하여 제약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SC j , 1 = X j , 1 SC j , k X j , k X j , k 1 for j = 1 , 2 , ..., m , k = 2 , 3 , ..., t
    (16)

    3.3.4.생산비용

    기계별로 가동 상태를 나타내는 변수 X를 도입하고 식 (6)을 수정하여 생산비용을 계산하는 제약식으로 표현하 면 다음과 같다. 제품의 생산량에 따라 발생하는 전력비 용은 기계 j가 기간 k에 생산 단위당 들어가는 비용 UCPj, k와 생산량 Pj, k의 곱으로 나타내고, 기동 시 발생하 는 전력비용은 기간 k에 가동을 하면 기동 시 발생하는 전력비용 UCk와 기계 j가 기간 k에 생산 했는지 여부 Xj,k 의 곱으로 나타낸다. 이 두 비용을 합하면 기계 j가 기간 k에 생산하면서 발생한 전력비용 TUCj, k를 구할 수 있다.

    TUC j , k = UCP j , k P j , k + UC k X j , k for j = 1 , 2 , ..., m , k = 1 , 2 , ..., t
    (17)

    3.3.5.정수모형

    라인셧 다운 정수모형에 식 (15)~식 (17)을 대체하여 공정 블록 제어를 위한 정수모형을 수립하면 다음과 같다.

    Minimize j = 1 m k = 1 t TUC j , k + S j SC j , k

    subject to I j , k = I j , k 1 + P j , k P j + 1 , k for j = 1 , 2 , ..., m 1 , k = 1 , 2 , 3 , ..., t I m , 0 = 0 I m , k = P m , k + I m , k 1 fork = 1 , 2 , ..., t P j , k I j 1 , k 1 for j = 2 , 3 , ..., m , k = 2 , 3 , ..., t X j , k P j , k PC j X j , k for j b , j = 1 , 2 , ..., m k = 1 , 2 , ..., t SC j , 1 = X j , 1 SC j , k X j , k X j , k 1 for j = 1 , 2 , ..., m , k = 2 , 3 , ..., t TUC j , k = UCP j , k P j , k + UC k X j , k forj = 1 , 2 , ..., m , k = 1 , 2 , ..., t I j , 0 = n PC j + 1 for j = 2 , 3 , ..., m I j , t I j , 0 for j = 1 , 2 , ..., m 1 , k = 1 , 2 , ..., t I m , t TT X j , k , SC j , k : binary for all k

    4.실험 분석

    제 3장에서 제안된 정수모형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Figure 4>의 A~H까지 총 기계 8대로 구성된 직렬 제조라인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한다. 각 기계 사이에는 작업을 끝 낸 제품이 다음 공정을 기다리기 위한 버퍼가 존재하고 마지막 기계 H가 작업을 마친 제품은 완성된 제품으로 산출량으로 간주한다.

    4.1.모형별 성능 비교

    제 3장에서 제시된 3가지 모형들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존 생산 정책(TOC)과 비교한다. 고려하는 각 기계의 생산능력은 <Table 1>과 같고 시간대별 단위 생 산 전력비용은 <Table 2>와 같다. 이외에 생산을 위한 준 비비용은 20으로 가정한다. 이 현장 환경 설정을 이용하 여 제 3장에서 제시된 3가지 정수모형을 수립하고 해를 도출한다. 모형별 해에 따라 기계별 생산량을 시간별로 누적해서 그래프로 표현하면 <Figure 5>과 같다. TOC의 경우 모든 기계의 생산 속도가 동일하므로 시간 따른 기 계별 누적 생산량이 같아지고 동일한 직선으로 표현된다. 반면, 나머지 세 경우에는 병목 공정 앞에 위치한 기계는 피크타임 전에 생산량이 높고 병목 공정 뒤에 위치한 기 계는 전기 요율이 높은 시간대 뒤에 생산량이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병목 공정 앞에 위치한 기계들은 전기 요율이 높은 시간대에 가동 중지를 위하여 그 이전 시간 에 재고를 미리 생산함을 의미하고 한편, 병목공정 뒤에 위치한 기계는 전기 요율이 높은 시간대에 정지 하면서 그 이후 시간에 병목기계가 생산 해놓은 재고를 처리하 기 위해 생산속도를 높이는 것을 볼 수 있다.

    <Table 3>은 각 모형 별 일일 생산 전기 비용과 재고 량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재고량은 시간별로 발생하는 재 고량의 합으로 생산 시프트에 의해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재고량을 반영한 값이다. 전기비용의 경우 기계제어의 단 위가 작아질수록 최대 20%의 전력비용을 절감할 수 있 는 반면 일시적 재고 수준은 최고 50~60% 증가됨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재고 증가는 <Figure 6>에서 보는 바 와 같이 작업일 중간에 발생하는 일시적 재고 증가에 기 인하고 일일 종료시점에 TOC와 같은 수준으로 떨어지므 로 일일 산출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4.2.제조 환경 변화에 따른 모형별 분석

    제조 환경 변화에 따른 제안 모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기계별 생산용량, 시간대별 전력 요율(UC), 기계 별 전력 소비 패턴, 준비 비용(SC) 등의 값을 변화시키면 서 제안된 세 모형에 대한 성능을 비교 평가한다.

    4.2.1.기계별 생산용량

    다양한 생산 용량에 대한 제안된 모형들의 성과를 분 석하기 위하여 <Table 4>에 제시된 5가지 기계별 생산용 량 분포를 고려한다. 이 실험을 위하여 시간대별 전기 요 금은 <Table 5>의 UC2를, 준비비용은 20을 각각 사용한다. <Table 6>은 TOC와 제안된 세 모형에 대한 총 비용과 TOC 방법대비 비용 비율을 나타낸 표이다. 시나리오에 따라 10~20%의 비용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고 기 계별 생산 능력에 차이가 큰 CAPA5의 경우가 가장 높 은 개선 효과를 보인다. 이는 병목기계 전후에 배치된 기 계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여유 생산능력을 보유하면 전기 비용 절약을 위해 정지한 기계시간 동안의 산출량 손실 을 그 외 시간에 효과적으로 보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4.2.2.시간대별 전력 요율

    요금제에 따른 모형의 성능평가를 위해 <Table 5>에 제시된 세 가지 전력 요율을 고려한다. 이 실험을 위해서 기계별 생산능력은 <Table 4>의 CAPA5를, 준비비용으 로는 20을 각각 사용한다. 주어진 전력 요율에 대한 각 모형별 총비용과 TOC 대비 비용 비율은 <Table 7>과 같 다. 제어 범위가 클수록 시간대별 전력 요율의 차이가 클 수록 비용 절감 효과가 크며 최대 35%의 전력비용 절감 효과가 나타난다.

    4.2.3.장비 전기 소비 패턴

    장비의 생산량에 따른 소비 전력은 장비 유형에 따라 다르므로 본 실험에서는 다양한 장비 전기 소비 패턴에 따라 제안하는 모형의 성능을 평가한다. 고려하는 전기 사용 패턴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하나라도 생산을 할 경우 시간당 발생비용이 고정적으로 발생 하는 경우, 두 번째는 생산하는 개수의 비율에 따라 발생비용이 변하는 경우, 마지막은 앞의 두 경우를 혼합한 형태로 고정비와 변동비가 발생하는 경우이다. 이 세 가지 패턴에 대한 4 가지 모형에 대한 전력 사용 비용은 <Table 8>과 같다. 개별 기계 제어 모형 기준으로 TOC 대비 80%~90%의 비율을 차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고정비용의 경우는 라인 셧다운 모형은 개선효과가 거의 없지만 공정 블록 제어 모형이나 개별 기계 제어 모형에서는 가장 큰 효 과를 보이는 것을 볼 수 있다. 개별 기계 제어 모형의 경우 TOC 대비 52%~84%의 비율을 보이는 것을 볼 수 있다. 변동비용의 경우 세 가지 비용 산출 방법 중 가장 낮은 개선효과를 보인다. 개별 기계 제어 모형의 경우 TOC대비 93%~95%의 비율을 보인다. 3가지 비용 산출 모형에 대해서 모든 모형이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를 나 타난다.

    4.2.4.준비비용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형들은 사용 전력비용을 절 감하기 위하여 장비의 정지를 고려하는데 이 때 재가동 시 발생하는 준비비용은 전력비용 절감 효과를 약화시키 므로 본 실험에서는 준비비용이 각 모형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한다. 고려하는 준비비용은 10, 20, 40이다.

    <Table 9>는 기계별 생산능력은 CAPA5, 시간대별 전 력 요율은 UC2일 경우 모형별 비용과 TOC 대비 비용 비율을 나타낸 표이다. 결과를 보면 SC가 증가하였기 때 문에 전체 비용에 대한 절대적인 수치 비교는 의미가 없 지만 비용절감 비율을 고려하면 준비비용이 증가할수록 개선효과가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준비비용이 높은 경우 장비 정지하는 것보다 계속 운영하는 편이 비 용 측면에서 유리한 상황이 존재하였음을 의미한다.

    5.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본 연구에서는 시간대별 다른 전력 요금제가 주어졌 을 때 산출량은 유지하면서 전력비용을 최소화하는 문제 를 고려하였다. 다양한 공장 상황을 반영하기 위하여 전 력 요율이 높은 시간대에 공장 전체의 정지를 고려하는 경우, 병목 기계 전후를 나누어 정지를 고려하는 경우, 기계별 정지를 고려하는 경우 세 가지 경우에 대한 정수 모형을 수립하였고 이 모형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계별 생산용량, 시간대별 전력 요율(UC), 기계별 전력 소비 패턴, 준비 비용(SC) 값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 였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모형들이 모든 현장 상황에 대하여 큰 비용 절감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공정 기계들 의 제어에 대한 자유도가 높은 모형일수록 높은 개선 효 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시간대별 차등 전기요금을 고려 한 장비 운영계획을 위한 정수모형은 직렬 제조라인을 대상으로 수립되었다. 이는 보다 다양한 제조환경을 고 려하기 위해 TOC 이론에서 제안한 A자형 라인, T자형 라인으로 확대 적용이 필요하다. 또한, 향후 모형의 결과 를 실제 제조 현장에 적용하여 모형의 우수성을 검증하 는 것이 필요하다.

    Figure

    JKISE-37-63_F1.gif

    Annual Maximum Power, Backup Power and Power Reserve Rate[10]

    JKISE-37-63_F2.gif

    DBR in A serial manufacturing line

    JKISE-37-63_F3.gif

    A Serial Manufacturing Line

    JKISE-37-63_F4.gif

    A Serial Manufacturing Line with 8 Machines

    JKISE-37-63_F5.gif

    Throughputs with TOC, LSM, BSM, IMSM over Time

    JKISE-37-63_F6.gif

    Inventory Rate Over Time with TOC and Three Models

    Table

    Production Capacities of Machines

    Utility Cost Over Time

    Utility Cost and Inventory with TOC and Three Models

    5 Scenarios for Production Capacity

    3 Time-Based Utility Costs

    Total Costs with Capacity types

    Total Costs of Four Models with Three Utility Cost Distribution

    Total Costs of Four models with Energy Consumption Patterns

    Total Costs with Three Setup Costs

    Reference

    1. Do YB Need for electric power demand management and management skills , Policy data of Korea,
    2. Goldratt EM , Cox J The Goal , North River Press,
    3. Jung NK (2006) Case studies of TOC implementations,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 Spring Conference,
    4. Kim JH , Hong JH , Kim HJ (2008) A New DSM Administrative Structure for Efficient Implementation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71-73
    5. Kim KS , Park JI , Park CS (2008) A study on Changing Pattern of Short-run and Long-run Electricity Demand in Korea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435-438
    6. Kim SD , Kim YS , Lee WJ (2008) The effect of summer peak demand reduction programs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Vol.17 (2 ) ; pp.213-233
    7. Ko DS The implications of Real Time Pricing with U.S. case ,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Issue Paper 2010-259,
    8. Koh SG , Kim JH Implementation of DBR System with Kanban in a Production Line of Static Demand , IE Interfaces, Vol.15 (1 ) ; pp.99-106
    9. Lee DW ECA Rule Based Lighting Control System for Energy Saving ,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 Vol.22 (12 ) ; pp.1-12
    10. Lee GD (2012) Strengthening of power demand management for power supply demand stability , Journal of the Electrical World,
    11. Ok CS , Park JI (2014) A Conceptual Approach for Managing Production in Consideration of Shifting Electrical Loads , Robotics and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Accepted)
    12. Park JJ , Kim HW , Kim JO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depending on the rebate changes in the DSM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22 (10 ) ; pp.18-23
    13. https://www.kdrm.or.kr.,
    14. http://www.kepco.co.kr.,
    15. http://www.kpx.or.kr.,